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Hyoungtae Kim)
1iD
최경식
(Kyoungshik Choi)
1iD
박소진
(Sojin Park)
1iD
조영아
(Youngah Cho)
1iD
한상욱
(Sangwook Han)
†iD
-
(New Business Technology Resesarch Division, KOGAS Research Institute, KOGAS, Korea)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Natural gas supply management office, Net-zero, Turbo Expander Generator, pressure-regulating stations
1. 서 론
한국가스공사는 해외 생산국으로부터 천연가스를 도입하여 생산기지에 보관하였다가 기화하여 전국 약 5,000km의 주배관망을 통해 각 지점의 정압기지로
송출한다. 생산기지에서는 장거리 수송이 가능하도록 기화된 고압의 천연가스를 송출하며 각 지역의 정압기지에서는 수요처의(도시가스사, 발전소 등) 요구에
맞춰 중·저압의 천연가스를 공급한다. 이때 정압기지에서는 고압의(약 60bar) 천연가스를 감압밸브를 통해 35bar ~ 8bar로 감압시켜 수요처로
송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의 감압 에너지는 미활용 되고 있다. 터보팽창형 정압기는 정압기지의 천연가스 감압 과정에서 미활용 압력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시스템이며 그림 1은 터보팽창형 정압설비의 원리이다[1].
2020년 기준 한국가스공사 정압기지는 전국 약 150개소이며 대표적인 수요처는 발전소 및 도시가스사로, 송출되는 압력 및 용도에 따라 구분 된다.
발전소 공급을 위한 천연가스 정압기지에 터보팽창형 정압기를 설치할 경우 약 1.6MW 전력생산이 가능하며(송출 유량 50ton/hr, 압력
60bar에서 25bar로 감압) 도시가스사 공급을 위한 정압기지의 경우 약 3.8MW 의 발전이 가능하다.(송출 유량 50ton/hr, 압력 60bar에서
8bar로 감압) 기존 천연가스 정압기지 인프라를 활용하는 터보팽창형 정압기는 발전소 건설에 따른 추가 구축비용 및 민원발생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향후 분산형 전원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신에너지로써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2].
한국가스공사는 2018년부터 정압기지 운영 효율 향상과 분산형 전원 적용 가능성 확인을 위해 터보팽창형 정압기 국산화 개발을 시작하여 2023년
경기남부의 정압기지에서 시험 운영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정압기지에서 운영 중인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최대 전력 생산량은 약 1,500kW이다.
그림 1. 터보팽창형 정압설비의 원리
Fig. 1. Principle of turbo expander generator
본 논문에서는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특징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성능평가 과정에 대해 설명 하고 향후 전력계통에 확대 적용 될 수 있도록 시험 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2. 천연가스 정압기지와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구성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연가스 정압기지에서 터보 팽창형 정압기의 활용은 고압의 천연가스 압력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전환,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정압기지에 적용되는 터보팽창형 정압기 구성은 그림 2와 같다.
그림 2. 천연가스 정압기지와 터보팽창형 정압기 구성
Fig. 2. Composition of natural gas constant pressure base and turbo expander type
constant pressure device
정압기지 내 정압동의 구성은 기존 정압기와 터보팽창형 정압기를 병렬로 연결하는 구조로 고압의 천연가스를 먼저 터보팽창형 정압기로 흐르게 하고
기준 유량 약 28.8ton/hr 초과 시 병렬로 연결된 정압기로 우회 통과(by-pass) 되어 정압밸브(PCV)를 통해 감압되는 시스템이다.
또한 터보팽창형 정압기 고장 발생 시 전단의 차단밸브가 닫히고 병렬 연결된 정압기를 통해 감압 할 수 있는 긴급 차단 시스템을 구성하여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천연가스 감압과정에서는 온도보상이 필요한데 기존 정압밸브(PCV)의 감압과정(등엔탈피)의 경우 10bar 감압 시 4°C ~ 6°C 정도 내려가며
터보팽창기 감압과정(등엔트로피)에서는 10bar 감압 시 10°C ~ 20°C 내려간다[1].
본 논문의 경우 수요처 가스공급 온도가 0°C 이상인 점을 감안하여 터보팽창형 정압기 전단에 열교환기를 추가 설치하여 가스 온도를 보상하였으며 시스템
구성은 그림 3과 같다. 이 때 소요되는 열량은 $\dot{Q=}\dot{m}\triangle h=\dot{m}c_{p}\triangle T$ 로 계산된다. 여기에서
m은 질량, Δh는 단위 질량당 엔탈피의 변화, Cp는 정압비열, ΔT는 시스템의 온도 변화량을 나타낸다.
