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2. (Shimonoseki City University, Shimonoseki, Japan)



MVDC, Stochastic Optimization, Distributionally Robust Optimization, Distribution Networks

1. 서 론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전력망 내 재생발전원의 비중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 중 태양광 발전원의 대부분은 중전압 이하의 배전망에 연계된다. 그러나 출력의 간헐성과 변동성이 높아 예측이 어려운 특성을 가져 배전계통 운영자(Distribution System Operator; DSO)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배전망 운영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원의 일시적인 최대 출력량만을 고려하여 배전망을 계획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중전압 배전망에 강제적인 조류제어 가능한 전압형 컨버터 기반의 DC 설비를 활용하여, 배전 피더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신규 설비의 증설 지연 및 재생발전원의 수용한계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운영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전압 배전망에서의 DC 설비의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며, 특히 3개 이상의 터미널을 갖는 다중터미널 DC (Multi-Terminal Direct Current; MTDC) 설비를 활용하여 서로 다른 여러개의 배전망을 연계한 플랫폼의 운영 방안을 연구하였다. 특히, DC링크 단에 에너지 저장설비(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연계하여, 컨버터를 통한 배전망 간의 전력 분배 기능과 충/방전 기능을 동시에 갖춘 일종의 허브(Hub) 역할을 할 수 있는 MTDC 설비를 고려하였다[2].

해당 설비를 운영함에 있어 불확실성 요소인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의 출력 예측 오차를 고려하기 위해, 최적 운영 문제 정식화에 확률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였다. 기존의 일반적인 확률 최적화 기법은 확률변수의 분포가 가우시안 분포와 같은 특정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지만, 태양광 및 부하출력의 예측오차와 같은 확률변수의 실제 분포는 수학적으로 정형화되지 않는 형태의 분포 형태를 지닌다. 이로 인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분포 강건 최적화 (Distributionally Robust Optimization; DRO)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특히 분포 강건 최적화 기반의 기회제약 (Distributionally Robust Chance Constrained optimization; DRCC) 문제로 MTDC 시스템의 최적 운영 문제를 정식화하였다[3].

본 논문은 이전 연구[4]의 확장으로, 연계 배전망에서의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량에 대한 특정 신뢰도 범위 준수에 관련된 제약문제를 DRCC로 정식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MTDC 설비를 활용한 배전망 운영 문제에 있어 배전망에서의 신뢰도 제약조건을 확률적으로 일부 완화하여 추가적인 운영 비용 이득을 취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였다.

2. 본 론

2.1 Problem formulation

본 절에서는 ESS가 연계된 MTDC 설비의 운영 모델을 소개하며,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 출력의 예측 오차를 확률변수로 반영한 DRCC 기반의 MTDC 설비 최적 운영 문제를 정식화하는 절차를 소개한다.

2.1.1 ESS가 연계된 MTDC 시스템 운영 모델

그림 1과 같이, 하나의 DC링크를 여러개의 전압형 컨버터가 공유하며 연계되어 있으며, DC/DC 컨버터를 통해 ESS가 DC링크에 연결되어 있고, 각 컨버터를 통해 서로 다른 배전망이 연계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해당설비의 운영 모델을 아래와 같이 수식화 할 수 있다.

(1)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png
(2)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png
(3)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3.png
(4)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4.png
(5)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5.png
(6)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6.png
(7)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7.png
(8)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8.png

여기서, 출력 전력량 보존을 의미하는 (1)에서의 $P_{conv.t}^{k},\: Q_{conv.t}^{k}$는 k번째 배전망에 연계된 컨버터의 유/무효전력 출력을 의미하며 $P_{ess.t}^{k}$는 DC링크단에 연계된 ESS의 출력을 나타낸다. (2), (3)에서의 $P_{conv.loss.t}^{k},\: C_{conv.loss}$는 각각 k번째 컨버터에서의 설비 손실 및 손실률을 의미한다. (3), (4)에서의 $S_{conv},\: P_{ess.max}$는 각각 컨버터 및 ESS의 정격 용량을 나타낸다. 식 (5)는 ESS의 State-of-Charge(SOC) 관계식을 의미하며, (6)은 ESS의 손실률 반영, (7)은 SOC의 최대/최소 제약을 나타낸다. (8)은 시간 $t$에서의 SOC 계산 관계식을 나타낸다.

