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orea)
  2. (Major in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Korea)



Additive Manufacturing(AM), 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Bimetallic structure, Pure copper, Inconel 625

1. 서 론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AM) 기술 중 하나인 DED(directed energy deposition) 공정은 대표적인 금속 적층 제조 기술 중 하나로 고에너지 열원을 금속 재료 위에 이송시키면서 빔 집속 영역에 소재를 공급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기술이다. 빠른 적층 속도와 복잡한 부품의 일체화가 가능하며, 다중 호퍼(hopper)를 이용한 다종 소재 접합에 용이하여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부품 보수(repair) 및 강화(hardfacing)에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종 소재 적층의 장점을 갖는 DED 공정을 이용하여 극한 환경에서 작동하는 부품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스터빈이나 터보 엔진과 같이 높은 유체 압력, 기계적 부하 및 열응력과 같은 환경에 노출되는 부품들은 냉각을 위해 높은 열전도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고온에서의 높은 강도를 갖는 고성능 구조체를 필요로 한다[1]-[2]. 주로 니켈(nickel) 기반의 고강도 합금이나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기반의 재료가 사용되지만 연료막 냉각이나 수명 감소로 인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므로 고내열-고열전도 구조체에 최적화된 소재는 아니다[1],[3]. 이에 따라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는 소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우수한 열·물리적 성능을 가지고 있는 구리 소재가 극한 열환경 부품에 가장 적합한 소재로 꼽힌다. 하지만 구리는 고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이 낮아 높은 열전도율과 기계적 강도가 같이 요구되는 환경에 적용하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리와 다른 소재를 접합하는 bimetallic 구조 방식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용성이 중요해지고 있다.

순동(pure copper)은 구리 소재 중 열전도율이 가장 높다. 하지만 금속 적층 제조에서 열원으로 주로 사용되는 광섬유 레이저의 파장인 근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반사율로 인해 소재 용융에 어려움이 있어 적층 제조 공정 난이도가 매우 높다[4]-[5].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높은 레이저 출력(laser power) 사용, 예열(pre-heating) 적용, 반사율이 낮은 블루 파장(blue laser) 사용, 산소 분위기 제어, 중간층(inter-layer) 삽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으며, 적층 공정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Pan 등은 DED 기술을 이용하여 pure copper와 Inconel 625의 적층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두 소재의 원활한 접합을 위해 첫 번째 레이어(layer)와 두 번째 레이어 적층시에만 예열을 적용하였으며 계면 균열 방지를 위해 두 레이어 사이에 냉각 시간(cooling time)을 부여하였다[6]. Grandhi 등은 FGM(functionally graded material)을 이용하여 CuSn10과 Inconel 718의 적층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FGM 계면 관찰시 균열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분 분석 결과 두 재료간의 성분 변화가 잘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7]. Anderson 등은 분말(powder) DED와 와이어(wire) DED를 이용하여 Inconel 625와 C18150의 적층 가능성을 관찰하였으며 두 공정 모두 계면 균열은 발생하지 않았다[8]. Onuike 등은 두 소재를 바로 접합하는 방식과 FGM 방식을 이용하여 Inconel 718위에 GRCop-84 구리 합금을 적층하였다. 두 소재를 바로 접합할 경우, 구리의 낮은 흡수율과 높은 열전도성으로 인해 소재 용융 및 레이어간 결합이 어려웠으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GM 방식을 이용하였다[9]. NASA에서는 DED를 이용하여 GRCop-84 모재 위에 Inconel 625 소재를 적층하였다. 적층 결과, 두 소재 사이의 열팽창계수 차이, 미세조직 차이, 석출에 의한 계면 균열이 발생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두 소재 사이에 CuNi 중간층을 삽입하였다[10]. Liu 등은 블루 레이저 기반의 DED 공정을 이용하여 pure copper의 적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1].

본 연구는 DED 기술을 이용한 고내열 및 고열전도 구조체 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로, Inconel 625와 pure copper의 적층 가능성을 검토한 후 적층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해 관찰하고자 한다. 단일 비드(bead) 적층을 통해 형성되는 비드의 형상을 관찰하였으며, 예열, 중간층 삽입, 산소 분위기 제어에 따른 멀티 레이어(multi-layer) 적층 특성에 대해 관찰하였다.

