조호령
(Ho-Ryung Cho)
1iD
남한석
(Han-Seok Nam)
2
김종남
(Jong-Nam Kim)
3
유홍국
(Hong-Kuk You)
3
나영재
(Young-Jae Na)
3
김재문
(Jae-Moon Kim)
†iD
-
(Graduate School of Transportati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ystem Engineering,
Doctorate Program/OCS solution Co., Ltd, Korea, Email: cho-hr@hanmail.net)
-
(Korea Railroad Corporation, Korea. / E-mail: hansuk81@korail.com)
-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Korea. jnkim@ysfs.co.kr, yoohk21@hanmail.net, nyj711@naver.com)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Overhead contact line pole(pole), Emergency recovery, Light weight, Aluminum, Rail fastening device
1. 서 론
최근 6년간(2016년~ 2021년) 국내 열차 탈선사고는 19회로 연 평균 3.2건으로, 열차탈선에 따른 전기철도의 전철주 파손사고가 발생하면 비상복구용
강관주를 설치하여 긴급 복구를 시행하고 있다. 그림 1은 2006년 3월 경부선(신탄진~매포)에서 화물차 탈선으로 인하여 전철주 5개가 파손된 사진을 보여준다(1).
이와 같이 사고로 인해 파손된 전차선로의 복구하기 위하여 비상복구용 전철주를 설치하여야 한다. 시공절차는 그림 2와 같이 침목 사이의 자갈을 60cm 이상 파낸 후, 비상용 전철주 설치를 위한 파이프 구조빔을 양쪽 레일 하부에 고정한다. 이후 3개의 유닛으로
되어있는 비상용 전철주에 가동브래킷 고리와 상부의 급전선 지지애자 조립금구를 조립하고, 비상용 전철주 하단부를 파이프 구조빔 측면부에 조립하여 전철주를
5명의 작업자가 인력으로 직각으로 세워 조립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상부 2개소에서 좌우로 와이어로프를 지상의 고정부와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법으로
전철주를 시공하고 전차선과 조가선 설치를 위한 장간애자와 가동브래킷을 설치한다.
그림 1 경부선 화물열차 탈선사고 현장
Fig. 1 Gyeongbu Line freight train derailment site
기존의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스틸제로 전체 5개의 유닛으로 제작되어 전체무게가 약 360kg 정도로 무겁고, 단위 길이도 크기 때문에 작업자의 근골격계
산업재해 우려가 크고 복구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프랑스의 경우 표 1과 같이 레일 편측에 트러스(스틸제) 구조물 형태의 비상복구용 전철주를 조립 설치하고 선로 방향으로 지선을 안정적으로 설치한 후, 가동 브래킷은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단한 직선 빔으로 하여 그 하부에 절연애자를 부착하고 전차선 및 조가선을 조립하는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2).
그림 2 기존 비상복구용 전철주 설치 사진
Fig. 2 Installation photo for conventional emergency recovery pole
표 1 국내외 비상복구용 전철주 설치 방법 비교
Table 1 Installation methods comparison of poles for emergency recovery at internal
and abroad
구분
|
국내
|
프랑스
|
중국
|
재질
|
Steel
|
Steel
|
알루미늄 합금
|
설치방법
|
|
|
|
또한 중국은 편측 레일 하부에 레일 바깥 방향으로 트러스(알루미늄합금제) 구조물을 설치하고, 선로방향과 레일 직각 방향으로 지선을 설치하여 비상복구용
전철주를 안정되게 한다. 이때 사용되는 가동브래킷은 실제 운행선에서 사용되는 일반형이고, 트러스 구조의 비상용 전철주의 무게는 약 130kg 정도이다(3).
본 연구에서는 기존 비상복구용 전철주의 중량을 경량화하고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고, 콘크리트 도상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레일체결장치를 슬림화하여 개발하였다.
또한 비상복구용 전철주의 경량화를 위하여 경량소재에 대한 굽힘 모멘트 및 구조해석을 통하여 재질을 알루미늄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시제품 설계 및
제작, 성능시험과 현장 설치 성능시험을 하였으며, 레일체결장치도 콘크리트 도상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설계, 제작하고 현장시험 설치하여 성능을 확인하였다.