그림 3.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온도보상
Fig. 3. Temperature compensation of turbo expander type constant pressure machine
2.1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를 위하여 실증 대상 정압기지의 유량 및 압력, 감압 방식, 발전량에 따른 경제성, 부지 활용, 범용성 등의 분석을 통하여
설계를 진행하였고 분석 조건은 표 1과 같다.
표 1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를 위한 분석
Table 1 Analysis for design of turbo-expander type constant pressure machine
정압기지
|
전국 천연가스 정압기지 유량, 압력, 허용 부지 등
|
감압방식
|
천연가스 공급패턴, 공급압력, 감압 압력에 따른 1~2단 감압 등
|
발전방식
|
발전출력, 감압기준, 소음, 효율 등
|
경제성
|
발전량에 따른 IRR, PAY BACK 등
|
본 논문에서는 1.5MW급 터보팽창형 정압기 개발 및 실증을 위해 경기 남부의 천연가스 정압기지를 선정하였고 다양한 운영 조건 분석을 통하여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정압기지 전 후단의 천연가스 압력 차와 유량이다. 실증 대상
정압기지의 연간 운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대 압력이 63bar이며, 최소 압력 57bar, 그리고 평균 압력은 60bar 이며 유량의 경우 최고
유량 70ton/hr, 최소 유량은 20ton/hr으로 압력 변동에 비해 유량 변동폭이 넓은 공급 특성을 나타낸다. 특성분석 결과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 유량을 높게 설정 할 경우 천연가스 공급유량이 적은 기간에 터보팽창형 정압기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며 설비정지 기간이 증가하여 연간 발전량은 감소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터보기계의 특성 중에 하나인 빈번한 정지 및 기동을 실시할 경우 내구성 및 안정성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기준유량은
잦은 정지 없이 작동 할 수 있는 28.8 ton/hr으로 설계하였다.
터보팽창형 정압기에 사용될 수 있는 발전기 종류는 유도 발전기와 동기 발전기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입출력 전력에 따라 고압 발전기와 저압
발전기로 구분할 수 있다[3]. 본 논문에서는 초기 투자비용과 품질, 방폭사양, 제작기간 등을 고려하여 저압 유도 발전기로 선정하였으며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최종 설계 사양은 표 2와 같다[4].
표 2 터보팽창형 정압기 설계 사양
Table 2 Turbo expander type constant pressure design specifications
변수
|
설계 사양
|
입구 유량
|
28.8 ton/hr
|
입구 압력
|
6.0 MPaG
|
입구 온도
|
TBD
|
토출 압력
|
0.85 MPaG
|
토출 온도
|
> 0℃
|
발전 출력
|
1.5MW급 저압 유도 발전기
|
3.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성능 평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연가스 정압기지의 운영 현황 및 설비 특성 검토를 바탕으로 기본 설계 및 상세 설계를 진행 하였고 다양한 개발 과정을 거쳐
터보팽창형 정압기 제작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실증 운전을 위해 2년 동안 성능 평가 시험 및 인증 절차에 맞춰 관련
개발을 진행 하였으며 관련 시험 및 인증은 크게 공장시험(FAT, Factory Acceptance Test)과 현장시험(SAT, Site Acceptance
Test)으로 구분된다. 공장시험을 통해 실증 현장 설치 전 설비의 성능 및 안전성을 검증하였고 현장시험에서는 현장 설치 후 상업운전 시 발생 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관련 기관의 검사를 통과 하였다.
3.1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공장시험(FAT, Factory Acceptance Test)
먼저 공장 시험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실시하였다. 첫째 터보팽창형 정압기 기계적(구동부) 안전성 검증을 위한 작동성 시험(Mechanical
Run Test)과 둘째 발전 및 정압 성능을 검증을 위한 성능 시험(Performance Test) 마지막으로 안전성 검증을 위한 기밀검사 및 안전
장치 작동 검사(Interlock test)이다.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공장 시험은 그림 4의 공장 검사용 시험설비에서 진행되었으며 KGS-FS452-PC15 (2020)와 ASME PTC-10 및 API 617등의 기준을 준수하여 시험을
진행하였다[5].
그림 4. 공장 검사용 시험설비
Fig. 4. Test equipment for factory inspection
3.2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현장시험(SAT, Site Acceptance Test)
공장 시험을 통하여 실증 현장 설치 후 상업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검증 하였고 터보팽창형 정압기 현장 설치 후 설비 안전성 및
성능 검증을 위한 현장시험(SAT, Site Acceptance Test)을 실시하였다. 현장 시험은 구동 전 준비 및 점검을 실시하는 예비 시운전
(Pre-Commissioning)과 시운전(Commissioning) 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현장 시험 세부 항목은 표 3과 같다.