여기서, 컨버터와 ESS의 최대 출력 제약을 나타내는 (2)(6)의 비선형 제약은 아래와 같이 2차 원뿔 제약으로 완화될 수 있다[5].

(9)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9.png

그림 1. ESS가 연계된 MTDC의 구조

Fig. 1. The configuration of MTDC system with ESS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1.png

2.1.2 배전망 조류계산 모델

본 연구에서는 그림 2와 같이 3상 평형 배전망을 가정하며, 배전망 조류계산(Distflow) 기법을 활용하여 아래와 같이 조류계산 제약을 정식화할 수 있다.

(10)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0.png
(11)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1.png
(12)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2.png
(13)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3.png

여기서, (10)의 관계식에서 특정 모선에서의 전압 제곱을 $U^{k_{i.t}}=(V^{k_{i,\: t}})^{2}$으로, $i-j$번째 선로에서의 전류 제곱을 $\ell_{i.t}^{k}=(I_{i,\: t}^{k})^{2}$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그림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P^{k_{ij.t,\:}}Q^{k_{ij.t}}$는 각각 유/무효전력 조류량, $r^{k_{ij,\:}}" "x^{k_{ij}}$는 $i-j$번째 선로에서의 저항 및 리액턴스를 의미한다. (11), (12)에서의$P^{k_{load.j.t,\:}}Q^{k_{load.j.t,\:}}P^{k_{pv.j.t,\:}}Q^{k_{pv.j.t}}$는 j번째 모선에 연결된 부하 및 PV 발전원의 출력 유/무효전력을 의미한다.

그림 2. ESS가 연계된 MTDC의 구조

Fig. 2. The configuration of MTDC system with ESS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2.png

2.1.3 불확실성 변수 모델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 출력에 대한 예측 오차를 불확실성 변수로 모델링하였으며, 이때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원과 부하 출력의 예측 오차 변수를 각각의 배전망 별로 하나의 변수로 아래와 같이 모델링하였다.

(14)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4.png
(15)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5.png

여기서, $\xi^{k_{load.t,\:}}\xi^{k_{pv.t}}$는 k번째 배전망에서의 부하 및 태양광 발전원의 예측 오차를 나타내며, 변수에 위첨자$(\widetilde{\bullet})$가 붙은 경우 예측값 대비 오차가 구현된 이후의 값을 나타낸다. 태양광 발전원의 경우 일사량에 의해 출력이 영향을 받으므로, 서로 다른 배전망 일지라도 지역적인 특성으로 인해 출력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인근의 배전망에서 태양광 발전원 출력 예측값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측 오차와 DC설비의 출력으로 인한 영향이 반영된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를 민감도 계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6)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6.png
(17)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7.png
(18)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8.png
(19)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19.png
(20)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0.png
(21)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1.png
(22)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2.png
(23)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3.png

여기서, 주입 유/무효전력 대비 특정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의 민감도 수치는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산정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6]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2.1.4 분포 강건 최적화 기반의 기회제약 모델

앞서 구축한 MTDC 설비 및 배전망의 운영 모델과 불확실성 변수 모델을 바탕으로, 배전망에서의 전압 및 선로 조류에 대한 기회제약을 분포 강건 최적화 (DRCC) 기법을 활용하여 모델링하였다.

분포 강건 최적화란 그림 3과 같이 실현가능한 불확실성 변수의 잠재적인 분포들을 모호성 집합(Ambiguity set)이라고 하는 집합으로 나타내며, 이러한 모호성 집합은 불확실성 변수에 대한 측정기반의 샘플 데이터를 기준 분포로 하여 불확실성 변수의 실제 분포를 포함할 수 있도록 특정 반경(Radius)이내의 모든 분포를 포함하게 정의된다. 이때, 확률분포간의 거리를 정의하는 방법론이 필요한데, 본 논문에서는 아래 수식과 같이 Wasserstein metric 기반의 확률분포 거리함수를 활용하였다[3].