2. 본 론
2.1 전철주와 레일체결장치 설계
2.1.1 비상복구용 경량 전철주 설계
경량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굽힘 모멘트가 기존 스틸제 비상복구용 전철주와 동등 이상이고, 작업자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경량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조립 및 설치작업이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경량화를 위한 재질을 검토하여 선정한 후, 3개의 유닛을 조립하는 구조로 설계하고
구조해석을 하였다. 전체 구조는 국외의 트러스 구조와 비교하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체 조립형 구조로 하였다.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굽힘 강성 특성이 중요하고 경량화가 필요하기 때문에 알루미늄(A6063 -T6)과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으로 선정하였다. 아래와 같이 굽힘 모멘트 계산을 통하여 기존 비상복구용 전철주의 외부 치수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파이프 치수 조정이 필요하여서 FRP 전철주는 ∅165 × 7.5 t, 알루미늄 전철주는 ∅161 × 10.5 t로 정하였다. 계산시
적용한 굴곡강도는 각각의 파이프 시료에서 채취한 굴곡시편에 대한 굴곡강도 시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굽힘 모멘트에 대한 산출은 알루미늄(∅165×10.5
t) 경우에 한하여 제시하였다.
\begin{align*}
M =\sigma z\\
=\sigma\times[\dfrac{\pi}{32}(\dfrac{d_{2-}^{4}d_{1}^{4}}{d_{2}})]=35\times[\dfrac{\pi}{32}(\dfrac{161^{4}-140^{4}}{165})]\\
=35\times 175,\:457.2 =6,\:141,\:003[kg\bullet mm]
\end{align*}
표 2 파이프 소재의 굽힘 모멘트 및 중량 비교
Table 2 Comparison of bending moment and weight of pipe materials (Steel, FRP, Aluminum)
구분
|
기존 전철주
(steel)
|
FRP
|
Al
|
치수
|
∅139.8×4.5t
|
∅165×7.5t
|
∅161×10.5t
|
굴곡강도 (kg/mm$^{2}$)
|
87.04
|
40.816
|
35
|
굽힘 모멘트 (kg.mm)
[비교]
|
5,456,167 [100%]
|
5,705,885
[104.7%]
|
6,141,003
[112.55%]
|
파이프 중량 (m당)
[비교]
|
15.015kg/m [100%]
|
7.422kg/m [49.40%]
|
13.19kg/m [87.8%]
|
상기에서 계산한 내용을 기준으로 중량을 비교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앞서 정한 파이프 소재들을 기준으로 경량화한 시작품 도면은 그림 3과 같이 설계하였고, 전철주 부분에 대한 중량을 비교하면 표 3과 같다.
그림 3 경량화 시제품 설계
Fig. 3 Lightweight prototype design
표 3 기존 전철주와 경량화 전철주 시제품 무게 비교
Table 3 Weight comparison of conventional catenary pole and lightweight catenary pole
prototype
No
|
구 분
|
기존
전철주
(kg)
|
FRP 전철주
(∅165 x 7.5t)
|
알루미늄 전철주
∅161 x 10.5t)
|
중량(kg)
|
증감
|
중량(kg)
|
증감
|
1
|
하부
전철주
|
80.86
|
57
|
- 23.86kg
(29.5%)
|
50.0
|
- 30.86kg
(38%)
|
2
|
중부
전철주
|
74.93
|
45.85
|
- 29kg
(38.8%)
|
44.0
|
- 30.93kg
(41.2%)
|
3
|
상부
전철주
|
71.87
|
42.81
|
- 29kg
(40.4%)
|
40.0
|
- 31.87kg
(44.3%)
|
4
|
보강부
|
6.67
|
3
|
- 3.67kg
(55%)
|
3
|
- 3.67kg
(55%)
|
5
|
ㄱ형강부
|
23.85
|
10
|
- 13.85kg
(58%)
|
10
|
- 13.85
(58%)
|
6
|
조립
금구류
|
20.42
|
10.82
|
- 9.6kg
(47%)
|
10.82
|
- 9.6kg
(47%)
|
합 계
|
278.6
|
169.48
|
-108.98
(39.1%)
|
255.82
|
-120.78kg
(43.3%)
|
설계된 시제품에 대하여 그림 4와 같이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레일하단에 파이프 구조빔을 조립 설치을 참고하여 구속조건(지지조건)을 적용하였다. 작용하중은 가동브래킷과 장간애자, 곡선당김금구
등 조립 지지물(전차선 및 조가선 등)이 자체 중량과 함께 아래로 작용하고, 추가로 작업자 2인 하중(200kgf)이 가동브래킷 끝단부에 작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적용소재의 탄성률은 해석프로그램 (midas NFX)에서 제시된 값 (SS275 – 210,000 N/mm$^{2}$, A6063
–76 – 71,000 N/mm$^{2}$)을 적용하였고, FRP는 탄성계수(Young’s Modulus) 값 (GRP – 60,500 MPa)를
적용(4),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으로 변위량을 해석한 결과, 그림 5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그림 4 비상복구용 전철주 구속조건 설정
Fig. 4 Setting of restraint conditions for poles for emergency recovery
그림 5와 같이 상부의 급전선 지지애자 조립용 ㄱ형강 앞부분의 최대 변위량이 높이 기준으로 기존 스틸제 전철주는 –160.89mm, FRP 전철주의 경우
–935.33mm 이고, 알루미늄 전철주의 경우 –180.73mm이었다.
