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구
(Sung-Koo Cho)
†iD
김재현
(Jae-Hyun Kim)
1iD
송길목
(Kil-Mok Shong)
1iD
오수정
(Su-Jeong Oh)
1iD
김종민
(Chong-Min Kim)
1iD
-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Fault analysis, PV inverter harmonics, Burning accident, Accident investigation, Parallel operation
1. Introduction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태양광발전시스템은 다른 대체에너지 활용 기술과
달리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모듈 수명이 길어 신재생에너지 발전원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2022년 말 기준 전 세계 태양광 설치량은 누적
약 1,185GW까지 도달했다(1). 태양광발전시스템 설치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사고사례도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 화재사고 통계를 집계하는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태양광발전설비
화재 건수는 2017년도 45건에서 2021년도에는 81건으로 화재사고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2). 태양광발전시스템은 구조적으로 전기안전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모듈, 접속함, 인버터 등 단위 설비에서의 사고 또한 현장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3-5). 태양광 발전시스템 화재사고 중 약 13\% 이상이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인버터의 경우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비용적인 면에
서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러한 태양광 인버터의 사고는 발전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에 큰 손실을 끼친다(6). 하지만 인버터의 안정적인 운영이 중요함에도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경우 단순 태양광 발전량 데이터와 인버터 동작 여부 위주로 관리되고 있고 인버터와
배전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이 부재하여 실제 현장에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사고조사를 위한 데이터 확보 및 종합적인 사고
분석이 어렵다.
본 논문은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인버터 스택 소손 사고 발생에 따른 인버터 사고원인분석을 수행한 연구로써 태양광발전시스템 사고조사를 위해서 현장에서
제공된 계전기 데이터 및 현장 진단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되었다. 우선 사고 발생에 따른 현장 피해 상황 및 현장실태조사를 위하여 사고 현장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사고 당시 저장된 보호계전기 ECMS Pick up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고원인 추정을 수행하며 사고 현장 데이터 측정 및 소손된
부품의 재료분석을 통한 비교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보였다.
2. 사고조사
2.1 사고개요
사고 현장은 삼권선 변압기에 2차 측이 △결선으로 태양광 인버터와 연결되어있으며 내부 소내 전력을 공급하는 변압기를 통해 인버터의 전원 및 변전실
주요 부하설비의 전원을 공급하였다. 사고 당시 인버터 스택 소손과 함께 과전류 보호계전기에 픽업된 데이터를 확인하였고 인버터 전원 공급용 SMPS
(Switching Mode Power Supply) 소손, SMPS에 연결된 서지보호장치 고장 등을 확인하였다.
2.2 보호계전기 데이터 분석
사고가 발생한 인버터에 연계된 저압 배전반의 계전기 데이터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그림 1~4에 나타내었다. 그림 1은 저압 보호계전기 픽업 데이터로 A,B,C상의 사고 전 후 전압 및 전류 변화를 보여준다. 그림 2는 사고 전과 후의 A상의 전류 크기 및 위상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사고전류는 사고 전보다 약 10배 이상 상승하였으며 차단기 동작 특성에 따라
사고전류가 보호계전요소 한시 영역에 존재하여 차단기(ACB) 트립 전에 사고가 자체 제거된 것으로 보인다. 그림 3은 사고 전과 후의 A,B,C상의 전압 위상 벡터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사고 전과 후 전압 위상은 변화가 없으며 이는 3상 평형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림 4는 사고 전과 후의 A,B,C상의 전류 위상 벡터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전류 위상이 120도 이상 변화된 부분으로 미루어보아 사고 발생 전 인버터 전류는