표 3 현장시험 항목
Table 3 Field test items
항목
|
시험 내용
|
평가결과
|
터보팽창형 정압기
성능
|
작동조건에 따른 Normal stop 동작확인
|
정상작동
|
Emergency stop 자동 Trip 동작확인
|
이상없음
|
운전 조건(유량/압력)에 따른 발전 출력
|
성능확인
|
운전 조건(유량/압력)에 따른 정압기 후단 압력/온도
|
성능확인
|
기존 정압기와 연계 운전(병렬 운전)
|
정상작동
|
운전 중 진동
|
성능확인
|
운전 중 베어링 온도
|
정상작동
|
터보팽창형 정압기 안정성
|
비상정지 및 Trip 조건
|
성능확인
|
3.3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정격부하 성능 시험 결과
정격 조건(감압발전기(TEG)입구 압력 60.0bar 및 감압발전기 토출 압력 8.25bar)에서 감압발전기 정격 성능 시험 결과는 아래와 같다.
표 4는 정격 조건에서의 감압발전기 성능 시험 결과를 시간별로 평균 한 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감압발전기 발전량이 설계 목표를
달성하였으며 정압 기능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정격 조건에서의 성능 시험 결과
Table 4 Performance test results under rated conditions
시간
|
5:40~5:59
|
6:00~6:59
|
7:00~7:59
|
8:00~8:40
|
주 배관 압력 (MPa)
|
6.43
|
6.42
|
6.34
|
6.10
|
주 배관 유량 (ton/hour)
|
26.3
|
29.8
|
33.3
|
34.2
|
TEG 입구압력 (MPa)
|
5.78
|
5.99
|
5.93
|
5.82
|
TEG 유량 (ton/hour)
|
26.0
|
27.8
|
28.2
|
28.2
|
발전량 VCB (kW)
|
1,517
|
1,549
|
1,526
|
1,509
|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정압기지의 천연가스 감압과정에서 활용되지 못했던 미활용 압력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설계와 개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상업운전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공장 시험과 현장 시험 과정에 대해 면밀히 검토하였다. 공장시험을 통하여 현장 설치 전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성능 및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현장 시험에서는 현장 설치 후 상업운전 시 발생 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관련 기관의 검사를 통과
하였다.
터보팽창형 정압기는 기존 정압시설 인프라를 활용하는 발전시설로 석탄화력 발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고 신규 발전소 건설에 따른 구축 비용 및
민원발생 가능성이 적어 향후 소규모 분산형 전원으로써 국가적으로 매우 유용한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본 수행결과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사회
실현을 위한 신에너지원으로써 터보팽창형 정압기가 더욱 확대 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 분산전원 특별법 등 분산전원에 대한 역할이 더욱 커지고
이에 대한 보상방안 또는 시장이 개설된다면 터보팽창형 정압기의 설치는 더욱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대용량 또는 다수의 터보팽창형 정압기가
설치되는 환경에서 전력계통에 대한 기여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has been supported by the "Development of 1.5MW 2-staged turbo-expander
generator and research of field application of TEG process on gas regulating station"(RD2017-0081)
research project from Korea Gas Corporatin(KOGAS).
References
Seong Ho Hong, Kyung Chun Kim, Hyun Seok You, Jong Man Ha, “Research Articles : Turbo
Expander Power Generation Using Pressure Drop at Valve Station in Natural Gas Transportation
Pipeli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FOR GAS, vol. 16, pp. 1-7, 201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Renewable Energy 3020 Implementation Plan,”
Dec. 2012.
KOGAS Research Institute, “Localization of TEG Technical plan (plan) service,” Oct.
2015.
Hyoung Tae Kim, Hyunseok You, Kyoung-Shik Choi, Sangwook Han, “A Study on Interconnecting
to the Power Grid of New Energy Using the Natural Gas Pressure,”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 15, pp. 307–314, 2020.
Hyoung Tae Kim, Hyun Seok You, Kyoung Shik Choi, So Jin Park, Sang Wook Han, “A Study
on Power System Connection of Turbo Expander Generat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9, no. 4, pp. 207-213, 2020.
저자소개
Hyoungtae Kim received Ph.D. degrees in Industrial engineering from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 Ansa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
Kyoungshik Choi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Korea. He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 Ansan, Korea.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
Sojin Park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Chem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2012 and 2014 respectively. 2016~ Present Senior Researcher, Korea
Gas Research Institute, Korea Gas Corporation.
Youngah Cho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Materi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Her is currently an senior research engineer at KOGAS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Her current research interests include turbo expander generator, H2
mixing system.
Sangwook Han was born in Seoul, Korea, in 1982.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2004, 2006 and 2012
respectively.
He worked as a senior researcher in KEPRI, Daejeon, Korea, which was research institute
of KEPCO from 2012 to 2016. He worked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Dong Seoul University,
Seongnam-si, Korea, from 2016 to 2021.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in Gachon
University, Seongnam-si, Korea, since 2021. His current research interest includes
analysis, planning, calculation of powe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