그림 5 최대 변위 구조해석
Fig. 5 Maximum displacement structural analysis
그러나 높이 기준으로 3타입 모두 변위량이 -160mm 이상으로, 200km급 일반 전차선로의 전차선 높이 변화(가동브래킷의 변위량 기준)인 60mm를
만족하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에 열차 진행방향으로 와이어를 이용하여 지지하는 것에 추가로 그림 6과 같이 선로 직각 방향으로도 200 kgf의 장력으로 와이어를 고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림 7과 같은 구속조건으로 하여 구조해석을 재 수행한 결과, 그림 8와 같이 가동브래킷 끝단부의 변위가 기존 스틸제 비상복구용 전철주의 경우 20.61mm, 알루미늄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33.10mm, FRP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37.51mm로 해석되었다.
그림 6 비상복구용 전철주 설치 (알루미늄 pole)
Fig. 6 pole installation for emergency recovery
그림 7 비상복구용 전철주 구속조건
Fig. 7 Restraint conditions for poles for emergency recovery
해석 결과를 토대로 FRP 비상복구용 전철주의 경우, 굽힘 모멘트의 계산 결과에서는 문제가 없고 중량감소 효과도 크지만, 해석 결과와 같이 변위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비상복구용 경량 전철주 소재는 알루미늄 A6063 – T6 으로 선정하였다.
그림 8 구조해석 결과 - 최대 변위
Fig. 8 Structural analysis results - maximum displacement
2.1.2 레일체결장치 설계
비상복구용 전철주 설치를 위한 레일체결장치는 그림 2와 같이 원형 파이프를 레일체결 금구를 이용하여 절연판을 넣고 조립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침목사이를 60cm 이상 터파기한 후 설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림 9의 레일과 바닥 높이가 약 55mm 콘크리트 도상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림 9 콘크리트 도상
Fig. 9 Concrete ballast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도상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그림 10과 같이 슬림하게 설계하였고, 기존 스틸제의 원형 파이프를 이용한 레일체결장치도 그림 11과 같이 알루미늄 파이프와 절연재료(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중간에 적용하여 기존 레일 체결부위에 PE절연판을 적용하도록 개선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림 10 신규 슬림형 레일체결장치
Fig. 10 New slim rail fastening device
그림 11 파이프형 레일체결장치
Fig. 11 Pipe-type rail fastening device
2.2 시제품 제작 및 공장시험
2.2.1 시제품 제작
시제품은 기존 제품과 비교 확인을 위하여 알루미늄과 FRP 소재로 각각 제작하였으며, FRP 소재의 비상복구용 경량 전철주는 그림 12과 같이 기존 스틸제와 같은 구조로 3개의 유닛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파이프 양쪽으로 유닛 조립을 위한 플랜지를 본딩하고 볼팅하여 제작하고, 발판
볼트 부분은 바로 부착할 경우 강도 문제가 있을 것이 우려되어 플레이트 링 형상으로 하고, 에폭시 본드와 스터드 볼트 조립 형태로 하였다.
그림 12 FRP 전철주 시제품
Fig. 12 FRP catenary pole prototype
슬림형 레일체결장치는 강도 등을 고려하여 그림 13과 같이 SS 275 재질로 제작하고, 작업자의 안전 및 조립 편의성 측면에서 경량 전철주 조립부 양측에 가이드 블록을 두어 하부 전철부 조립시에
넘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절연재(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그림 13 슬림형 레일체결장치 시제품
Fig. 13 Prototype slim rail fastening device
알루미늄 소재 경량 비상복구용 전철주도 그림 14와 같이 조립을 위한 플랜지를 양쪽에 구비하는 구조로 하여 3개의 유닛으로 나누어 제작하였다. 발판 볼트 조립을 위하여 탭을 구비한 원형 봉을 알루미늄
파이프에 알르곤 용접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원통형 레일체결장치는 그림 15에서 보듯이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소재로 하고 중간에 절연소재(엔지니어링 플라스틱)를 사용하였다.
