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효상
(Hyosang Kim)
1iD
이종우
(Jongwoo Lee)
†iD
-
(Dep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E-mail:rickykim5577@seoultech.ac.kr)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Precise stop positioning, Laser sensor, High-speed train, ATO, Subway
1. 서 론
현재 에스알에서 운영하는 수서 고속열차의 경우 별도의 ATO (Automatic Train Operation)(1)와 같은 자동 정위치 정차 시스템(2)이 없어 정거장의 열차 정지 시, 견인선 및 유치선 열차 정지 시 육안 및 수신호자(전호원)와의 무전을 통해 열차의 정차 위치를 판단하고 있어 무선
수신감도에 따라, 승무원의 숙달도에 따라 정차 위치에 대한 오차가 다르게 발생하고 있어 크고 작은 사고 발생 시(3) 열차 운행 차질은 물론 물적, 인적 피해(4)로 이어질 수 있기에 고속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ATO 방식은 정위치 정차 마커 (지상자 코일)을 이용하여 차상 장치와 지상 장치 간 통신으로 차량의 제어를 차상 신호장치에서 수행하여 열차가 자동으로
정위치 정차한다. 노선 설계 시 ATO가 가능하도록 차량에 차상 신호 장치를 구성하고, 지상측에는 TWC(Train to Wayside Communication)
등을 추가 설치하여 ATO 운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고속열차의 자동 열차 정차를 위해서는 ATP(ETCS Level 1)와 ATC(TVM430)와
같은 차상 지상 신호 시스템 개량(5)에 막대한 비용이 수반되어야 한다(6).
도시철도의 경우 대부분 승강장안전문(PSD)(7)이 설치되어 역사 정차 시 기관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레이저 거리센서를 설치(8) 하여 열차와 정지 위치까지의 거리를 모니터로 나타내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정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면부가 평면으로 되어 있어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9)할 때 센서에서 감지할 수 있는 단면적이 넓으며, 정확도가 높다.
수서 고속열차의 전두부는 유선형이고 중련운전 등으로 차량 전두부가 오픈된 상태에서 입고되는 경우 차량에 레이저가 조사되는 단위 면적이 좁아 오류가
발생하거나 거리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별도의 신호 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차량의 전면부에 굴곡이 있는 고속열차를 정위치에 정차시키기 위해 레이저 센서를 이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과 거리 오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신호 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평가하였다.
2. 본 론
2.1 레이저를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
2.1.1 레이저 거리센서
본 연구에서 사용한 레이저 거리센서는 정위치 정차 위치와 선행 열차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레이저 거리센서를 활용할 경우 비접촉방식으로
열차의 거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 방식에 비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레이저 거리센서는 Time-of-Flight(10)를 기반으로 하는 능동형 광전자 레이저 측정 시스템이다. 레이저 빔이라고도 불리는 짧은 광 펄스는 다양한 각도 위치에서 편향되며, 레이저빔이 물체에
입사하면 반사되어 센서 헤드. 방출되는 순간 사이에 측정된 시간 지연을 기준으로 광 펄스와 동일한 광 펄스의 반사된 부분을 수신하는 순간, 물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는 원리이다. Fig. 1은 레이저 센서의 감지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레이저 센서의 상세 사양은 Table 1과 같다.
그림 1 레이저 스캔 범위
Fig. 1 Laser Scan Range
표 1 레이저 거리센서 사양
Table 1 Laser distance sensor specifications
구분
|
사양
|
비고
|
적용기술
|
Laser scanner, ToF
|
|
감지거리
|
65m
|
|
감지각도
|
96도
|
|
감지포인트
|
274개
|
|
스캐닝 빈도
|
15Hz
|
|
모터회전속도
|
900rpm
|
|
2.1.2 열차거리 감지 및 정차위치 계측 프로세스
기본 감지 및 거리 계산은 삼각함수에 의한 거리 계산은 삼각함수 원리를 이용하여 Fig. 2와 같은 방법으로 거리를 추정하였다.
θ(angle): 각도
TDA(Total Detection Angle): 센서의 전체감지각도
TDP(Total Detection Point) : 센서의 전체감지포인트
ODPN(Object Detection Point Number) : 센서물체감지포인트 번호
DR(Detection Range): 감지거리
SD(Sensor Dection Range): 센서감지거리
θ(angle): 각도
SDR(Sensor Dection Range): 센서감지거리
열차의 거리 = TD1~TDn의 최소값
그림 2 열차거리 측정 및 보정 알고리즘
Fig. 2 Train distance measurement and calibration algorithms
기본적인 거리 추정은 위에 기술한 방법으로 추정이 가능하나, 실제 동일 위치에서의 레이저 거리센서를 통하여 획득한 데이터를 비교하였을 때 상당한 거리오차가
발생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차량 전면부의 굴곡 형태와 모서리 부분 등의 난반사로 인한 레이저 거리센서의 오차라고 판단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평균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적용된 레이저 센서 내부에는 총 274개의 센서가 0°~96° 범위에서 거리 변화량을 측정 한다. 탐상 시작 후 1/15s 간격으로 탐상을 진행하며,
60회 동안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며 기록한다. Fig. 3의 측정 간격이 T60이 되는 순간 T1 ~ T60의 데이터 중 최소 값 (D1)을 정위치 정차 모니터에 열차의 위치로 나타낸다. 4s 후 동일한
과정을 수행 후 D2 값을 화면에 나타낸다.
