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Railway Feeding System, EV Bus Charging Infra

1. 서 론

자동차 산업은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으로서, 친환경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에 힘입어 친환경자동차로의 전환이 가속되고 있다. 기후변화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자동차 부문의 비중이 높아 친환경차로의 전환 없이는 탄소중립 실현이 불가능하다. 세계 주요국은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위해 자동차 산업의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무탄소 배출 차량 의무화 정책 등을 발표하면서 친환경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버스, 트럭 등 상용차 부문은 다른 차종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고 화석 연료 의존도가 가장 높아 친환경화가 요구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상용차는 다른 차종에 비해 시장점유율이 10% 수준이나, CO2 배출 비중은 46%로 가장 높고, 국내는 상용차 1대 당 CO2 배출량이 승용차보다 2.5배(트럭), 16배(버스) 수준이다(1).

수송부문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원은 석유이며, 향후 승용차의 석유 의존도는 낮아질 전망이다.

전기버스 등 전기상용차 생산이 가능한 기업은 존재하나 대부분의 부품을 해외에서 공급받고 있어 국산화 기술개발과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정부 주도로 배터리 셀, 패키징, 모터, 인버터 등을 국산화시킨 중국산 전기버스와의 가격 경쟁에서 열위를 보이고 있다. 모터, 인버터, 차축 등 대부분의 부품을 독일 등 외산에 의존하고 있어 향후 시장경쟁력 확보차원에서도 전략적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충전시스템은 전기버스를 중심으로 전기상용차 보급 확산에 대비하여 고전압, 고출력 충전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V2G 기술의 실용화 검증 추진 중에 있다.

버스운송업계는 탄소중립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13년부터 정부가 지정한 노선버스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업체 24개사, 2015년부터 시행된 배출권거래제 29개사 등 총 53개사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행하는 등 에너지 관리체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가장 많이 감축한 버스업체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연평균 17.5%를 감축하였으며,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휘해 차량 대폐차 시 최대한 친환경차인 전기버스(연평균 168% 증가), 수소버스(연평균 261% 증가)로 대체하고 있으며, 정부(환경부)가 추진하는 ‘2030 무공해차 100% 전환’(2030년까지 보유차량의 100%를 전기수소차로 전환) 정책에 버스업체 21개사가 동참하는 등 친환경차 보급에 적극 참여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환경친화적 자동차(전기․수소차)의 구매목표제를 도입하여, 대상기업을 시내버스운송사업자로서 직전 사업 연도말 기준으로 시내버스 일반형 보유대수 200대 이상 운송사업자(19개사)에 2022년 1월 28일부터 연간 구입차량의 100분의 6 이상(고시 예정)을 환경친화적 차량으로 구입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국내 전기차 충전 시스템 현황을 살펴보면, 전기차 도입 초기, 전기차의 단점인 충전시간을 줄이고자 급속 충전기 위주의 보급이 되었다. 현재, 이용자 충적형태 학습, 보조금 정책 변화, 민간 사업자의 수익 증대 등으로 완속 보급으로 전환되었으며, 2017년 대비 충전기 연평균 증가율은 59%이지만, 전기차 증가율 74%보다 낮다. 충전기 1기당 전기차 대수, 충전기 보급밀도 등 전기 충전 편의성․접급성의 지역적 차이가 존재한다. 서울시가 조사한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과 불편사항 보고서에 따르면 충전소 부족(41%), 충전소고(19%)를 전기 버스 주요 불만으로 응답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기버스 도입을 운수회사에서 주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 전기버스 및 충전 인프라 현황을 살펴보면, 전 세계적으로 약 1,000만대(20년)의 전기자동차가 보급되었으며, 전기차 등록은 41%(약 300만대)로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다. 지역적으로는 중국과 유럽, 미국이 전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 유형은 승용차가 대다수이나 버스 및 경량 상용차(LCVs)의 시장도 증가 추세이다. 전기버스의 경우 60만대 보급되었으며, 유럽의 경우 2배의 증가폭을 보이고 있다.