계통으로 태양광 발전 출력을 내보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OCR 픽업 시간 동안에는 인버터 쪽으로 전류가 흘러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인버터
방향에서 단락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여 이는 인버터 내부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단락 사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림 1 보호계전기 픽업 데이터 (1)
Fig. 1 Pick up data of protection relay (1)
그림 2 보호계전기 픽업 데이터 (2)
Fig. 2 Pick up data of protection relay (2)
그림 3 전압 위상 벡터도
Fig. 3 Voltage phase vector diagram
그림 4 전류 위상 벡터도
Fig. 4 Current phase vector diagram
또한, 최초 계전기 픽업 데이터가 올라온 저압 배전반에서의 전압 전류 고조파 데이터 분석결과 사고 발생 전 전압 왜곡이 있었으며 이는 11고조파 성분이
극단적으로 확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2.9kV 계통의 고압 배전반에서도 마찬가지로 11고조파 성분이 극단적으로 확대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볼 때 해당 사고가 구내계통 고압 측까지 확대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1 고조파 전류 크기 최대 160A 크기의 전류가 포함되어
계통으로 보내졌으며 11차(역상분) 고조파 전류는 저압 변압기를 통해 구내계통(22.kV)으로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인버터의 공진현상, 소내 전력 전원품질문제 등에 의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MW급 인버터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 다수의 인버터가 다권선 변압기를 통해 병렬 연결되어 계통과 연계되는데 이러한 인버터의 병렬운전은 인버터 간의 특성 및 선로 임피던스의
차이로 인한 공진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7-9). 이러한 특정 주파수에서의 공진 문제는 시스템 불안정의 원인이 되고, 또한 시스템에 연계된 다른 장비에 고장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계통연계형
인버터 다수가 PCC에 연결되어 계통과 연결되는 경우 병렬 인버터 간에 순환 전류가 있기 때문에 병렬 작동 중에는 상호간섭이 있다. 단일 인버터의
공진주파수가 LCL필터 값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병렬로 여러 대의 인버터가 연계되는 경우 인버터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며 공진주파수가
상용주파수에 가까워짐에 따라 시스템이 불안정해진다. 보호계전기 데이터에서 알 수 있듯이 사고 발생 전 극단적인 11고조파에 의한 전압 왜곡 및 인버터
고조파 전류 발생 등은 정상적인 운전상태로 볼 수 없으며 이런 극단적인 고조파 확대는 시스템에서의 공진현상에 의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대규모 태양광발전소에서의 낮은 단락비를 가지는 시스템은 전압 왜곡을 가속시킬 수 있다(10). 단락비란 계통의 단락용량을 인버터 용량으로 나눈 값으로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높은 SCR값을 가질 수 있다. SCR값이 낮을수록 weak grid로
높을수록 strong grid로 평가한다.
표 1 사고 발생 전 전압 고조파
Table 1 Voltage harmonic before the accident
구분
|
A상
|
B상
|
C상
|
크기[V]
|
비율[%]
|
크기[V]
|
비율[%]
|
크기[V]
|
비율[%]
|
기본파
|
66
|
100
|
66
|
100
|
65
|
100
|
11차
|
16
|
24.1
|
18
|
27.3
|
10
|
16.5
|
표 2 사고 발생 전 전류 고조파
Table 2 Current harmonic before the accident
구분
|
A상
|
B상
|
C상
|
크기[A]
|
비율[%]
|
크기[A]
|
비율[%]
|
크기[A]
|
비율[%]
|
기본파
|
21
|
100
|
22
|
100
|
22
|
100
|
11차
|
4
|
19.3
|
4.6
|
21.1
|
3
|
13.4
|
2.3 현장 데이터 측정
계전기 픽업 데이터를 통하여 사고 당시 구내계통 전압 왜곡 현상 및 소내 전력에서의 이상 등의 문제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인버터 동작에 따른 계통
전압, 전류의 이상 상태 분석을 위해 인버터 전원품질측정과 소내 전력계통에서의 전원품질분석을 수생하였다. 전원품질분석에 사용된 장비는 전원품질분석장치(DEWE-2600)을
이용하였다. 측정 장비는 총 16개 채널을 통한 전압, 전류 등을 측정 및 저장하며 관련 데이터의 시각화, 주파수 분석 등을 제공한다. 측정 항목은
태양광 인버터 입력, 출력, 소내 전력 전원품질 등을 측정하였다.