그림 3 거리추정 화면 출력 데이터
Fig. 3 Distance estimation screen output data
또한, 수집된 데이터를 토대로 사용하기에는 굴곡 및 난반사로 인해 확인된 거리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열차의 정차 위치까지 거리가 실시간으로 변하게
되어, 모니터에 표시되는 열차의 속도를 신뢰할 수 없게 된다. Fig. 4는 모니터에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보정 절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림 4 거리추정 보정알고리즘
Fig. 4 Distance estimation correction algorithm
2.2 시스템 구성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정위치 정차 시스템 구동 프로세스는 1)스텝 모터가 회전하면서 레이저 거리 센서가 거리 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및 각도
데이터가 수집되며, 2)수집된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에 업로드가 되면서 초기 기준 데이터가 설정된다. 3)일정 주기 혹은 필요 시점에 계측기기를 가동하여
1)~2)를 반복하면서 정위치와 열차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소프트웨어에 업로드 하여 이전(과거 이력) 그리고 현재 계측 데이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열차와의 거리오차가 발생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변위가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제어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Fig. 5 는 열차 정위치 정차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출입부 감지센서에서 열차를 감지할 경우 정위치 정차 시스템의 전원이 들어오며, 레이저 센서가 활성화된다.
설치된 L0, L1, L2, L3, L4 센서에서 차량의 위치 감지 후 모니터에 차량의 위치와 속도를 나타낸다.
그림 5 시스템 주요 구조
Fig. 5 System main structure
그림 6 열차 정위치 정차 시스템 설치 개요도
Fig. 6 Train Stop System installation Schematic Diagram
Fig. 6 은 열차 정위치 정차 시스템의 설치 개요도이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① 전면부 표시 모니터 및 상단 센서 (L1 : 전방열차(정지)위치감지 센서)
② 전면부 제어함 및 하단 센서 (전방열차 정지 위치 감지, 제어)
③ 측면부 모니터
④ 측면부 제어함
⑤ 측면부 감지센서 1
후방 정지 위치 설치 (L2 : 전방열차 (정지)위치감지 센서, L3 : 후방열차 (정지)위치감지 센서)
⑥ 측면부 감지센서 2
후방 정지 위치 30앞 설치 (L4 : 후방열차 위치 감지, 제어 센서)
⑦ 출입부 감지센서 (차량진입감지)
2.3 현장시험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센서를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에스알 수서차량기지 T13선에 Test-bed를 구축하여 Fig. 7과 같이 현장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장시험 차량은 에스알에서 운영 중인 10량 1편성 차량에 대하여 실시하였으며, 전방 열차용 1set, 후방 열차용 1set로 구성하여 각 시스템
간 거리 데이터가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림 7 테스트베드 구축 및 현장시험
Fig. 7 Test bed construction and field testing
전체적인 실험은 계측 지점을 설정하고 연구 제안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을 활용하여 6개월간 1회차의 계측 지점과 동일한 장소 주, 야간 및 전, 후방
진입에 대한 조건하에 데이터를 누적하여 진행하였다.
