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대현
(Dae-Hyun Koo)
1iD
김종빈
(Jong-Bin Kim)
1iD
박광재
(Kwang-Jae Park)
1iD
이민구
(Min-Goo Lee)
1iD
김재언
(Jae-Eon Kim)
†iD
-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Guidelines, Phase-to-ground capacitance, Relay setting, SGR, SLGF,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s
1. 서 론
일반적으로 고압수용가의 구내 배전계통은 수전설비로부터 수요처인 각 건물까지의 비교적 긴 거리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와 손실을 고려하여 6.6 kV 또는
3.3 kV의 고압 배전선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내 고압 배전계통에는 주로 중성점 비접지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1선 지락 사고시
지락전류가 작아 송전이 계속 가능하고, 통신선 유도장해도 다른 접지방식에 비해 작은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1].
비접지 방식에서의 지락보호에는 1선지락사고(Single-Line Ground Fault, SLGF)시 사고가 발생한 대지로 0전위기준점(중성점)이
이동하며, 이 때 발생하는 영상분 전압을 검출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사고선로의 차단기를 차단하는 보호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분기회선이 하나인
경우에는 계통의 영상분 전압을 접지형계기용변압기(Ground Potential Transformer, GPT)로 검출하여 과전압지락계전기(Over-Voltage
Ground Relay, OVGR)로 지락차단하고, 분기회선이 다수일 경우 GPT에 의한 영상분 전압검출과 각 분기회선의 영상변류기(Zero-Current
Transformer, ZCT)에서 검출되는 대지충전전류를 이용하여 선택지락계전기(Selective Ground Relay, SGR)로 지락차단하는
방식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본의 6.6 kV 및 3.3 kV 비접지 배전계통과 보호방식을 수용가 구내 배전계통에 지금까지
적용하여 왔다[2-6].
구내 비접지 배전계통에 분기회선의 수가 증가하게 되면, 케이블 대지정전용량도 증가하게 되고, 1선 지락사고시 발생하는 GPT 3차측 검출전압이 작아지게
되어 지락고장검출이 어렵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국내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비접지 배전계통의 지락보호에 대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법으로
저항접지로의 계통변경, 계기용변성기 및 계전기의 적절한 용량 선정, 유도형 계전기를 디지털 계전기로 변경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어 왔다[7-11].
국내외 연구에서는 다수 분기회선을 갖는 비접지 배전계통에 있어서 고장저항과 분기회선 증가에 따른 대지정전용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지락고장을
비교적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는 SGR의 정정 가이드에 대하여 제시된 논문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분기회선을 갖는 수용가 구내배전방식이 비접지인 경우, 1선 지락고장 발생시 비접지 배전계통의 분기회선 증가에 따른 대지정전용량과
지락고장저항 분석을 통하여 보다 신뢰성 있게 지락고장을 검출할 수 있는 디지털 및 유도형 SGR의 정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2. 다수 분기회선 비접지계통의 SGR 보호방식
2.1 다수 분기회선의 1선지락시 전류분포
그림 1은 2개의 분기회선을 갖는 비접지 계통에서 피더 1의 A상에서 C상 1선 지락사고시의 전류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피더1과 피더2의 상당 대지커패시턴스는
각각 C1와 C2, 중성점 저항과 고장점 저항은 각각 $R_{N}$과 $R_{g}$ 이다. 지락전류 $I_{g}$는 GPT 1차측 전류 $I_{N}$
과 3상 일괄 충전전류 $I_{C}$의 벡터합이다. 사고가 발생한 피더 1의 ZCT1에서 검출되는 전류 $I_{ZCT1}$은 GPT 1차측 중성점접지저항에
흐르는 전류 $I_{N}$과 건전상 피더 2에서 발생하는 3상 일괄 충전전류 $I_{C2}$의 벡터합이 검출된다. 피더 1에서 발생하는 3상 일괄
충전전류 $I_{C1}$은 변압기에서 순환되어 다시 돌아오므로 키르히호프 제 1법칙에 의해 상쇄되어 ZCT1에서는 검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건전상
피더 2의 ZCT2에서 검출되는 전류 $I_{ZCT2}$는 피더 2에서 발생하는 3상 일괄 충전전류 $I_{C2}$가 검출되지만, ZCT1에서 검출되는
$I_{C2}$와는 위상이 반대가 된다[7][8].