전기버스에 대한 관련 연구로는 유럽의 전기버스 충전 표준화 작업(2), 전기버스는 제한된 배터리 주행거리와 높은 충전전력 수요로 인한 높은 충전비용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기 버스 충전 스케쥴링 및 충전전략 연구[3, 4, 5, 6, 7, 8, 9]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전기버스 급속충전소 네트워를 활용한 보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확률론적 최적화를 이용하여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는 보조서비스의 최대 용량을 계산한 연구(10) 및 기회형, 차고지형, 유도형 충전형 등 대안 중에서도 도시 전기버스에 가장 적합한 충전 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연구(11)도 진행되고 있다. 공공전기버스의 배터리 크기에 따른 초고속 충전시스템의 효과 및 배터리 용량 최적화 연구[12, 13], 전기버스 충전이 배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14), 전기버스의 환승노선망 등 운송 시스템 최적설계 및 고속충전소 계획 연구[15, 16]도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철도 급전망을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도시철도 급전망을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우 철도의 피크전력에 따른 유효한 전력을 활용하여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에 이용하므로 전력수요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으며, 도시철도의 네트워크망을 활용하여 도심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팬터그래프 방식 전기버스 충전시스템과 기존 플러그인 수동 충전방식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비교 검토를 통해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랜덤함수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전기버스 충전 대수를 조절하여 전기철도 급전시스템에 부하률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림 1 도시철도 급전망을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구성도

Fig. 1 Configuration Diagram of Electric Bus Charging System using Urban Railway Feed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1.png

2. 철도전력망을 활용한 팬터그래프방식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구조설계

도시철도의 철도전력은 일반적으로 한전에서 22.9 [kV]의 교류를 수전받아 6,600(229,00)/380 [V] 또는 6,600(22,900) /220 [V] 교류를 철도역사에 제공하고 있고, 철도 차량에는 직류 1,500 [V]를 제공하고 있다. 철도 차량은 순간적으로 최대치의 전력을 활용하고 또한 순간적으로 부하가 0이 되는 부하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철도차량의 피크전력을 사용하는 시간대를 피하여 철도의 직류 전력을 사용할 경우 변전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고, 철도 전체 부하의 피크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대용량의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설비의 구성이 가능하다. 1,500 [V] 철도 직류 전력을 활용한 DC to DC 충전기의 경우 교류에서와 달리 대용량의 전력변환장치에서 AC/DC 컨버터를 제거할 수 있어 충전기의 가격 및 유지보수 등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기철도는 전력공급자로부터 22.9 [kV] 또는 154 [kV]의 전기를 공급받아 철도 정거장내에 변전소를 건설하고 변압기를 통해 6.6 [kV] 또는 22.9 [kV]로 강압하고 각 정거장 전기실에 전기를 공급하여 일반전기설비에 사용하는 계통과 교류를 직류 1,500 [V]로 변환하여 전동차에 공급하는 계통으로 구성된다. 그림 2는 팬터그래프를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2 팬터그래프를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Fig. 2 Electric Bus Charging System using Pantograph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2.png

2.1 Up/Down 방식 원리 및 장단점 비교 검토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은 팬터그래프 UP 시스템과 DOWN 시스템으로 분류할 수 있다. 팬터그래프 UP 시스템은 팬터그래프 가동 솔루션으로 빠르고 간단하게 전기버스를 충전기에 연결할 수 있으며, 운전자는 버스가 정류장에 정차할 때 버튼을 눌러 팬터그래프를 확장하면 된다. 팬터그래프는 버스 지붕에서 위쪽으로 확장되어 정류장에 장착된 충전 후드에 연결되며, 연결을 위한 모든 동적 부품이 전기버스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충전 완료 상태 또는 계속 버스의 전원을 켜 둬야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승객이 승․하차하는 시간 동안 주행거리 10 [km] 분량의 전력 충전이 가능하여 버스 정류장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충전기로 최대 3대의 버스를 충전할 수 있어 차고에서의 야간 충전에도 적합하다. 한 번에 하나의 버스를 순차적으로 충전함으로써 피크 도달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충전 전력 관리를 통해 모든 차량이 운행 재개 전까지 완충 될 수 있도록 한다. 지붕 장착형 팬터그래프를 통해 차량 당 50-150 [kW] 범위에서 충전이 가능하고, 야간에는 더 많이 충전할 수 있다. 낮에는 Opportunity 충전을 위해 150 [kW]에서 최대 600 [kW]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다음은 팬터그래프 UP 시스템의 주요 이점을 나타낸다.