그림 3. 모호성 집합의 개념

Fig. 3. The concept of ambiguity set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3.png
(24)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4.png
(25)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5.png

여기서, 식 (24)는 서로 다른 두 확률분포($ℚ_{1},\: ℚ_{2}$)간의 거리를 Wasserstein metric 방법론으로 산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25)는 모호성 집합 내에서의 확률분포($ℙ$)들이 특정한 기준 확률분포($\hat{ℙ}_{N}$ ) 대비 $\varepsilon$만큼의 반경 이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수식이다.

이후 모호성 집합 내의 불확실성 변수 분포 중 가장 최악의 분포를 선정하여, 해당 분포에 대해 기회제약을 적용하는 것이 분포 강건 최적화 기반의 기회제약 모델의 원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회제약 모델을 아래 수식과 같이 배전망의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제약에 적용하였다.

(26)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6.png
(27)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7.png

여기서, $V_{\min},\: V_{\max},\: P_{br.max}$는 각각 모선 전압의 최소/최대 범위, 선로 조류의 최대 상한값을 의미하며, $\alpha_{V}$ 와 $\alpha_{P}$ 는 각각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에 대한 신뢰도 유지 확률의 하한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alpha_{V}=0.05$으로 설정할 경우, PV 및 부하의 예측 오차를 고려하였을 때 특정 모선에 대한 전압 위반율을 최소 5% 이하로 제한하겠다는 제약조건을 의미한다.

(26)의 모선 전압에 대한 기회제약을 구현 가능한 선형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하려고 한다. 이후 선로 조류제약 모델에 대해서도 같은 과정을 적용하였다. 식 (26)은 최저/최대 제약이 동시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를 아래와 같이 두 제약에 대한 최대함수로 나누어 표현할 수 있으며, 전압의 경우 DC설비의 출력변수 및 불확실성 변수에 대한 선형합으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이를 아래 수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28)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8.png
(29)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29.png
(30)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30.png

여기서, 식 (28), (29)(26)의 모선 전압 신뢰도에 대한 기회제약 수식을 최대/최소 제약 중 먼저 위반될 확률을 제한하도록 재표현한 것을 나타내며, 이를 최적화 문제에서의 결정변수 집합($X_{conv}$) 및 불확실성 변수 집합($\xi_{t}$)에 대한 선형적인 합으로 표현한 것이 (30)이다. 결정변수 집합 $X_{conv}$는 MTDC를 구성하는 각 컨버터의 시간별 출력 유/무효전력 및 ESS의 출력으로 구성된다.

이후, 해당 모델을 컴퓨터로 구현 가능하도록, 일종의 선형화 및 duality 이론 기반의 완화과정을 거쳐 구현하였다[7].

2.1.5 목적함수 및 문제 정식화

목적함수는 DC 설비를 통해 연계된 배전망에서의 전기 수입 비용에 대한 하루 동안의 누적값으로 모델링되며, 이는 연계된 배전망에서의 순부하(Netload)와 전기 수입비용을 곱한 값을 합산하여 아래 수식과 같이 계산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종적인 최적화 문제 구성은 아래 수식과 같다.

(31)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31.png
(32)
../../Resources/kiee/KIEE.2024.73.8.1291/eq32.png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최적화 문제의 구성을 시각적으로 표기하면 그림 4와 같다. 사용자의 운영 의도에 따라 두 개의 파라미터(모호성 집합의 반경, 위반 확률)와 불확실성 변수의 샘플 데이터를 입력으로 모호성 집합을 구성하고, 예측한 하루 동안의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 Profile, 시간별 전기 가격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루 동안의 배전망 운영 모델과 DC 설비의 운영 모델, 목적함수를 구성하여 (32)와 같이 DC 설비의 확률론적 운영을 위한 최종적인 최적화 모델을 구성한다.

그림 4. 제안하는 최적 문제 정식화 과정

Fig. 4. The process to formulate the optimization problem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4.png

3. 사례연구

3.1 Case Study

제안방안의 효과검증을 위해, 그림 5와 같이 IEEE33 모선 테스트 계통을 활용하여 4개의 배전망이 DC설비를 통해 연계되어 있는 상황을 가정한다. 세부 사양은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하루 동안 변동하는 태양광 발전원과 배전망별 부하 수준, 변동하는 전기요금의 예측값을 그림 6과 같이 가정하였다[2].