그림 1. 부하전류를 무시한 분기회선이 다수인 비접지 계통 의 1선지락시 전류분포
Fig. 1. SLGF Current Distribution for Ungrounded System with Multiple Branch Lines
2.2 고장저항 및 대지정전용량의 SGR동작 영향
그림 1의 분기회선이 2개인 비접지계통에서 SLGF시의 고장점에서 바라본 정상분, 역상분 및 영상분 임피던스 $Z_{1}$, $Z_{2}$, $Z_{0}$으로
표현된 대칭성분 등가회로는 그림 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2. SLGF 고장점에서 바라본 대칭성분 등가회로
Fig. 2. Sequence Network at the SLGF Point
그림 2에서 영상분 임피던스 $Z_{0}$는 $3R_{N}$과 $C_{1}$,$C_{2}$의 병렬로 구성되며, $V_{1},\: V_{2},\: V_{0}$는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 전압이다. 비접지계통에서 $Z_{0}$가 $Z_{1}$+$Z_{2}$보다 훨씬 크므로 $Z_{1}$과 $Z_{2}$를 무시하면,
그림 2는 그림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E_{a}$는 정상분전압이며, 1차측 중성점접지저항 $R_{N}$은 GPT의 한류저항(Current Limiting
Resistor, CLR) $R_{n}$을 1차측으로 환산한 저항으로 볼 수 있다. 즉, GPT의 1차측/3차측 권선비를 n으로 할 경우, $R_{n}$에
$n^{2}/9$을 곱한값을 $R_{N}$값으로 산정한다. 또한, $R_{g}$는 1선지락시 고장점 저항이다.
그림 3. 그림 2에서 정상분 및 역상분을 무시한 등가회로
Fig. 3. Equivalent Circuit for Figure 2 Ignoring $Z_{1}$ and $Z_{2}$
그림3에서 영상분 전압 $V_{0}$는 영상분임피던스 $Z_{0}$에 걸리는 전압이므로 다음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식(1)으로부터 영상분 전압, 고장점 저항 및 대지정전용량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① 고장점 저항 $R_{g}$가 클수록 지락사고시 영상분 전압$V_{0}$는 작아진다.
② 고장점 저항 $R_{g}$발생시 계통의 상당 대지정전용량 $C_{1}$,$C_{2}$가 클수록 지락사고시 영상전압은 작아진다.
1선 지락사고시, 고장점 저항 및 대지정전용량에 따라서 GPT에서 검출하는 전압 값이 달라지므로 지락고장검출방식에 있어서 그 검출장치의 정정에 유의해야
한다.