2. 실험 방법

2.1 재료

본 연구에서는 pure copper를 모재(substrate)로 사용하였으며, 금속 분말로 대표적인 초내열 합금인 Inconel 625를 사용하였다. 사용된 금속 분말은 50~130 ㎛의 구형 분말(Fig. 1)이며, 모재는 길이 100 ㎜, 너비 100 ㎜, 두께 10 ㎜의 사각 블록을 사용하였다. 모재와 금속 분말에 대한 화학적 조성비는 Table 1 에 나타난 바와 같다.

Fig. 1. SEM image of Inconel 625 powder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1.png

Table 1 Chemical composition of Inconel 625 and pure copper (wt%)

Element

Inconel 625

Pure copper

Ni

Bal.

-

Cr

21.1

-

Mo

8.82

-

Nb

3.31

-

Fe

4.71

-

Ti

0.16

-

Si

0.13

-

Mn

0.02

-

O

0.03

-

N

0.003

-

C

0.006

-

S

0.025

-

Cu

0.003

99.97

2.2 Directed energy deposition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는 VESTA-1300&LENS(DED Hybrid machine)으로 CNC 머신(HWACHEON, Korea)과 DED 적층 모듈(Optomec, USA)이 결합된 장비이다(Fig. 2). 1,070 ㎚ 파장을 가지는 파이버(fiber) 레이저 시스템으로 최대 레이저 출력은 1 kW이다. DED 헤드(head)는 분말 운반 가스를 통해 분말을 공급해주는 4개의 노즐(nozzle)과 레이저 광학계로 구성되며, 분말 공급량은 분말 공급 장치(powder feeder)로 조절 가능하다. 분말의 이송 및 산화 방지를 위하여 아르곤(argon, Ar) 가스를 분말 공급 가스와 중앙 노즐 공급 가스로 공급하였다. 모재 표면으로부터 9.6 ㎜ 떨어진 노즐에서 분사된 분말이 용융풀(melt pool) 영역으로 공급되며, 모재에 입사되는 레이저 빔의 반차폭(FWHM) 직경은 1.0 ㎜이다.

Fig. 2. VESTA-1300&LENS(DED Hybrid machine) used for experiment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2.png

2.3 공정 조건

DED 주요 공정 변수로는 레이저 출력, 분말 공급량(powder feed rate), 이송 속도(travel speed), 가스 공급량(gas flow rate), 레이어 두께(layer thickness), 해칭 간격(hatching space) 등이 있으며, 공정 변수의 조합은 적층 형상 및 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층의 적층 두께는 0.25 ㎜, 해칭 간격은 0.5 ㎜, 분말 이송 가스는 7 L/min, 산화 방지를 위한 중앙 노즐 공급 가스는 30 L/min으로 고정하였으며, 레이저 출력, 분말 공급량, 이송 속도를 공정 변수로 선정하여 적층시 나타나는 특성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2.4 시험 방법 및 시험편 전처리

멀티 레이어 적층 시편은 10×20 ㎟ 크기로 비드 폭의 50%를 중첩하도록 지그 재그(zig-zag) 방식으로 스캔하며, 각 층마다 스캔 방향을 90〬 로 회전시켜 z축 방향으로 적층한다.

시험편 전처리를 위해 #220~#2000의 SiC 연마지와 3 ㎛, 1 ㎛ 연마천을 사용하여 시편의 표면을 연마하였으며, 광학 현미경을 통해 표면 결함을 관찰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단일 비드 적층