그림 5. 테스트 계통도

Fig. 5. Modified test systems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5.png

그림 6. 태양광 발전원(좌) 및 부하(우) 출력 예측값

Fig. 6. Predicted profiles of PV(left) and load(right) output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6.png

제안방안에 따라 MTDC설비를 통해 연계되어있는 배전망에서의 전압 및 선로 조류의 제약조건 위반 확률을 고려하여 운영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MTDC 설비 및 ESS의 운전점을 산정한 결과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에 대한 위반 확률을 5% 이내로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전기요금이 다소 낮은 4-5시, 14-16시 시간대에서는 ESS가 충전하고, 반대로 전기요금이 다소 높은 9-11시, 18-20시 구간에서는 ESS가 최대로 방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ESS의 충/방전에 따라 각 배전망으로부터 흡수, 또는 배전망으로 방출하는 전력량은 MTDC 설비를 통해 각 배전망에서 발생하는 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최적 배분된다. 이 과정에서 각 배전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압 및 선로 조류의 제약조건 위반 확률을 임의로 소폭 제어하여, 추가적인 비용 절감효과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표 1 연계 배전망 및 설비 사양

Table 1 Specification of test systems

배전망

PV 위치

[모선번호]

PV 용량

[kVA]

DC설비 위치

[모선번호]

DC설비 용량

[kVA]

1

8, 10, 24, 28, 33

700

33

1,000

2

11, 22, 29

700

25

1,000

3

4, 8, 11, 15,

23, 25, 28

700

33

1,000

4

23, 25

700

18

1,000

표 1은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 출력의 예측값에 대해 30개의 예측 오차를 구현하여, 실제 제안하는 방법론과 서로 다른 방법론과의 성능 비교를 모의한 결과를 나타낸다. 시나리오I는 MTDC 적용이 안된 경우, 시나리오II는 MTDC의 운영이 일반적인 결정론적 방법으로 운영된 경우, 시나리오III는 발생가능한 모든 예측오차에 대해 MTDC의 운영에 강건 최적화 (Robust Optimization)가 적용된 경우, 마지막으로 시나리오IV는 제안하는 DRCC기반의 확률 최적화가 적용된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 결과, 시나리오 I대비 II, III, IV에서는 MTDC의 운영을 통해 30개의 예측오차 시나리오에 대한 배전망 손실 총합 및 운영 비용(전력구매 비용)의 평균값이 모두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시나리오 II에서는 예측값만을 기반으로 MTDC의 최적 운전점을 산정하기 때문에 가장 이상적인 운영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예측오차를 일체 고려하지 않았기에 30개의 예측오차 구현시 전압 및 선로 조류에 대한 제약조건이 크게 위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강건 최적화를 적용한 시나리오 III의 경우 발생가능한 모든 예측오차를 반영하여 제약조건이 일체 위반되지 않도록 MTDC의 운전점을 결정하기에, 전압 및 선로 조류의 제약조건 위반 확률이 0%인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그만큼 운영 비용의 절감효과는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나리오 IV의 모의 결과, 전압 및 선로 조류의 낮은 위반확률(약 3.3%)를 허용하여 강건 최적화를 적용한 시나리오 III 대비 약 9.2%의 운영 비용 절감효과를 추가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위의 표 34는 제안하는 방법 내에서, 주요한 입력파라미터로 사용되는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 제약조건의 위반 확률($\alpha_{V},\: \alpha_{P}$)의 변화에 따른 MTDC 설비의 운영 효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alpha_{V},\: \alpha_{P}$)로 나타내는 위반 확률 파라미터는 제안하는 DRCC 최적화를 적용할 때 모선 전압 및 선로 조류의 제약조건의 위반확률을 임의로 얼마값으로 제어할 것인지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며, 제안하는 MTDC 운영 방식을 어느 정도로 보수적으로 운영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모의 결과, 표 34에서 모두 제약 위반 파라미터를 높일수록 실제 예측오차 구현결과 전압 및 선로 조류에 관한 제약조건 위반률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위반률이 상슴함에 따라 MTDC의 운영으로 인한 목적함수(전력구매 비용)의 절감률 또한 같이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약조건 위반률이 상승될수록 목적함수의 최적화 효과가 같이 증가하는 Trade-off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만 입력하는 위반률이 특정값을 넘을 경우 위반률 상승(위험 부담 증가)에 따른 전력구매 비용 절감(목적함수 최적화)의 효과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사전에 스터디하여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수행한 사례연구를 기준으로 하면, 전압 제약위반 파라미터($\alpha_{V}$) 증가에 따라 제약조건 위반율은 함께 증가하게 되지만, 일정 수치 이상으로 제약위반 파라미터가 높아지게 되면 위반율 증가 대비 전력구매 비용 절감률은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게 되는 임계점에 도달할 수 있다. 본 사례연구에서는 해당 값이 $\alpha_{V}=0.10$을 기점으로 하는 것을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선로 조류제약에 대한 위반 파라미터($\alpha_{P}$) 또한, 마찬가지로 파라미터 증가에 따른 실제 제약위반율 및 비용 절감률도 같이 증가하나, 전압 제약보다는 증가 폭이 매우 높다. 현재로서는 국내/외로 선로 최대 이용률에 대한 일시적인 위반 확률에 대한 기준은 존재하지 않으나, 본 사례연구에 한정하여 DSO는 해당 위반율이 대폭 상승하기 이전의 임계 값 ($\alpha_{P}=0.05$)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해당 수치는 DSO의 계통 운영 지침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그림 7. 하루 간 전기요금 변동