2.3 비접지계통의 SGR 적용 현황 및 문제점
SGR은 분기회선이 여러 개가 존재할 경우 1선지락검출에 사용되는 릴레이로서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그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그림 4에서, 1선 지락사고시 SGR에 공급되는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in)$와 1선 지락발생 피더의 ZCT에서 검출되는 전류 $I_{ZCT}(in)$가
SGR의 정정 기준값인$V_{GPT.3}(set)$ 및 $I_{ZCT}(set)$을 초과할 경우, $I_{ZCT}(in)$의 위상각 $\delta$가
기준감도위상각 $\theta$의 $\pm 90^{\circ}$의 범위내에 들어오게 되면 SGR은 1선지락 차단동작을 하게 된다[5][6]. 이 절차를 그림 5에 제시한다. 기준감도 위상각$\theta$는 $V_{GPT.3}$$(in)$의 위상을 기준으로 하여 0∼90°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현재 주요 제작사에서 상용화 판매하고 있는 디지털 및 유도형 SGR에 대한 정정 범위를 표 1에 나타낸다. 유도형 SGR의 경우, 동작력이 24.7W 미만인 1선지락고장시 그 고장검출이 어려워 디지털 계전기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SGR의 정정 기준값인$V_{GPT.3}(set)$ 및 $I_{ZCT}(set)$은 SLGF시 식(1)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고장저항에 따라 다수 분기회선에서 발생하는 대지정전용량에 의해 영향을 받는 GPT 3차측 검출전압과 사고피더 ZCT 검출전류값을
파악한 이후 각각의 SGR 제작 회사에서 제시하는 설정범위안으로 그 값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림 4. SGR 동작 특성
Fig. 4. SGR operating characteristics
그림 5. SGR 동작 프로세스
Fig. 5. SGR operation process
표 1 제작회사 별 SGR 정정 범위[12-14]
Table 1 SGR setting ranges according to manufacturer[12-14]
Company/
Model
|
Operation Segmentation
|
Opertaion Setting
|
Margin of Error
|
Note
|
Setting Range
|
Setting Unit
|
LS/
X-GIPM
|
$V_{GPT.3}(in)$
|
8$\sim$80V
|
1V
|
$\pm 2\%$
|
Digital
|
$I_{ZCT}(in)$
|
0.08$\sim$0.8A
|
0.01A
|
$\pm 1\%$
|
$\theta$;
|
0$\sim$90°
|
1°
|
$\pm 5\%$
|
Kyongbo/
GD311-
AEF11
|
$V_{GPT.3}(in)$
|
5$\sim$50V
|
1V
|
$\pm 5\%$
|
Digital
|
$I_{ZCT}(in)$
|
0.12$\sim$1.31A
|
0.01A
|
$\pm 5\%$
|
$\theta$
|
0$\sim$90°
|
1°
|
$\pm 3\%$
|
Kyongbo/
GPS-CD9
|
$V_{GPT.3}(in)$
|
20V or more
|
-
|
$\pm 5\%$
|
Analog
|
$V_{GPT.3}I_{ZCT}\cos\delta$
|
24.7W or more
|
-
|
$\pm 5\%$
|
㈜ $I_{ZCT}(in)$은 1차측 전류값임
그러나, 현장에서 엔지니어가 SGR이 오동작하지 않도록 이와 같은 설정을 신뢰성 있게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 있질 않아 그 운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음 장에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SGR 정정방법을 기술하기로 한다.
3. 다수 분기회선 비접지 계통의 SGR정정방법
3.1 다수 분기회선에서 발생하는 GPT 3차측 검출전압 및 ZCT 검출전류
그림 6에 다수 분기회선의 비접지계통인 그림1에 SGR이 설치된 경우, 1선지락시 SGR 정정에 필요한 GPT 3차측 검출전압 및 각 피더의 ZCT 검출전류를
구하는 등가회로를 제시한다. 즉, 그림6에서 1선지락 피더의 고장전류를 검출하는 ZCT1이 $R_{N}$과 3$C_{2}$를, 비고장 피더의 전류를
검출하는 ZCT2가 3$C_{2}$를 각각 측정대상으로 하도록 하였다. 전체 고장전류는 $R_{g}$를 흐르는 $I_{g}=3I_{0}$이다.
그림 6. 각 피더 ZCT 검출전류 등가회로
Fig. 6. Equivalent Circuit based on each ZCT Detecting Its Current
1선 지락사고시 SGR에 공급되는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은 식(1)의 1차측 중성점에서 검출되는 영상전압 $V_{0}$를 GPT 3차측으로 환산한 값으로 다음의 식(2)와 같이 산출된다. 이 때, n은 GPT 1차/3차 권선비이다.
한편, 그림 6의 1선 지락사고발생 피더 1의 ZCT1에서 검출되는 전류 $I_{ZCT1}$, 건전 피더 2의 ZCT2에서 검출되는 전류 $I_{ZCT2}$는 각각,
식(3) 및 식(4)와 같다.
3.2 케이블에 의해 발생하는 1상당 대지정전용량
6.6kV의 대단위 산업단지 및 상업용도의 건물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지중케이블은 그림 7과 같이 절연체(가교 폴리에텔렌, XLPE)위에 차폐층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15].