위치별 특성에 따라 전면부의 경우 레이저 거리 센서에 대하여 열차 진입에 따른 시스템 전원 ON/OFF 자동 제어, 시스템 동작 Log 기록을 통하여
정상 작동을 확인하였으며, 센서 신호 처리 및 연산(거리, 속도 연산)을 통한 거리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8 차량한계선 및 차량한계선 안쪽의 차량거리
Fig. 8 Vehicle distance inside vehicle limit line and vehicle limit line
또한, 측면부에 설치된 레이저 거리센서에 대하여 시스템 동작 Log 기록 반복 수행 테스트 결과 확인을 통하여 정상동작을 확인하였으며, 전면부에 설치되
레이저 거리센서와 동일하게 센서 신호 처리 및 연산 (거리, 속도 연산) 반복 수행 테스트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림 9 센서 설치(전방, 측면, 후방)
Fig. 9 Sensor installation (front, side, rear)
2.4 성능검증 및 결과분석
레이저 거리센서를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을 현장 시험을 통하여 차량 전면부 굴곡면과 난반사에 대한 시스템 검증을 위하여 전방 열차가 없는 경우에
대하여 주간(낮)에 100개의 기준데이터(각도, 거리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엑셀 형식으로 변환하여 Fig. 10과 같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100개의 수집된 데이터의 평균오차는 0.178m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레이저 거리 스캔을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은 열차 전면부의 굴곡과 난반사를 고려했을 때 충분히 현장에서 적용할 만한 정확도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9 전방 열차 없을 경우 거리오차
Fig. 9 Distance error if there is no train ahead
또한, 선행 열차와 간격 유지를 하면서 정차해야 하는 후방열차에 대한 적용성 검증을 위한 현장시험 결과 선행 열차가 정차되어 있는 야간(밤, 새벽)에
기존 시험방법과 동일하게 100개의 기준데이터(각도, 거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결과를 분석하였다(Fig. 11). 100개의 수집된 데이터의 평균오차는 0.459m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전방 열차가 없을 경우보다 0.282m 오차범위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운영기관에서 제시한 선두차량 후미에서 0.5m 이내 정지에 부합되어 레이저 거리 스캔을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은 열차 전방과
후방 모두 현장에서 적용할 만한 정확도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림 10 전방 열차 있을 경우 거리오차
Fig. 10 Distance error when there is a train ahead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센서를 활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을 이용해 거리 오차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이저 거리 센서를 이용한 정위치 정차 시스템을 현장 검증을 통하여 취득된 거리 데이터 정보는 차량 굴곡 면과 난반사에 의한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둘째, 선행 열차를 고려한 위치정보 또한 운영기관에서 제시한 기준 범위 내의 신뢰할 만한 수준의 데이터로
현장 적용이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셋째, 제안한 시스템은 수신호자(전호원) 없이 기관사가 모니터를 통해 열차를 정위치에 정차할 수 있으므로 수신호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모니터의 열차 속도 표기로 인해 과속 진입을 사전에 방지 및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넷째, 동일 선로 내 2개의 차량 입고 시 발생할 수 있는 열차와의 추돌 사고 예방을 위하여 후방열차의 위치정보 정밀도 향상(11)을 위한 시스템 운영과 알고리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Ju-Hun Park, Hui Sik Kim, Sang-A Hong, Sun Young Jang, 201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Terms for Domestic Train Control System,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601-606
Min-Ju Park,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utomatic Train Operation(ATO) for
the Conventional and High Speed Railway in Mixed Train Operating Environment, pp.
61-108
Hyun-Shik Kim, Bu-Byoung Kang, 2020, Standard Model Suggestion of Expedite Vehicle
Recovery of High-speed Vehicle Accident in the Statio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3, No. 6, pp. 501-512
Eunkyung Chae, Kang-Mi Lee, Sehchan Oh, Kyung-Hee Kim, 2013, Study on Close Proximity
Driving for Coupling and Uncoupling of Trains,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274-1277
Yong-Ki Yoon, Jungtai Kim, Yong-Kyu Kim, Jaeho Kim, 2019, Study on ATP/ATO function
requirement specification for high speed rail that supports automatic operatio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64-165
Hak-Sun Yun, 2023, A Study on Limit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Automatic Train
Operation (ATO) in High-speed and Conventional Railways,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1
Dae-Jeung Heo, Seoung-Gil Baek, Ji-Chan Kim, Cheol- Gyu Kim, Su-Kwan An, 2012, Simulator
of Confirmation and interlock for Platform Screen Door and Stop Position,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1318-1324
Kyoung Soo Lim, Seong Yong Yang, Whan Hee Noh, Hyeon Jong Kim, Dong Soo Park, 2017,
Study for development of precision stop distance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pp. 236-237
Young-june Kim, Jong-hyen Baek, Kyu-hyung Choi, 2013, Algorithm development of level
crossing obstacle detection using laser radar sensor, Paper of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12, pp. 1813-1819
Min Seong Kim, Yong Sin Kim, 2020, Implementation of VCSEL driver system to reduce
depth error of time-offlight sensors,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pp. 429-431
Wonjong Choi, Youngkyun Kong, 2021, Phase Curve Distortion Calibration Algorithm Using
Relative Ratio of Stationary Object Velocity and Host Vehicle Velocity, Conference
of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Automotive Engineers, pp. 394-398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8.
He received the M.S degree from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2.
currently, he is pursuing a Ph.D. at the Departmen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since
2019.
Since 2008, he has been working at the Shalom Engineering Co. Ltd..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3.
and M.S degree from The Ecole Centrale de Nantes, France, in 1986.
and the Ph.D. degree from the University de Paris IV, Paris, France, in 1993.
Since 2005,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at Departmen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of the Gradцate School of Railwa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