그림 5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 및 측정
Fig. 5 Diagnosis and measurement at PV plant site
그림 6과 그림 7은 인버터 출력 전원품질이 실제 구내 전원계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각각 특정 시각에 두 번에 나누어 측정된 인버터 출력
측 및 소내전력의 전압, 전류 THD(Total Harmonic Distortion)의 시간에 따른 변화량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6은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인버터 전류 THD의 경우 인버터 출력이 올라갈수록 THD는 떨어지는 반비례 특성을 보여주지만 인버터 전류
THD는 감소함에도 인버터 전압 THD는 변동이 없어 인버터 전류 THD와 계통 전압 THD와의 연관성은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급격하게 인버터
출력이 감소하는 구간에서 전류 THD는 상승하지만 인버터 전압 THD는 변동이 없었다. 오히려 이와는 별개로 인버터 전압 THD는 소내전력 전압 및
전류 THD는 서로 함께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은 다른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데이터로 인버터 출력이 급감하는 시점에서 인버터 전류 THD가 상승함에도 불구하고 인버터 전압 THD는 오히려 감소하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소내전력 전압, 전류 THD와 함께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구내 계통 전압의 왜곡 정도를 나타내는 인버터 출력 전압의 THD의 경우 시간에 따라 그 값이 변동되는데 이는 외부계통, 인버터 출력,
소내 전력 등의 영향을 받는다. 측정결과분석을 통해 인버터의 전류 THD와 인버터 전압 THD의 상관성은 그림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관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인버터 전압 THD의 경우 소내 전력의 THD와 상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그림 6,7에서와 같이 인버터 전류 THD의 급격한 증감에 따른 전압 THD의 경우 변동성이 낮은 것으로 보여지며 오히려 소내 전력 THD의 동특성이 함께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실제 전원 전압의 왜곡 먼저 일어나고 그에 따라 소내 전력 왜곡이 만들어지는지의 선행성을 판단하긴 어렵지만, 일반적으로
소내 전력의 경우 대부분이 전력변환장치로서 고조파 부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는 고조파 부하에서 만들어진 고조파가 전원계통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인버터 전압 THD와 소내 전력 전원품질과의 정확한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인버터 발전 출력이 동일한 측정 시점을 2개로 나누어 위와 동일하게 인버터
출력 측과 소내전력측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그림 8,9와 표 3,4,5에 나타내었다. 그림 8과 표 3은 1분 동안 가장 높은 THD 값을 보이는 측정시점에 대한 측정 결과로 인버터 출력은 733kW이며 소내전력 중 가장 높은 전압 THD는 5.9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9와 표 4는 1분 동안 가장 낮은 THD 측정시점에 대한 측정 결과로 인버터 출력은 740kW이며 소내전력 전압 THD 1.67를 나타내고 있다. 그림 8,9와 표 3,4를 통해 인버터 출력은 동일한 상태에서 통해 인버터 전압 THD와 소내 전력 전압 ,전류 THD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시스템
고조파 기준은 일반적으로 IEEE 519-2014에서 1kV 이하 계통에서의 전압 THD는 8\% 이내, 개별 차수는 5\% 이내로 권장하고 있으며
측정 시점에서의 구내계통의 전압 고조파는 기준치 이하로 측정되었다. 한편 IEEE 519-1992에서 IEEE 519-2014로 개정되면서 전류 THD의
기준은 제시되지 않는다(11).
그림 6 인버터 및 소내 전력 전원품질측정 (1)
Fig. 6 Measurement of harmonic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1)
그림 7 인버터 및 소내 전력 전원품질측정 (2)
Fig. 7 Measurement of harmonic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2)
표 5는 측정시점1,2에서의 각각 소내 전력 11차 전류와 인버터 출력 전압의 11차 크기 값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림 10은 소내 전력 실제 전류량 증가 대비 고조파 차수 기여도 분석을 위해 측정 시점 1에서의 소내 전력 전압 및 전류의 FFT(Fast Fourier
Transform) 분석을 수행할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측정 시점 1에서의 소내 전력 및 인버터 전압에서 기본파 다음으로 11차 성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내 전력 11차 고조파 크기가 약 50\% 감소함에 따라 인버터 전압 THD 역시 비례적으로 낮아진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해당
사이트는 평상시에도 다른 고조파 차수에 비해 11차 성분이 극단적으로 확대되어 해당 시스템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측정결과 구내계통의 전압
왜곡과의 상관 관계는 인버터의 출력 보다 소내전력쪽 전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8 측정시점 1 인버터 및 소내 전력 측정
Fig. 8 Measurement of power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at
measurement time 1
그림 9 측정시점 2 인버터 및 소내 전력 측정
Fig. 9 Measurement of power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at
measurement time 2
표 3 측정시점 1에서의 인버터 및 소내전력 고조파
Table 3 Measurement of harmonic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at measurement time 1
구분
|
전압 THD(%)
|
전류 THD(%)
|
출력
(kW)
|
A
|
B
|
C
|
기준치
|
A
|
B
|
C
|
기준치
|
-
|
소내
전력
|
5.9
|
4.2
|
4.7
|
8
|
36
|
18
|
27
|
-
|
-
|
인버터
|
2.0
|
2.5
|