그림 7. CV 케이블 구조
Fig. 7. CV Cable structure
1선지락고장시 SGR에서의 검출전류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상당 대지충전정전용량산정에는 식(5)의 일반적인 정전용량을 구하는 식을 이용한다, 단, 지중케이블의 경우, 그 포설시 차폐층이 대지 위에 그대로 접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고, 대지 아래
동일한 케이블이 있는 대전되어 있는 영상법을 이용하여 D를 그림 7의 케이블 중심에서 차폐층까지의 길이, r을 도체반경으로 하여 대지정전용량을 산출한다. 그러나, 케이블이 어떻게 설치되는냐에 따라 대지정전용량을 구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절연이 되어 있는 슬라브 선반 위에 올려 놓아지거나 가공의 경우는 그 높이를 고려하여야 한다. 즉, 그 높이를 h라고
하면 식(5)에서 D을 D+2h로 해서 대지정전용량을 산출하도록 해야 한다[5].
3.3 다수 분기회선 비접지계통에서의 SGR 정정값 결정방법
본 절에서는 다수 분기회선 비접지 배전계통에서의 SGR 지락 검출 정정값의 결정방법을 그림 8과 같이 제안한다.
그림 8. 다수 분기회선에서의 SGR 정정값 결정 절차
Fig. 8. Procedure for determining SGR setting values in ungrounded systems with multiple
branch lines
먼저, 대상 비접지계통이 다수 분기회선인지를 판단하고, 대상 계통의 사용될 케이블의 길이 및 굵기를 고려하여 식(5)에 의해 전체 대지정전용량$3\times(C_{1}+C_{2})$의 범위를 선정한다. 이 때 SGR의 CLR에 $n^{2}/9$을 곱한 $R_{N}$값을
산정한다. 그리고, 이들을 고려한 고장점 저항 $R_{g}$와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의 관계곡선을 식(2)에 의거하여 도출한다. 다음에 식(3)에 의거 대지정전용량$3\times C_{2}$에 대한 고장선로의 ZCT검출전류인 $I_{ZCT1}$과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의
관계곡선을 도출한다. 이제 SGR의 정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로서 선정된 케이블의 전체대지정전용량$3\times(C_{1}+C_{2})$과 고려대상
고장저항값에 대한 GPT 3차측 검출전압을 관계곡선으로부터 찾아서 그 값을 $V_{GPT,\: 3,\: set}$ 정정값으로 한다. 이 값으로 역시
이미 얻어진 관계곡선으로부터 대지정전용량$3\times C_{2}$에 대한 고장선로의 ZCT검출전류를 찾아 그 값을 $I_{ZCT1,\: set}$정정값으로
하여 SGR 정정을 완료한다.
4. 검증 및 고찰
4.1 대상 계통 선정 및 모델링
제안된 SGR 정정값 결정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참고문헌 [9]의 실제 운용중인 지하철의 6.6 kV 비접지 배전계통을 그림9와 같이 검증대상계통으로 선정하였으며, 1선 지락사고는 피더 1의 A상에서 발생한 경우를
상정하였다. 검증대상 비접지 배전계통인 그림 9의 실제 선로 데이터 및 적용SGR관련 파라미터를 표 2에 정리하였다.
표 2에 수전변압기 제원, 각 CV Cable의 굵기, 길이, 개수와 케이블 굵기에 따른 상당 대지정전용량값, 피더 1의 상당 대지정전용량 $C_{1}$,
피더 2, 3의 상당 대지정전용량 $C_{2}$, SGR관련 GPT 및 ZCT의 파라미터값을 제시한다.