• 연결을 위한 모든 동적 부품이 전기버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충전 완료 상태 또는 계속 버스의 전원을 켜 둬야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연결을 끊음

• 승객이 승․하차하는 시간 동안 주행거리 10 [km] 분량의 전력 충전이 가능함

• 하나의 충전기로 최대 3대의 버스를 충전할 수 있어 차고에서의 야간 충전에도 적합함

• 한 번에 하나의 버스를 순차적으로 충전함으로써 피크 도달 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충전 전력관리를 통해 모든 차량이 운행 재개 전까지 완충될 수 있도록 함

그림 3 팬터그래프 UP방식 충전시스템

Fig. 3 Pantograph Up Charg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3.png

그림 4 팬터그래프 Down방식 충전시스템

Fig. 4 Pantograph Down Charg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4.png

팬터그래프 DOWN 시스템은 대용량 전기 버스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OppCharge 프로토콜에 따른 완전 자동화된 팬터그래프 충전을 제공하며, 약 3~6분의 충전으로 시스템을 기존 작업에 쉽게 통합할 수 있어 경로 운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낮동안 배출가스 없는 대중 교통 운영이 가능하며 OppCharge는 단일 및 이중 데크 전기 버스의 자동 충전을 위해 팬터그래프를 사용해 버스를 충전기에 연결하는 개방형 인터페이스이다. 충전 버스 지붕의 레일을 통해 팬터그래프를 배터리에 연결해 최대 600 [kW]로 충전이 가능하다. 다음은 팬터그래프 DOWN 시스템의 주요 이점을 나타낸다.

• 작동 일정에 가장 적합한 충전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전력 수준으로 고속 충전

• 견고한 설계, 원격 진단 및 관리 도구 덕분에 가능한 높은 가동 시간

• 국제 표준 및 포괄적인 상호 운용성 테스트에 의해 동일한 충전기로 여러 브랜드의 버스 충전이 가능함

2.2 팬터그래프 방식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최적 구조(안) 도출

전기철도 전력망을 활용한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팬터그래프 방식의 종류인 Up시스템과 Down시스템 등을 고려한 최적 구조(안)을 도출하였다. 전기철도 전력망의 경우 DC정격 1500 [V]를 기준으로 충전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며, UP 충전 시스템의 경우 순차적으로 충전을 하기 때문에 고속으로 충전하기에는 부적합하며, 철도망을 이용한 충전시스템의 경우 충전시스템 운영 주체와 버스 운영 주체가 상이하므로 국제 표준 및 포괄적인 상호 운용성 테스트에 의해 동일한 충전기로 여러 브랜드의 버스 충전이 가능해야 하기 때문에 Down 충전 시스템이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3. 팬터그래프 방식과 플러그인 수동 충전방식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비교 검토

팬터그래프 방식 충전방식과 플러그인 수동 충전방식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여 비교 검토를 진행하였다. 플러그인 수동 충전 방식의 경우 시동 OFF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며, 팬터그래프 방식의 경우 시동이 ON되어 있어도 충전이 가능한 것을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모의를 진행하였다.

3.1 팬터그래프방식과 플러그인 수동충전 방식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기존의 플러그인 수동충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우 아래 그림 5과 같이 구성하였으며, 팬터그래프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우 그림 6와 같이 전기버스가 시동이 ON되어 있는 상태에서 충전시스템에 진입하였을 때 충전이 되는 것을 구성하였다.

3.3 시뮬레이션 결과

그림 5 철도전력망을 활용한 플러그인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Fig. 5 Simulation model of plug-in electric bus charging system using railway power grid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5.png

그림 6 철도전력망을 활용한 팬터그래프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시뮬레이션 모델

Fig. 6 Simulation model of pantograph electric bus charging system using railway power grid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6.png

다음 그림 7은 팬터그래프 방식과 플러그인 수동 충전방식의 충전 시작시 발생하는 과도상태를 비교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림 7 팬터그래프방식과 플러그인 수동충전 방식 시뮬레이션 결과

Fig. 7 Simulation results of pantograph method and plug-in manual charg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7.png

팬터그래프 방식의 경우 전기 버스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충전을 진행하고 수동방식의 경우 전기 버스의 시동이 OFF된 상태로 충전이 이루어지다보니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접속시 접속에 따른 과도상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의 경우 충전을 위한 기동시퀀스를 명확히 정의할 필요가 있다.