2.0
|
8
|
4.5
|
4.5
|
2.7
|
-
|
733
|
표 4 측정시점 2에서의 인버터 및 소내전력 고조파
Table 4 Measurement of harmonic at Inverter output and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at measurement time 2
구분
|
전압 THD(%)
|
전류 THD(%)
|
출력
(kW)
|
A
|
B
|
C
|
기준치
|
A
|
B
|
C
|
기준치
|
-
|
소내
전력
|
2.3
|
1.6
|
2.3
|
8
|
15.7
|
10.7
|
16.3
|
-
|
-
|
인버터
|
1.2
|
1.1
|
1.1
|
8
|
4.1
|
2.5
|
2.2
|
-
|
740
|
표 5 측정시점에 따른 11차 고조파 크기 변화
Table 5 Variation of 11th harmonic magnitude by different measurement point
측정시점
|
소내 전력 11차 전류(A)
|
인버터 11차 전압(V)
|
R상
|
S상
|
T상
|
R상
|
S상
|
T상
|
1
|
5.7
|
3.91
|
4.2
|
10.4
|
9.89
|
6.33
|
2
|
2.18
|
1.43
|
2.25
|
5
|
3.47
|
3.15
|
그림 10 소내 전력 THD FFT 분석
Fig. 10 FFT analysis at In-house power supply systems
2.4 재료분석(X-Ray CT분석)
2.4.1 SMPS 커패시터
해당 발전소의 소내전력은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인버터의 제어전원 및 변전실에 전력을 공급한다. 소내전력에 설치된 누전감시장치 ELD(Electronic
Leakage Detection system)가 알람을 발생한 내역 외에는 계전기 이벤트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과전압, 고조파 등 전력품질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별도의 계측장치는 설치되어있지 않았다.
인버터에서 IGBT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정격의 최대8배에 전류가 발생하며 이러한 고장은 과전압, 과전류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지만 전원 공급 장치(SMPS)의
과도현상 및 소손이 원인이 될 수 있다(12-13). 일반적으로 인버터 제어 전원 공급용 SMPS에서 커패시터는 전압 및 전류 파형을 평활화하기 위해 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다.
커패시터는 출력 전압을 필터링하고 안정화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커패시터에 고장이 발생하면 전압 리플이 증가하고 전압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SMPS 출력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사고 발생에 의해 손상된 SMPS의 소손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X-Ray CT분석을 수행하였다. 사고 발생에 의해 손상된 SMPS의 전해 커패시터
외형은 그림 11과 같이 안전변(일정수준 이상의 내부압력이 증가할 경우 벤트발생을 목적으로 구현된 부위) 부위가 부풀어 올라 내부압력이 발생하였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해 커패시터의 내부압력 상승은 통상 내부 발열에 의한 전해액의 열분해와 기화 등에 의해 발생하고, 이런 내부 발열은 커패시터 내부단락(내부의
양극과 음극 사이 단락)이나 과전류 통전에 의해 발생한다. 내부단락은 커패시터 자체 결함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허용범위 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되어 절연파괴에 의해 발생한다. 과전류 통전에 의한 사고는 과전압 혹은 고조파가 인가되어 통전전류가 증가하여 발생한다. 고조파가 인가되는 경우
고조파 주파수에서의 커패시터 임피던스가 DC 혹은 상용주파수에서 보다 낮아져 통전전류가 클 수 있다.
내부단락과 과전류 통전에 의한 전해 커패시터 손상상태는 내부 전극의 손상상태 확인과 커패시터의 LCR 측정 혹은 내부저항 측정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사고로 손상된 커패시터 내부를 아래 그림과 같이 CT 촬영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내부단락을 추정할 수 있는 내부 전극 손상형태가 확인되지
않아 과전류 통전에 의해 내부압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1 SMPS 커패시터 외형 및 CT 이미지
Fig. 11 SMPS Capacitor Appearance and CT Images
2.4.2 스택 분석
사고에 의해 손상된 인버터의 스택의 손상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IGBT 부위를 분리하여 확인한 결과 손상이 IGBT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었다. IGBT와 방열판을 CT 촬영하여 확인한 결과 A상 IGBT 2개 중 하나에서 아크에 의한 손상형태가 확인되었고, C상 IGBT는 2개
모두에서 아크에 의한 손상형태가 확인되었다. B상 IGBT에서는 뚜렷한 아크에 의한 손상형태가 확인되지 않았다. A상과 C상 IGBT 내부에서 아크
발생이 확인되어 암단락이 발생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2 스택과 분리된 IGBT
Fig. 12 IGBT Isolated from Stack
그림 13 A상 IGBT 아크흔(암단락 추정)
Fig. 13 Arc horn at phase A IGBT(Estimated arm short circuit)
그림 14 C상 IGBT 아크흔(암단락 추정)
Fig. 14 Arc horn at phase C IGBT(Estimated arm short circuit)
Conclusion
본 논문은 대규모 태양광발전시스템에서 인버터 스택 소손 사고 발생에 따른 인버터 사고원인분석을 수행한 연구로써 계전기 데이터 해석, 현장 측정 및
진단, 재료분석을 수행하였다. 계전기 데이터 및 재료분석 결과로부터 인버터 내부의 IGBT 단락 사고가 발생하여 인버터 스택이 소손되었으며 이러한
내부단락 사고의 원인으로는 인버터 전원 공급장치인 SMPS 소손에 따른 인버터 제어 상실로 인한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계전기 데이터에서 확인된 전압 전류 고조파 11차 성분의 극단적으로 확대되어 있었다는 점과 현장 측정 결과로 해당 발전소의 고조차 11차 성분으로
인한 지속적인 전압 왜곡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FFT 분석결과 소내 전력과 마찬가지로 11차 고조파 성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력변화장치에서의