그림 9. 다수 분기회선 비접지 계통도
Fig. 9. Ungrounded systems with multiple branch lines
표 2 계통 대상의 데이터
Table 2 Data of Ungrounded systems in Fig. 9
Items
|
Note
|
Transformer
|
6 MVA, 6%, 22.9/6.6kV
|
CV Cable
|
240$mm^{2}$$\times$3
|
0.3km 2ea
|
120$mm^{2}$$\times$3
|
0.3km 1ea, 1.7km 2ea
|
70$mm^{2}$$\times$3
|
1.3km 2ea
|
35$mm^{2}$$\times$3
|
1.3km 1ea
|
CV Cable
Phase to ground
capacitance
|
240$mm^{2}$
|
0.22 [μF/km]
|
120$mm^{2}$
|
0.19 [μF/km]
|
70$mm^{2}$
|
0.16 [μF/km]
|
35$mm^{2}$
|
0.12 [μF/km]
|
Phase to ground
capacitance of Feeder 1
|
$C_{1}$ = 0.597 [μF/phase]
|
Phase to ground
capacitance of
Feeder 2 and 3
|
$C_{2}$ = 1.133 [μF/phase]
|
ZCT
|
200mA/1.5mA
|
GPT turn-ratio
|
$\dfrac{6600}{\sqrt{3}}/\dfrac{110}{\sqrt{3}}/\dfrac{190}{3}$
|
$R_{N}$
|
602/9x25(CLR)=10,000[Ω]
|
$R_{g}$
|
0$\sim$6,000[Ω]
|
4.2 SGR 정정값 결정방법 적용결과
표 2에 근거하여 제안된 그림 8의 SGR 정정값 결정방법에 의거하여 고려대상 대지정전용량 범위에 대하여 고장점 저항 $R_{g}$와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의
관계곡선, 고장선로의 ZCT 검출전류인 $I_{ZCT1}$과 GPT 3차측 검출전압 $V_{GPT.3}$의 관계곡선을 도출한 결과를 그림 10, 11에 보인다.
이 관계곡선으로부터 대상 비접지계통에서의 상당 대지정전용량 $C_{1}$ = 0.597 [μF] 및 $C_{2}$ = 1.133 [μF] 선정값에
대한 SGR 정정값 $V_{GPT.3,\: set}$와 $I_{ZCT1,\: set}$을 산출한 결과를 표 3에 보인다. 정정값의 최종 결정시에는 표 3의 값보다는 여유롭게 조금 낮은 값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림 10. $3\times(C_{1}+C_{2})$에 따른 $R_{g}$와 $V_{GPT.3}$ 관계곡선
Fig. 10. Relation curve between $R_{g}$ and $V_{GPT.3}$ for $3\times(C_{1}+C_{2})$
그림 11. $3C_{2}$에 따른 $I_{ZCT1}$와 $V_{GPT.3}$ 관계곡선
Fig. 11. Relation curve between $I_{ZCT1}$ and $V_{GPT.3}$ for $3C_{2}$
표 3 그림 10 및 11로부터 도출된 $V_{GPT.3}$ 및 $I_{ZCT1}$
Table 3 $V_{GPT.3}$ and $I_{ZCT1}$ decided by Fig. 10 and Fig. 11
$R_{g}$[Ω]
|
$V_{GPT.3}$[V]
|
$I_{ZCT1}$[A]
|
0
|
190
|
4.9
|
1,000
|
85
|
2.2
|
2,000
|
47
|
1.22
|
3,000
|
32
|
0.8
|
4,000
|
24
|
0.6
|
5,000
|
19
|
0.45
|
6,000
|
16
|
0.4
|
4.3 PSCAD/EMTDC에 의한 검증
표 3의 결과를 PSCAD/EMTDC에 의한 검증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그림 9의 검증대상계통을 PSCAD/EMTDC로 모델링한 것을 그림 12에 제시한다. 하기 그림에서 GPT 3차측 전압은 V_GPT3, GPT 3차측 전류는 IN, 각 피더 1,2,3의 ZCT에서 측정하는 전류값은 각
피더에 설치되어 있는 ZCT_1, ZCT_2, ZCT_3 측정기의 3상전류 순시치를 각각 합하여 실효치 값을 구하도록 하였다. 1선지락은 피더1의
A상에 고장저항을 연결하여 발생시켰다.