그림 14 Al 전철주 시제품
Fig. 14 Al catenary pole prototype
그림 15 Al 원통형 레일체결장치 시제품
Fig. 15 Al cylindrical rail fastening device prototype
2.2.2 공장시험
기존 제품과의 굴곡특성에 대한 비교를 위하여 기존 강관제 전철주와 경량 비상복구용 FRP 전철주 시작품, Al 전철주 시작품 타입별로 굴곡시험을 시행하였다.
굴곡시험 시료는 전철주 타입별로 중간 파이프로 하였고, 그림 16은 굴곡시험 변위 측정 개념도이며, 그림 17과 같이 한쪽 면을 외팔보 상태로 고정한 후 말단부에 하중 인가용 플랜지 하부에 조립된 아이볼트에 체인블록과 하중 확인을 위한 로드셀과 지상에 고정된
판에 연결하고 나서 하중 인가는 체인블록으로 하였다. 시험하중(450kgf - 임의로 정한 값)은 로드셀에 스케일을 연결하여 방법으로 하고, 변위량은
시험하중 인가 후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측정하여 최초 자유상태 높이와의 치수 차이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그림 16 굴곡시험 변위 측정 개념도
Fig. 16 Conceptual diagram of bending test displacement measurement
그림 17 굴곡시험 (FRP 시제품)
Fig. 17 Bending test (FRP prototype)
또한 굴곡시험 데이터를 통하여 계산된 굴곡 탄성계수 값이 구조해석시 적용한 탄성계수 값과 합치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표 4와 같다. 굴곡시험 데이터에서 얻은 굴곡탄성율은 외팔보의 처짐량을 구하는 식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표 4에서 구조해석에 적용한 탄성계수와 굴곡 시험을 통하여 계산된 굴곡 탄성계수 값이 차이가 있는 것은, 구조해석에 적용한 탄성계수 값이 Young’s
modulus(영률, 탄성계수)로 인장시험을 통해 구한 변형률(ε)에 따른 인장 탄성계수에 기인한다.
가. Steel (Φ139.8 * 4.5t)
\begin{align*}
\delta =\dfrac{P l^{3}}{3EI}에서 E =\dfrac{P l^{3}}{3I\delta}으로 치환하고 \\
E =\dfrac{P l^{3}}{3\times\dfrac{\pi(D^{4}- d^{4})}{64}\times\delta}=\dfrac{8.050\times
10^{12}}{854,\:437,\:984.7}= 9,\:421.4[kg/mm^{2}]
\end{align*}
나. FRP (Φ165 * 8.0t)
$E =\dfrac{P l^{3}}{3\times\dfrac{\pi(D^{4}- d^{4})}{64}\times\delta}=\dfrac{8.41\times
10^{12}}{7,\:862,\:030,\:222}= 1,\:069.7[kg/mm^{2}]$
다. Al (Φ161 * 10.5t)
$E =\dfrac{P l^{3}}{3\times\dfrac{\pi(D^{4}- d^{4})}{64}\times\delta}=\dfrac{8.50\times
10^{12}}{3,\:177,\:971,\:522}= 2,\:674.66[kg/mm^{2}]$
표 4 굴곡시험과 굴곡 탄성계수값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bending test and bending modulus values
시료명
|
제품
길이
[mm]
|
시험
하중
[kgf]
|
시험
결과
변위량
[mm]
|
변위량에 따른 굴곡
탄성계수
계산 값
[kg/mm$^{2}$]
|
구조해석시 적용한 탄성계수
[kg/mm$^{2}$]
|
구조해석 적용 탄성계수값 대비
[%]
|
기존제품
(SS275)
|
2600mm
|
458
|
65
|
9,421.4
|
21,428.57
|
43.97
|
FRP
|
2650mm
|
452
|
215
|
1,069.7
|
6,173.47
|
17.3
|
알루미늄
(A6063-T6)
|
2650mm
|
457
|
75
|
2,674.66
|
7,244.90
|
36.91
|
2.3 테스트 베드 설치 시험
실제 현장에서의 조립 및 설치, 안정성 확인을 위해 테스트 베드에 각각의 제품을 조립 설치하였다. 작업성 측면에서 기존 스틸제 전철주는 그림 18과 같이 작업자 5명이 필요하고, 개발된 Al 경량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작업자 3명이 설치할 수 있었다.