전류 고조파 성분은 차수가 올라갈수록 크기는 줄어드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 데 반해 해당 사이트에서는 11차 성분이 비이상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인버터 병렬연결에 따른 네트워크의 임피던스와 상호 작용에 의한 공진현상을 배제할 수 없으며 또는 소내 전력 및 인버터 출력에서 발생하는
고조파 11차 성분으로 인한 지속적인 전압 왜곡 현상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고 발생 시점의 인버터 데이터가 제공되지 않고 인버터와 배전반 계전기와의
시간 동기화가 되어있지 않아 보다 정확한 사고조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웠으며 추후 해당 전력계통 모델링을 통한 전력계통해석 시뮬레이션 수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신재생에너지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20223030010390).
References
G. Masson, 2023, Snapshot of global PV markets 2023, IEA- PVPS T1-44
2022, National Fire Agency, National Fire Data System
MK Alam, FH Khan, J Johnson, J Flicker, IEEE; 23 Jun 2013, PV faults: Overview, modeling,
prevention and detection techniques, In: Proceedings of the 14th workshop on control
and modeling for power electronics (COMPEL). p. 1–7
Capparella S and Falvo MC, IEEE; 13 Oct 2014, Secure faults detection for preventing
fire risk in PV systems,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arnahan conference on security
technology (ICCST)
M.K. Alam, F. Khan, J. Johnson, J. Flicker, 2015, A comprehensive review of catastrophic
faults in PV arrays: types, detection, and mitigation techniques, IEEE J. Photovol.
5 (3), pp. 982-997
N. A. F. Mohd Nizam Ong, M. A. Sadiq, M. S. M. Said, G. Jomaas, M. Z. Mohd Tohir och
J. Steemann Kristensen, 2022, Fault tree analysis of fires on rooftops with photovoltaic
systems,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J. He, Y. W. Li, D. Bosnjak, B. Harris, 2013, Investigation and active damping of
multiple resonances in a parallel- inverter-based microgrid,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J. L. Agorreta, J. López, L. Marroyo, Mar 2011, Modeling and control of N-paralleled
grid-connected inverters with LCL filter coupled due to grid impedance in PV plants,
IEEE Trans. Power Electron., Vol. 26, No. 3, pp. 770–785
Gang Lee, Seo Joungjin, April 2021, A Study for Mutual Interference of LCL Filter
Under Parallel Operation of Grid-Connected Inverter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Vol. 26
Shi Jing, Wang Zhimin, Huang Zhonghua, Qi Yanshou, Analysis of harmonic resonance
mechanism of PV power plant, ICSREE 2019.
IEEE Recommended Practices and Requirements for Harmonic Control in Electrical Power
Systems, IEEE Std. 519-2014.
S Yin, Y Wu, Y Liu, X Pan, 2019, Comparative Design of Gate Drivers with Short-Circuit
Protection Scheme for SiC MOSFET and Si IGBT, Energies
Li Y, 2020, An IGBT short-circuit protection method using variable VCEdetection threshold,
J. Phys. Conf. Ser. 022004
저자소개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in 2009 and 2011.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KESCO).
E-mail : chosk@kesco.or.kr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tiy, Korea, in 1999 and 200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E-mail : azalea@kesco.or.kr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Soongsil
University, Korea, in 1994, 2003, 2007.
He is currently a vice president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KESCO).
His research interests to include asset management for electric facilities, fault
analysis of electric energy and electrical safety technology through the safety coordination.
E-mail : natasder@kesco.or.kr
She received M.S. degrees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from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S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E-mail : krystaloh@kesco.or.kr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1998, 200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head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KESCO) since 2001.
E-mail : cmkim@kesco.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