Fig. 7. Profiles of electricity price per a day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7.png

그림 8. MTDC내 컨버터의 유효(좌), 무효(우)전력 최적 운전점

Fig. 8. Profiles of optimal active(left) and reactive (right) power output in MTDC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8.png

그림 9. ESS 출력 및 SOC 변화

Fig. 9. Profiles of ESS power output and SOC

../../Resources/kiee/KIEE.2024.73.8.1291/fig9.png

표 2 운영 시나리오별 성능 비교

Table 2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operation scenarios

시나리오

배전망 총

손실 평균 [kWh/day]

전력구매

비용 평균

[$/day]

제약조건 위반률 [%]

모선 전압

선로 조류

I

5,746

222.9

96.7

100

II

5,117

54.3

36.7

80

III

5,291

70.2

0

0

IV

5,237

63.7

3.3

0

표 3 제약위반 파라미터(전압) 변경에 따른 성능 비교

Table 3 Performance comparison under different violation parameters (bus voltage)

제약

위반률

파라미터

(전압)

배전망 총

손실 평균 [kWh/day]

전력구매

비용 절감률

[%]

제약조건 위반률 [%]

모선 전압

선로 조류

0.05

5,237.3

9.24

1.43

3.27

0.10

5,227.6

11.29

3.03

3.27

0.15

5,226.8

11.51

4.87

3.27

0.20

5,226.7

11.55

5.97

3.27

표 4 제약위반 파라미터(선로 조류) 변경에 따른 성능 비교

Table 4 Performance comparison under different violation parameters (branch power flow)

제약

위반률

파라미터

(선로

조류)

배전망 총

손실 평균 [kWh/day]

전력구매

비용 절감률

[%]

제약조건 위반률 [%]

모선 전압

선로 조류

0.05

5,237.3

9.24

1.43

3.27

0.10

5,161.1

15.52

1.60

10.00

0.15

5,147.0

17.07

1.67

14.27

0.20

5,142.8

17.55

1.73

19.00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ESS와 MTDC를 결합하여 여러 배전망을 연계하고 이의 확률적 운영 전략을 제안하였다. 태양광 발전원 및 부하 출력 예측의 불확실성하에서 운영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분포강건 최적화 방식 기반의 운영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사례연구를 통해 불확실성 요소 하에서 연계 배전망에서의 전압 및 선로 조류에 관한 제약조건 위반 확률을 유연하게 일부 허용하여, 추가적인 운영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 제안하는 방안은 불확실성 요소의 샘플데이터를 기반으로 모호성 집합을 구성하고 이를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여, 불확실성 요소의 분포가 수학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향후 연구에는 이러한 분포강건 최적화 기반의 기회제약 문제 구조를 활용하여, 태양광 및 부하출력 예측의 불확실성 하에서 다수의 분산전원 및 DC설비의 협조 제어를 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결과입니다 (No. RS-2023-00218377),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3.0).