단일 비드 적층을 진행하기 앞서 분말 유무에 따른 pure copper의 용융성을 관찰하였다. 써모커플(thermocouple)를 이용하여 적층 중 모재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도식도는 Fig. 3 과 같다. Fig. 4 에서 알 수 있듯이 레이저만 조사될 경우 pure copper가 용융되지 않았으며, 소량의 분말과 레이저가 같이 조사되었을 때 용융되었다. 레이저 빔이 재료 표면에 도달하면 광학 특성에 따라 반사, 흡수, 투과 작용이 나타난다. 특히 파장은 특정 공정에 가장 적합한 레이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어느 정도 흡수가 일어나는 파장을 선택하지 않으면 가열이나 상태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12]. 금속의 경우, 재료 표면에 흡수된 레이저 빔의 일부가 전자-포논 상호작용을 통해 열로 변환되고 이 열은 적층 제조에 필요한 재료의 용융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표면 온도를 상승시킨다[12]. 일반적으로 금속의 반사율은 파장이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며 1,060 ㎚ 파장에서 구리 흡수율은 10%미만으로 매우 낮다[17],[20]. 이러한 흡수율로 인해 레이저가 조사되더라도 pure copper로 흡수되는 빔의 양이 거의 없고, 변환되는 열의 양 또한 매우 작기 때문에 재료 용융에 필요한 표면 온도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Inconel 625 분말이 공급되면 표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Fig. 5). Inconel 625의 합금 입자와 다중 레이저 빔 반사로 인해 빔-물질 상호작용이 더 복잡하게 나타나면서 흡수되는 빔의 양이 증가하고 변환되는 열의 양도 증가해 표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포논 밀도가 증가하여 더 많은 전자-포논 에너지 교환이 발생하고 이때 전자는 진동하고 재방출되기 보다는 상호 작용에 더 많은 기여를 하게 된다. 그 결과 온도 상승에 따라 반사율이 감소하고 흡수율이 증가한다. 또한 반사율이 표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므로 적층 중에 동적으로 변하며, 재료와 생성된 용융풀에 대한 방사선 결합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12],[20]. 이는 결과적으로 pure copper의 용융을 야기하며, 단일 비드 적층을 하기 위해서는 pure copper의 흡수율을 높여 표면 온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 6 은 이송 속도에 따른 비드 형상을 나타내며, 이에 대한 공정 조건은 Table 2 와 같다. Fig.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 속도가 증가할수록 불완전한 비드가 형성되었다. 이송 속도가 느릴 경우 모재로 조사되는 레이저가 천천히 이동하기 때문에 입열량이 증가하게 되지만 이송 속도가 빠를 때에는 레이저가 빠르게 이송되기 때문에 입열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적층 비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50 mm/min이하의 낮은 이송 속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Fig. 7 은 분말 공급량에 따른 비드 형상을 보여주며, 이에 대한 공정 조건을 Table 3 에 나타내었다. 적층 결과, 분말 공급량이 1.63 g/min 보다 적을 경우 적층 비드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2.76 g/min보다 많을 경우 볼링(balling) 현상이 발생되었다. 적층시 첫 번째 비드의 경우, 흡수된 에너지가 크게 증가하여 도포된 분말이 국부적으로 용융된다. 이로 인해 소결된 분말과 소결되지 않은 분말 사이에 급격한 온도 구배가 형성되며, 온도 구배는 표면 장력 구배와 그에 따른 마랑고니 대류를 발생시킨다. 마랑고니 흐름으로 인해 얇은 비드가 불안정해지면서 용융물은 표면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구 형태의 집합체로 분리되고 볼링이 형성된다[13]. Gu 등은 제한된 액체 함량으로 레이저 에너지 입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볼링이 형성된다고 보고하였으며, Pan 등은 레이저 출력이 증가하면 출력에 의해 흡수되는 입사 에너지가 증가하여 액체 형성량이 많아지고, 이 조건에서는 용융물의 점도와 표면 장력이 감소하여 액체 흐름과 입자 재배열이 촉진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볼이 형성될 수 있다고 한다[13]-[14]. 이를 통해 낮은 레이저 출력으로 인해 볼링 현상이 발생했음을 유추할 수 있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열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Fig. 3. Schematic of the single bead deposition test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3.png

Fig. 4. Melting of pure copper depending on the (a) absence of powder and (b) presence of powder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4.png

Fig. 5. Surface temperature according to powder and travel speed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5.png

Fig. 6. Single bead shape depending on travel speed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6.png

Fig. 7. Single bead shape depending on powder feed rate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7.png

Table 2 Deposition parameter in travel speed

Parameter

Value

Laser power (W)

950

Powder feed rate (g/min)

1.34

Travel speed (mm/min)

50, 75, 100, 200, 300, 400, 500

Table 3 Deposition parameter in powder feed rate

Parameter

Value

Laser power (W)

950

Powder feed rate (g/min)

0.78, 1.63, 2.76, 3.47

Travel speed (mm/min)