그림 12. 그림 9의 PSCAD/EMTDC에 의한 모델링
Fig. 12. Modeling of Fig. 9 through PSCAD/EMTDC
대상 비접지계통에서의 상당 대지정전용량 $C_{1}$ = 0.597 [μF] 및 $C_{2}$ = 1.133 [μF] 선정값에 대하여 1선지락 고장점
저항을 표 3에서와 같이 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Ω]으로 한 경우에 대하여 모의한 결과를 하기 그림 13에 제시한다. 각 그림의 위쪽은 $V_{GPT.3}$[V], 아래는 1선지락피더의 ZCT전류 $I_{ZCT1}$[A] 이다.
그림 13. PSCAD/EMTDC에 의하여 모의된$V_{GPT.3}$, $I_{ZCT1}$
Fig. 13. $V_{GPT.3}$, $I_{ZCT1}$ simulated by PSCAD/EMTDC
시뮬레이션 결과인 그림 13의 1선 지락 사고시 고장점 저항에 따른 GPT 3차측 검출전압, 사고가 발생한 피더1의 ZCT 검출되는 전류를 정리하면 표4와 같으며, 이것은 제안된
SGR 정정값 결정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표 3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표 4 PSCAD/EMTDC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
Table 4 Simulation results through PSCAD/EMTDC
$R_{g}$[Ω]
|
$V_{GPT.3}$[V]
|
$I_{ZCT1}$[A]
|
0
|
190.570
|
4.895
|
1,000
|
84.887
|
2.181
|
2,000
|
46.552
|
1.196
|
3,000
|
31.693
|
0.814
|
4,000
|
23.965
|
0.616
|
5,000
|
19.251
|
0.495
|
6,000
|
16.082
|
0.413
|
고장점 저항이 2,000[Ω]일 경우, 참고문헌 [9]에서는 GPT 2개, 피더 말단 이후 부하에 이르는 케이블까지 포함하여 실제 운용중인 지하철 6.6 kV 비접지 배전계통에 대한 SLGF 실증시험
결과, $V_{GPT.3}$= 40 [V]에서 지락검출차단되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GPT 1개, 각 피더 말단 케이블 까지만을 고려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V_{GPT.3}$= 46.552 [V]가 발생하여 약 6.5[V]의 오차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로 GPT 2개로 모의분석한 결과에서는
$V_{GPT.3}$= 45 [V]로 오차가 줄어들었고, 피더 말단 이후 부하까지 이르는 선로 데이터는 얻을 수 없어 추가 모의검증은 불가능하였다.
또한, 참고문헌[9]의 실증시험에서는 ZCT검출전류값이 없어 검출전류의 비교분석은 할 수 없었다.
SGR 정정값 결정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표 3과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얻어진 표 4를 보면, $V_{GPT.3}$와 $I_{ZCT1}$의 값이 표 1에서 제시한 현재 상용중인 디지털 및 아날로그 SGR 설정 범위 안에 해당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SGR의 정정이 가능하지만, 고장점
저항이 5,000[Ω] 이상으로 되는 경우 $V_{GPT.3}$검출전압이 20[V] 미만으로 되므로 이 때는 아날로그 SGR은 사용이 불가능하고,
디지털 SGR을 사용해야 한다.
5. 결 론
구내 고압 배전계통은 대부분 비접지 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며, 분기회선이 하나일 경우에는 큰 어려움 없이 OVGR에 의한 지락보호가 가능하다. 그러나,
GPT+OVGR+ZCT+SGR에 의한 지락보호 방식이 적용되고 있는 다수 분기회선일 경우에는 분기회선의 케이블 대지정전용량에 의해 1선 지락사고시
발생하는 GPT 3차측 검출전압값의 감소로 안정한 지락보호를 위한 SGR의 정정값 설정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SGR정정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없이 현장의 담당 엔지니어의 재량으로 제작회사별 SGR 정정값 범위 안에 해당되는 임의의 값으로 수행되고 있다.