4. 충방전 패턴에 따른 시뮬레이션 비교 검토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 전기버스 충방전 패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충방전 패턴에 따른 시뮬레이션 비교와 실제 충전시스템이 운영됨을 가정하여 시간대별 충전 차량 대수 Random 변환에 따른 충방전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진행된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비교 검토하여 철도 전력망을 활용한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4.1 충방전 패턴에 따른 시뮬레이션 비교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 시스템의 성능 및 효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버스 충방전 패턴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철도전력망에 적용된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에 전기버스가 입고된 상태에서 전기버스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을 모의하여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그림 8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충방전 패턴에 따른 전기버스 배터리의 상태

Fig. 8 Status of the electric bus battery according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attern of the pantograph-type electric bus charging system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8.png

그림 8은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충방전 패턴에 따른 전기버스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그래프는 위에서부터 배터리의 전류, 전압, SOC, 배터리 전력을 나타낸다. 충전시 SOC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하는 동안 배터리의 전류는 낮아지고 전압은 높아지게 된다. SOC가 하강할 경우는 전류는 높아지고, 전압은 낮아지게 된다. 배터리 전력량은 충전시 낮아지고 방전시 높아지게 된다.

4.2 시간대별 충전 차량 대수 Random 변화에 따른 충방전 시뮬레이션 비교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성능 확인을 위해 시간대별 전기버스 충전 차량 대수를 random 함수를 이용하여 설정하고 변화에 따른 충방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9 Random 변환에 따른 시간대별 충전 차량 대수

Fig. 9 Number of charging vehicles per time slot according to random conversion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9.png

그림 9는 Random 변화에 따른 시간대별 충전 차량 대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림 10은 Random 함수를 적용한 철도전력망 활용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시간대별로 Random 함수에 의해 충전시스템 3대에 전기버스가 입고됨을 가정하였을 때, 충방전을 확인하였으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충방전 패턴에 따라 전기버스 충전기의 전력량을 확인하였다.

그림 10 전기버스 충전 대수에 따른 전기버스 충전기 유효전력량

Fig. 10 Active power of electric bus charg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electric buses charged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10.png

4.3 철도 Peak 부하를 고려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최적 충전 시뮬레이션 비교

철도 Peak 부하를 고려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에서 배터리는 수요 평탄화, 피크 절감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전기에너지 차액 거래를 통해 구매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을 운영하는 환경을 상정한다. 이때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운영 알고리즘은 목적함수인 전력 구매비용을 최소화하고, 구매 전력량은 기존 부하량에 배터리 충・방전량을 합산하여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요금에 포함된 세금 등 다양한 요소 중에서 전력 사용량에 따른 요금만 고려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의 목적은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충・방전 효율 및 전력가격의 변동폭이 비용절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므로, 최적화 수식 수립 시 전기버스 충전기의 고정비용과 관련된 요소는 포함하지 않았다.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운영 최적화 대상이 되는 목적함수는 식(1)과 같다.

(1)
$\cos T=\sum_{d=1}^D \sum_{t=1}^T\left(L_{d, t}+P_{d, t}^{c h}-P_{d, t}^{d c h}\right) \lambda_{d, t}$

여기서 d는 날짜, t는 최적화를 수행할 시간 단위, D는 최적화가 수행될 총 일 수, T는 하루 동안의 총 시간 단위 수를 나타낸다. 또한 $\lambda_{d,\: t}$는 각 시간에서 전력 구매가격이며, $L_{d,\: t}$는 각 시간의 부하, $P_{d,\: t}^{ch}$및 $P_{d,\: t}^{dch}$는 각각 계통으로부터 전기버스를 충전하는데 소요된 전력량과 전기버스로부터 계통으로 방전된 전력량을 의미한다. 식(1)의 목적함수와 더불어, 전기버스의 운영 최적화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제약조건들이 반영된다.