50

3.2 멀티 레이어 적층

Schoenung 등은 높은 반사율과 열전도율을 가진 재료의 경우 적층이 시작될 때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재료가 녹을 수 있는 충분한 열이 공급되지 않으나, 지속적으로 열이 가해졌을 경우 입열량이 높아져 성공적인 적층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15]. 이는 단일 비드 적층시 비드 형성이 되지 않았던 조건이라도 멀티 레이어 적층을 통해 최적 적층 공정이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높은 반사율을 가진 소재의 경우 단일 비드 적층과 멀티 레이어 적층의 상관관계가 크지 않음을 함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예열, 중간층 삽입, 산소 분위기 제어를 이용하여 멀티 레이어 적층을 진행하였으며, 적층 조건은 아래 Table 4 와 같다.

Fig. 8(a)는 단일 비드를 연속적으로 적층한 시편(as-built)의 단면을 나타내며, Fig. 8(b)는 부족한 용융 에너지를 보완하기 위해 pure copper를 예열한 적층 시편의 단면을 보여준다. 적층 결과, 예열을 하였을 때 두 소재의 접합성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예열과 상관없이 모든 조건에서 해칭 간격마다 결함이 관찰되었다.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분석 결과(Fig. 9), Cr, Al, Ti, Nb 산화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느린 이송 속도로 인해 용융풀이 대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산화막(oxide film)이 형성되더라도 높은 레이저 출력으로 인해 대부분의 산화막이 소멸되지만, pure copper를 용융시킬 수 있는 입열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함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Fig. 8(c)는 10 ㎛두께로 pure copper위에 Ni층을 도포한 후 Inconel 625를 적층한 시편 단면이다. 중간층 삽입은 두 소재 사이의 열·기계적 물성 차이가 클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한 개념으로 많이 적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pure copper의 높은 반사율과 계면 결함을 완화하기 위해 Inconel 625의 주성분인 Ni을 얇은 두께로 도금하였다. Ni 중간층이 있을 경우, 중간층이 없을 때보다 두 소재간의 접합성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앞선 결과와 동일하게 해칭 간격마다 산화막이 형성되었다. 이는 중간층 삽입이 입열량을 높여주기는 하나 산화막 형성 완화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구리를 녹일 수 있는 충분한 레이저 출력이 구리에 닿아 녹기 시작하면 에너지 반사에서 흡수로 전환된다. 이 시점에서 구리의 고유 전도성이 작용하여 다른 재료보다 더 빨리 중심에서 에너지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용융풀의 역학이 변한다[18]. 용융풀이 형성되기 시작할 때 용융풀 표면은 액체 금속의 산화를 위한 경계면 역할을 한다. 대기 중의 산소가 표면에 흡착되고 용융풀 표면에 형성된 모든 산화물은 거의 순간적으로 붕괴되어 용융풀로 교반되며 대류 흐름에 의해 순환된다. 이때 산소는 즉시 용융풀로 흡수된다. 일반적으로 금속 적층 제조 공정에서 산소에 대한 노출 및 용융풀과의 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9]. Chia 등은 산소 반응성이 높은 재료는 적층 제조가 어렵다고 보고하였으며, Kate 등은 구리의 산소 민감도(oxygen sensitivity)에 대해 언급하면서 안정적인 구리 적층을 하기 위해서는 매우 낮은 산소 농도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다[16],[19]. 이를 바탕으로 적층 도중 발생하는 산화막 형성 방지와 적층성 향상을 위해 산소 농도를 0.2%미만으로 제어 후 적층하였다(Fig. 8(d)). 적층 결과, as-built, 예열, Ni 중간층 삽입보다 적층성이 향상되었으며, 산화막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다른 조건대비 적층 높이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희석부(dilution) 깊이가 얕고 해칭 간격마다 결함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입열량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산소 분위기 제어가 pure copper와 Inconel 625의 적층 가능성을 높이는 것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두 소재의 원활한 적층을 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레이저 출력을 조사하여 입열량을 높이는 방법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Fig. 8. Result of multi-layer deposition (a) as-built, (b) pre-heating, (c) 10 ㎛ Ni inter-layer, and (d) oxygen atmosphere control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8.png

Fig. 9. EDS result of oxide film

../../Resources/kiee/KIEE.2024.73.5.893/fig9.png

Table 4 Deposition parameter in multi-layer

Parameter

Value

Laser power (W)

950

Powder feed rate (g/min)

0.78

Travel speed (mm/min)

50

4. 결 론

본 연구는 고내열-고열전도 구조체 제작을 위한 기초 연구로 Inconel 625와 pure copper의 적층 가능성 및 적층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일 비드 적층시 분말량이 너무 적을 경우 pure copper의 낮은 흡수율로 인해 용융에 필요한 표면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지 않으며, 분말량이 과도할 경우 레이저 출력 부족으로 인한 볼링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두 소재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pure copper에 공급되는 입열량이 높아야하며, 높은 분말 민감도로 인해 적절한 분말 공급량을 공정 조건으로 선정해야 한다.