SGR의 종류도 디지털 및 유도원판형이 있어, 그 설정 범위도 다양하므로 현장에서 담당 엔지니어들이 그 정정값을 신뢰성 있게 설정할 수 있는 정확한
절차 내지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 분기회선을 갖는 수용가 구내 비접지 고압배전계통에 SGR을 적용할 경우, 그 정정값을 정확하고 쉽게 현장에서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다수 분기회선의 수, 케이블 전선 굵기, 분기회선의 길이에 따른 대지정전용량의 적용범위에 대하여 1선지락고장저항과 GPT
3차측 검출전압과의 그래프, 사고피더 ZCT 검출전류와 GPT 3차측 검출전압과의 그래프를 도출하고, 이 관계 그래프에서 케이블의 대지정전용량과 고장저항에
대한 GPT 3차측 검출전압과 ZCT 검출전류의 정정값을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PSCAD/EMTDC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정확함을 입증하였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4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0R1A6A1A12047945)
References
Lee Sang-woo, “Characteristics of Non-grounding Method and cooperation in protecting
the land I,” The monthly electric engineers, pp. 20-25, 2005.10.
IEEE Std 242-2001, “IEEE Recommended Practice for Protection and Coordination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Power System,” IEEE, pp. 231-281, 2001.
JEAC 8011-2014, “High-Voltage Electric Power Supply Equipment Regulations,” JEAC,
pp. 201-229, 2014
“CASE Power Technology Consultation,” The Korea electric engineers association, pp.
54-57, 1997.05
Lee Sang-woo, “Characteristics of Non-grounding Method and cooperation in protecting
the land II,” The monthly electric engineers, pp. 30-35, 2005.11
Woo Chun-hee, “Selective Ground Relay(SGR) for the ground fault protection,” the KIEE,
Industrial Electricity Committee Autumn Conference, pp. 44-47, 2019.11
Im Jin-sung, Shin Myung-ho, “A Study on Trouble and Arrangement of the Ground-Fault
Protection for 2 Step Voltage Distribution System of Premis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vol. 24, no. 10,
pp. 73-77, 2010.10
Im Jin-sung, Shin Myung-ho, “A Study on Trouble and Arrangement of the Ground-Fault
Protection for Premises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 in bulk power capacity installations,”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Spring
Conference, pp. 250-252, 2010.05.
Kim Byung-tae, Lee Dal-woo, and Jeon Myung-soo, “Study on the Grund Fault Protection
in 6.6kV Ungrounded Power System SGR Malfunction or Non-Tripping,” Trans of the KIEE,
vol. 57, no. 3, p.296-301, 2008.09.
Lee Sang-jun, Yoon Jae-sang, Kim So-kil, Kim Jung-man, and Choi Won-kyung “A study
on the phenomenon of intermittent earth faults in ungrounded systems and protection
methods for intermittent earth faults,” The KIEE, Power System Research Group Spring
Conference, pp. 173-175, 2022.04.
Lee Duck-su, Lim Seong-il, Choi Myeon-song, and Lee Seoung-jae, “A Faulted Phase Discrimination
Algorithm in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 Trans of the KIEE, vol. 52, no. 2, pp.
114-120, 2003.02.
“X-GIPAM manual,” LS Electric.
“GD311-AEF11 manual,” Kyongbo Electric.
“GPS-CD9 manual,” Kyongbo Electric.
“LV/MV CABLE,” LS Cable & System.
저자소개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royal919@naver.co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22.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 bin30129@naver.co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22.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 lmg1006@naver.com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22. He will get the M.S. degree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2024.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eration and design of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istributed generation.
E-mail: lmg1006@naver.com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the University of Hanyang in 1982 and 1984,
respectively. He was affiliated with KERI as a reasearcher from 1984 to 1989; a senior
resear-cher from 1989 to 1996; and a team leader of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and custom power lab from 1997 to 1998. He received his Ph.D. from Kyoto University,
Japan in 1996. He has been a professor at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8.
His current interests are desig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nalysis of power
quality; operation and design of AC & DC power distribution system with DER and advanced
distribution systems such as microgrid, LVDC and MVDC
E-mail: jekim@cbn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