(2)
$S O C_{1,1}=S O C_{D, T}=S O C_{i n i t}$

(3)
$$S O C_{d, t+1}=S O C_{d, t}+\left(\eta_{c h} P_{d, t}^{c h}-\frac{P_{d, t}^{d c h}}{\eta_{d c h}}\right) / C_{b a t t}$$ $$\text { for } d=1,2, \cdots D, t=1,2, \cdots T-1$$

(4)
$$S O C_{d+1,1}=S O C_{d, T}+\left(\eta_{c h} P_{d, T}^{c h}-\frac{P_{d, T}^{d c h}}{\eta_{d c h}}\right) / C_{b a t t}$$ $$\text { for } d=1,2, \cdots D-1$$

(5)
$$S O C_{\min } \leq S O C_{d, t} \leq S O C_{\max }$$ $$\text { for } d=1,2, \cdots D, t=1,2, \cdots T$$

(6)
$0 \leq P_{d, t}^{c h} \leq C_{c h a r g e r}$

(7)
$0 \leq P_{d, t}^{d c h} \leq C_{c h a r g e r}$

식(2)는 전기버스의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의 시작 및 종료 조건으로서 시뮬레이션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의 SOC 값이 $SOC_{i n i t}$ 값과 동일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 제약조건은 전기버스 배터리의 물리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은 아니나, 특정 기간만큼의 최적화를 수행할 수밖에 없는 수식적 특성에 있어 다음 최적화 과정과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식(3)은 현재의 SOC와 다음 시간의 SOC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eta_{ch}$, $\eta_{dch}$ 및 $C_{batt}$는 각각 전기버스 배터리의 충전, 방전 효율 및 배터리 용량을 나타낸다. 전기버스 배터리에 $P_{d,\: t}^{ch}$ 만큼의 전력을 충전하고자 할 경우 충전 효율이 반영된 $\eta_{ch}P_{d,\: t}^{ch}$ 만큼의 SOC가 증가하고, $P_{d,\: t}^{dch}$ 만큼의 전력을 방전하고자 할 때는 방전 효율에 의해 $\dfrac{P_{d,\: t}^{dch}}{\eta_{dch}}$ 만큼의 SOC가 감소한다. 식(4)식(3)과 그 의미가 같지만, 본 논문에서 d와 t를 별도로 정의함에 따라 날짜가 바뀌는 경우의 수식적 정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식(5)는 전기버스 배터리의 SOC 범위에 대한 제약조건이다. 식(6)식(7)은 전기버스 배터리의 시간당 충전량 또는 방전량이 전기버스 충전기 용량인 $C_{ch\arg er}$보다 작아야 함을 의미한다.

다음 그림 11은 철도 Peak 부하를 고려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최적 충전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 결과 Ramdom 함수의 Peak 변화보다 Peak 부하를 고려하여 최적 충전을 수행하였을 때, 약 8% 효율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Peak 부하는 16 [kW] 저감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산업용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철도 시스템의 매월 납부하는 기본요금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11 철도 Peak 부하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결과

Fig. 11 Simulation results considering railway peak load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fig11.png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팬터그래프 전기버스 충전시스템 구조 설계 타당성을 검토하고 팬터그래프 방식 전기버스 충전시스템과 기존 플러그인 수동 충전방식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및 비교 검토를 통해 팬터그래프 방식의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철도전력망을 활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우 팬터그래프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충전기 접속시 일부 과도상태가 발생하기때문에 기동상태를 유지할지 OFF 상태에서 ON으로 변경할지 등의 운영 시퀀스를 명확히 할 필요성이 있었다. 철도 Peak 부하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팬터그래프방식의 최적 충전시스템은 철도의 부하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Peak 부하를 저감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산업용 전기의 기본요금을 절감할 수 있어 에너지 세이빙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존 철도에서 사용하던 팬터그래프 방식의 충전시스템은 기존의 커넥터 방식에 비해 손쉽게 전기버스 충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철도부하를 이용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의 경우 도심지의 버스들이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노선이 편성되어 있음을 고려하면 시스템 구축에도 장점이 있으며, 철도 부하의 Peak 저감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철도역사와 전기버스 정류 노선과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전기버스 충전시스템에 대한 연구도 추가 진행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Development and demonstration of a transfer type automatic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bus connection with roof connection method(20212020800110)” of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KETEP).