References

1 
X. Jiang, Y. Zhou, W. Ming, P. Yang, and J. Wu, “An overview of soft open points in Electricity Distribution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3, no. 3, pp. 1899–1910, 2022.DOI
2 
C. Han, S. Song, H. Lee, and G. Jang, “Sensitivity model-based optimal decentralized dispatching strategy of multi-terminal DC links for the integ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s in Distribution Network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3, no. 5, pp. 4022–4034, 2022.DOI
3 
P. Mohajerin Esfahani, and D. Kuhn, “Data-driven distributionally robust optimization using the Wasserstein metric:Performance guarantees and tractable reformulations,” Mathematical Programming, vol. 171, no. 1–2, pp. 115–166, 2017.DOI
4 
C. Han, J. Choi, and G. Jang, “Stochastic optimization-based operation of MVDC system in distribution networks,” 2024 KIEE spring conference, Yeosu, Repulic of Korea, pp. 28. April. 2024.URL
5 
P. Li, H. Ji, C. Wang, J. Zhao, G. Song, F. Ding, and J. Wu, “Optimal Operation of Soft Open Points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Under Three-Phase Unbalanced Conditions,”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10, no. 1, pp. 380–391, 2019.DOI
6 
K. Christakou, J. -Y. LeBoudec, M. Paolone, and D. -C. Tomozei, "Efficient Computation of Sensitivity Coefficients of Node Voltages and Line Currents in Unbalanced Radial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in IEEE Transactions on Smart Grid, vol. 4, no. 2, pp. 741-750, 2013.DOI
7 
B. K. Poolla, A. R. Hota, S. Bolognani, D. S. Callaway, and A. Cherukuri, “Wasserstein distributionally robust look-ahead economic dispatch,” IEEE Transactions on Power System, vol. 36, no. 3, pp. 2010–2022, 2021.DOI

저자소개

한창희 (Changhee Han)
../../Resources/kiee/KIEE.2024.73.8.1291/au1.png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15, 2017 and 2022, respectively. He was a Research Engineer with Hyundai MOBIS Co., Ltd., Yongin, South Korea, from 2017 to 2018. He worked as a Postdoctoral Employee in Qualcomm Institute at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CA, USA, from 2022 to 2023. Since 2023, He has been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tochastic optimization, AC/DC hybrid distribution networks,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최재석 (Jaeseok Choi)
../../Resources/kiee/KIEE.2024.73.8.1291/au2.png

was born at Gyeongju, Korea in 1958. He obtained B.Sc., M.Sc. and Ph.D. degrees from Korea University in 1981, 1984 and 1990 respectivel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Fuzzy Applications, Probabilistic Production Cost Simulation, Reliability Evaluation and Outage Cost Assessment of Power Systems. He was a Post-Doctor at University of Saskatchewan in Canada on 1996. He was also a visiting professor at Cornell University, NY, USA in 2004 to 2007. He was an adjunct professor of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IL, USA in 2008 to 2010. Since 1991, he has been on the faculty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where he is a professor. He has retired in 2023 and is emeritus professor now. He was 2020 president of KIEE. And He is Fellow of KIEE since 2020. Now, He is special mission appointed guest professor at Shimonoseki City University, Japan.

장길수 (Gilsoo Jang)
../../Resources/kiee/KIEE.2024.73.8.1291/au3.png

received his B.S. and M.S. degrees from Korea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He received his Ph. D. degree from Iowa State University, U.S., in 1997. He worked in the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at Iowa State University as a Visiting Scientist for one year, and as a researcher at the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for two years. He is presently a Professor of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orea Universit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ower system dynamics and contr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