(2) 단일 비드 적층이 멀티 레이어의 결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실질적인 적층 공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사율이 높은 소재일 경우 단일 비드 적층보다는 멀티 레이어 적층이 최적 적층 공정 도출에 더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3) 멀티 레이어 적층시 해칭 간격마다 산화막에 의한 결함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산화막은 낮은 레이저 출력과 느린 이송 속도로 인해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pure copper의 입열량과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예열과 Ni 중간층을 삽입하여 적층하였다. 그 결과, 두 소재의 적층성은 향상되었으나 산화막에 의한 결함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4) 산화막 형성 방지와 적층성 향상을 위해 산소 분위기 제어 후 멀티 레이어 적층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았으며 적층성도 크게 향상되었다. 하지만 입열량 부족으로 인해 희석부가 얕고 해칭 간격마다 결함이 발생되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더 높은 입열량이 필요하며 공정 최적화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송 속도를 낮추고 레이저 출력을 높이는 방식으로 입열량을 높였다. 하지만 pure copper의 높은 열전도율과 광섬유 레이저가 1,060 ㎚ 파장 대역에서의 제한적인 광흡수율을 가지므로 pure copper를 용융시키기가 어려웠으며, pure copper 위에 Inconel 625를 적층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향후 공정에서의 산소 분위기를 제어하여 적층 결함을 유발하는 산화막 생성을 억제하는 동시에 pure copper의 용융 촉진을 위해 예열을 적용하는 공정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기관주요사업 “Add-on 모듈 탑재를 통한 지능형 뿌리공정 기술개발(KITECH PEO24050)” 및 산업통상자원부의 “3D 프린팅 공정 제어 및 설계 최적화 기법(DfAM) 적용을 통한 F급 이상의 고효율 냉각터빈 고온부품 기술 개발(1415187620)”의 지원으로 수행한 연구입니다."