References

1 
Marissa Moultak, Nic Lutsey, Dale Hall, 2017, TRANSITIONING TO ZERO-EMISSION HEAVY-DUTY FREIGHT VEHICLES, ICCTGoogle Search
2 
Mehrnaz zam Far, Marko Paakkinen, Peter Cremers, 2020, A Framework for Charging Standardisation of Electric Buses in Europe, 2020 IEEE Vehicle Power and Propulsion ConferenceDOI
3 
A. Rong, S. Chen, D. Shi, M. Zhang, C. Wang, 2021, A Review on Electric Bus Chargings Scheduling from Viewpoints of Vehicle Scheduling, 2021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nagementDOI
4 
Nader A. El-Taweel, Hany E. Z. Farag, Gouri Barai, Haterm Zeineldin, Ahmed Al-Durra, Ehab F. El-Saadany, 2022, A Systematic Approach for Design and Analysis of Electrified Public Bus Transit Fleets, IEEE Systems Journal, Vol. 16, No. 2, pp. 2989-3000DOI
5 
Xiaoyu Duan, Zechun Hu, Yonghua Song, Yan Cui, Yilin Wen, 2023, Bidding and Charging Scheduling Optimization for the Urban Electric Bus Operator,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4, No. 1, pp. 489-501DOI
6 
Konstantinos Gkiotsalitis, 2021, Bus Holding of Electric Buses With Scheduled Charging Times,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2, No. 11, pp. 6760-6771DOI
7 
Guang-jing Zhou, Dong-fan Xie, Xiao-mei Zhao, Chaoru Lu, 2020, Collaborative Optimization of Vehicle and Charging Scheduling for a Bus Fleet Mixed With Electric and Traditional Buses, IEEE Access, Vol. 8, pp. 8056-8072DOI
8 
Pengshun Li, Mengyan Jiang, Yi Zhang, 2023, Cooperative Optimization of Bus Service and Charging Schedules for a Fast-Charging Battery Electric Bus Network, IEEE Transactions on Inter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4, No. 5, pp. 5362-5375DOI
9 
Huimiao Chen, Zechun Hu, Zhiwei Xu, Jiayi Li, Honggang Zhang, Xue Xia, Konghong Ning, Mingwei Peng, 2016, Coordinated Charging Strategies for Electric Bus Fast Charging Stations, 2016 IEEE PES Asia-Pacific Power and Energy ConferenceDOI
10 
Ioannis Lymperopoulos, Faran A. Qureshi, Altug Bitlislioglu, Jan Poland, Alessandro Zanarini, Mehmet Mercangoez, Colin Jones, 2020, Ancillary Services Provision Utilizing a Network of Fast-Charging Stations for Electrical Buse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1, No. 1, pp. 665-672DOI
11 
Muhamccmet Deveci, Ali Ebadi Torkayesh, 2023, Charging Type Selection for Electric Buses Using Interval-Valued Neutrosophic Decision Support Model,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Vol. 70, No. 12, pp. 4249-4262DOI
12 
Onur Elma, Md. Ibrahim Adham, Hossam A. Gabbar, 2020, Effects of Ultra-Fast Charging System for Battery Size of Public Electic Bus, 2020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Energy Grid Engineering, pp. 142-147DOI
13 
Nader A. El-Taweel, Hany E. Z. Farag, Moataz Mohamed, 2020, Integrated Utility-Transit Model for Optimal Configuration of Battery Electric Bus Systems, IEEE Systems Journal, Vol. 14, No. 1, pp. 738-748DOI
14 
T. Boonraksa, A. Paudel, P. Dawan, B. Marungsri, 2019, Impact of Electric Bus Charging the Power Distribution System a Case Study IEEE 33 Bus Test System, Proceedings of the 2019 IEEE PES GTD AsiaDOI
15 
Wenwei Zhang, Hui Zhao, Ziqi Song, 2021, Intergrating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and Fast Charging Station Planning for Battery Electic Buses, IEEE Access, Vol. 9, pp. 51604-51617DOI
16 
Mohamed Lotfi, Pedro Pereira, Nikolaos G. Paterakis, Hossam A. Gabbar, Joao P. S. Catalao, 2020, Optimal Design of Electric Bus Transport Systems With Minimal Total Ownership Cost, IEEE Access, Vol. vol 8, pp. 119184-119199DOI
17 
Seung-Kwon Shin, Ho-Sung Jung, 2022, A Study on Pantograph Charging System using Electric Railway Power Network, Trans. Korean. Inst. Elect. Eng., Vol. 71, No. 11, pp. 1709-1714Google Search

저자소개

신승권 (Seungkwon Shin)
../../Resources/kiee/KIEE.2023.72.12.1775/au1.png

He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in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Ph.D. degree in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1995, 1998 and 2001, respectively.

Hs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i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RRI).

E-mail : skshin@krr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