그림 18 비상복구용 전철주 설치작업 비교
Fig. 18 Installation work comparison of catenary poles for emergency recovery
또한 안정성 비교를 위하여 그림 19와 같이 조립 설치한 후 실제 가선 작업시 작용하는 하중(작업자 2명– 200kgf)을 가동브래킷 중앙부에 장력추로 인가한 결과, 상부에서의 변형이
기존 스틸제 전철주는 약 5cm, 알루미늄은 약 10cm, FRP는 약 25cm 정도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장력추를 아래 방향으로 인력으로 진동을
주어 흔들리는 간이시험을 시행한 후 3개 형태 모두 이상 없이 회복되었기 때문에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림 19 테스트 베드 설치 시험
Fig. 19 Testbed installation test
3. 결 론
본 연구에서 기존 비상복구용 전철주가 자갈도상 설치용이며 스틸제로 제작되어 중량이 무겁고 단위 길이가 커서 운반 및 설치가 어려워 산업재해 위험이
있으며, 콘크리트 도상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약 43% 경량화된 알루미늄 재질의 비상복구용 전철주와 콘크리트 도상에서도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슬림화한 레일체결장치를 개발하였다.
설계단계에서 경량화 소재의 적용 검토를 위하여 굽힘 모멘트 및 구조해석 등을 통하여 알루미늄 재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 도상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레일체결장치와 함께 조립설치가 용이하게 원형 타입도 설계하였다.
FRP와 알루미늄 소재로 각각 시제품을 제작하여 성능시험을 하였고 현장에 기존 제품과 개발품을 설치하면서 작업성과 하중시험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개발을 통하여 개발된 경량 비상복구용 전철주는 향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전차선로를 복구할 수 있게 하여 열차운행 지장을 최소화하고 안전운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2017, Airline. Investigation and Railway Committee, “Investigation Report on Freight
Train Derailment Accident Between Shintanjin Station and Maepo Station on Gyeongbu
Line”
2012.08.22., CHINA Patent, CN 102642482 A - “Urgent repair construction method for
anchor mast of catenary”
S. A. Imad, a. O. Sief, F. H. Kamalaldin, A. J. Mohammed, 2021, Properties evaluation
of fiber reinforced polymers and their constituent materials used in structures –
A review, Materials Today: Proceedings 43, pp. 1003-1008
03, 2022, d2 Engineering,Joint Research Performance Report (1st)
08, 2022, d2 Engineering, “Joint Research Performance Report (2nd)
H. R. Cho., I. C. Kim., G. Y. So., B. G. Lee., H. S. Nam., 2023, Study on constru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lightweight electric poles for emergency recovery,
2022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Electrical Equipment Section Fall Conference
Proceedings, pp. 75-76
저자소개
- 2021년 2월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교통시스템공학과 (공학석사)
- 2008년 ~ 2016년 ㈜평일 기술연구소장
- 2016년 4월~2023년 2월 ㈜디투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상무
- 2023년 4월 현재 (주)오씨에스솔루션 대표
- 2022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박사과정
- 2007년 12월 한국철도공사 입사
- 2020년 3월 ~ 2022년 3월 : 기술연구처
- 2023년 3월 현재, 대전충남본부 대전전기사업소
- 2016년 3월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 2023년 와이에스에프에스(주)대표이사
- 2022년 8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박사과정
- 1989년 2월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
- 2007년 8월 :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 2019년 4월 ~ 현재 : ㈜건일엠이씨 대표이사
- 2021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박사과정
- 2015년 12월 : 한국철도공사 공주전기사업소
- 2018년 1월 ~ 현재 : 광명전기사업소
- 2022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석사과정
- 2000년 2월 : 성균관대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 2000년 3월 ~ 2004년 2월 : 현대모비스(주) 기술연구소 선임연구원
- 2004년 3월 ~ 2012년 2월 : 한국철도대학 철도차량전기과 교수
- 2006년 1월 ~ 현재 : 국토교통부 철도기술 전문위원
- 2013년 3월 ~ 현재 : 한국교통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