References

1 
P. R. Gradl, C. Protz, K. Zagorski, V. Doshi, and H. McCallum, “Additive Manufacturing and Hot-fire Testing of Bimetallic GRCop-84 and C-18150 Channel-Cooled Combustion Chambers using Powder Bed Fusion and Inconel 625 Hybrid Directed Energy Deposition,” AIAA Propulsion and Energy 2019 Forum, pp. 4390, 2019.DOI
2 
A. Marques, A. Cunha, M. Gasik, O. Carvalho, F. S. Silva, and F. Bartolomeu, “Inconel 718-copper parts fabricated by 3D multi-material laser powder bed fusion: a novel technological and designing approach for rocket engin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vol. 122, pp. 2113-2123, 2022.DOI
3 
P. R. Gradl, C. Protz, K. Cooper, C. Garcia, D. Ellis, and L. Evans, “GRCop-42 Development and Hot-fire Testing Using Additive Manufacturing Powder Bed Fusion for Channel-Cooled Combustion Chambers,” AIAA Propulsion and Energy 2019 Forum, pp. 4228, 2019.DOI
4 
Q. Jiang, P. Zhang, Z. Yu, H. Shi, D. Wu, H. Yan, X. Ye, Q. Lu, and Y. Tian, “A Review on Additive Manufacturing of Pure Copper,” Coating, vol. 11, no. 6, 2021.DOI
5 
T. Q. Tran, A. Chinnappan, J. K. Y. Lee, N. H. Loc, L. T. Tran, G. Wang, V. V. Kumar, W. A. D. M. Jayathilaka, D. Ji, M. Doddamani, and S. Ramakrishna, “3D Printing of Highly Pure Copper,” Metals, vol. 9, no. 7, 2019.DOI
6 
T. Pan, X. Zhang, T. Yamazaki, A. Sutton, W. Cui, L. Li, and F. Liou, “Characteristics of Inconel 625-copper bimetallic structure fabricated by directed energy deposition,”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vol. 109, pp. 1261-1274, 2020.DOI
7 
M. Grandhi, V. Nguyen, Z. Liu, C. O. R. O. D. L. Cruz, and X. Song, “Copper-nickel functionally magnetic gradient material fabricated via directed energy deposition,”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100, pp. 47-54, 2023.DOI
8 
R. Anderson, J. Terrell, J. Schneider, S. Thompson, and P. Gradl, “Characteristics of Bi-metallic Interfaces Formed During Direct Energy Depositio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ing,” Metallurgical and Materials Transactions B, vol. 50, pp. 1921-1930, 2019.DOI
9 
B. Onuike, B. Heer, and A. Bandyopadhyay, “Additive Manufacturing of Inconel 718-Copper Alloy Bimetallic Structure using Laser Engineered Net shaping (LENS™),” Additive Manufacturing, vol. 21, pp. 133-140, 2018.DOI
10 
P. R. Gradl, C. Protz, J. Fikes, A. Clark, L. Evans, S. Miller, D. Ellis, and T. Hudson, “Lightweight Thrust Chamber Assemblies using Multi-Alloy Additive Manufacturing and Composite Overwrap,” AIAA Propulsion and Energy 2020 Forum, pp. 3787, 2020.DOI
11 
X. Liu, H. Wang, K. Kaufmann, and K. Vecchio, “Directed energy deposition of pure copper using blue laser,” Journal of Manufacturing Processes, vol. 85, pp. 314-322, 2023.DOI
12 
M. Brandt, “The role of lasers in additive manufacturing,”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pp. 1-18, 2017.URL
13 
Y. F. Shen, D. D. Gu, and Y. F. Pan. “Balling Processing in Selective Laser Sintering 316 Stainless Steel powder,” Key Engineering Materials, vol. 315, pp. 357-360, 2006.DOI
14 
P. Oyan, “Laser Sintering Technology and Balling Phenomenon,” Photomedicine and laser surgery, vol. 36, no. 2, pp. 72-77, 2018.DOI
15 
P. Kiani, A. D. Dupuy, K. Ma, and J. M. Schoenung, “Directed energy deposition of AlSi10Mg: Single track nonscalability and bulk properties,” Material & Desing, vol. 194, 2020.DOI
16 
B. Kate, “Copper alloy a perfect fit in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amid material challenges,” AUSTRALIAN MANUFACTURING, 2023.URL
17 
S. Qu, J. Ding, J. Fu, M. Fu, B. Zhang, and X. Song, “High-precision laser powder bed fusion processing of pure copper,” Additive Manufacturing, vol. 48, 2021.DOI
18 
M. Zach, “Copper alloy find their place in the world of additive manufacturing,” CANADIAN METALWORKING, 2023.URL
19 
H. Y. Chia, L. Wang, and W. Yan, “Influence of oxygen content on melt pool dynamics in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High-fidelity modeling with experimental validation,” Acta Materialia, vol. 249, 2023.DOI
20 
S. M. William, and M. Jyotirmoy, “Laser Material Processing,” Springer, 2010.URL

저자소개

양승원(Seung-Weon Yang)
../../Resources/kiee/KIEE.2024.73.5.893/au1.png

She received her B.S degree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in 2019, and the M.S degree in ocean advanced materials convergence engineering from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in 2021. She is presently a Ph. D. student in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윤종천(Jong-cheon Yoon)
../../Resources/kiee/KIEE.2024.73.5.893/au2.png

He received his B.S. degrees in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in 2014, and the M.S degree in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form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in 2016. Since 2019, he has been a researcher at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dditive manufacturing of metal.

어두림(Du-rim Eo)
../../Resources/kiee/KIEE.2024.73.5.893/au3.png

He received his B.S, and Ph. D. degrees in material engineering from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STECH), Pohang, Korea in 2016 and 2021 respectively. Since 2022, he has been a senior researcher at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lie on the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and thermodynamic analysis

이 협(Hyub Lee)
../../Resources/kiee/KIEE.2024.73.5.893/au4.png

He is a Principal Researcher at the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His research interest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metal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and quality prediction techniques using process monit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