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Taeyeong Noh, Korea)
  2. (Sannam Hwang, Korea)



BALUN, RF Antenna, Arc Detection, Antenna PCB

1. 서 론

아크 혹은 아크방전은 비전도성 매체(공기 등)를 통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가스 절연 파괴 현상으로 절연 매체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번쩍이는 방전 현상이다. 여러 가지 전기적 요인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아크는 부분적인 고온으로 인해 높은 열과 에너지를 발생시켜서 화재 및 폭발사고를 유발한다[1]. 매년 증가하는 전기재해 속 인명사고는 아크성 재해가 대부분 원인을 차지하고 있으며, 수/배전반의 부분방전 (Partial Discharge, PD)을 사전에 검출하여 아크성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 및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술개발이 활발한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의 큰 단점은 부품대비 고가의 가격으로 배전반의 일체형 또는 휴대성이 불편하지만, 휴대용의 간편성과 경제성을 모두 갖춘 RF 안테나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2]. 현재 국내의 경우 전기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선용차단기, 누전차단기 등의 보호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각종 사고의 원인이 되는 아크 신호를 검출하여 감시하는 시스템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3~5]. 2022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기화재는 8,802 건이며 조사된 감전 사상자의 수는 총 405 명으로 사망 18 명, 부상 387 명으로 집계되었다. 그림 1은 감전 사상자의 감전 형태별 발생분포표이다. 아크에 의한 감전사고는 405 건 중 160 명으로 39.5 %이며 이는 충전부 직접접촉 162 명에

그림 1. 2022년 감전형태별 감전사고 발생분포

Fig. 1. Distribution of electric shock accidents by type of electric shock 2022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1.png

이어 두 번째로 높은 확률의 감전 원인을 가진다[6].

아크감지기는 고전류 아크를 초기에 감지함과 동시에 발생하는 열과 압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하므로 작지 않은 부피를 가진다. 이로 인해 설치장소인 배전반에 공간의 제약이 생기며 유지보수 작업등에 복잡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이용자들은 아크감지기의 설치에 대하여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배전반에서 아크를 감지할 때 사용하는 RF 안테나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여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일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Bar 형태의 일반적인 안테나 PCB에 RF Transformer를 장착함으로 RF 안테나 PCB의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동시에 RF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하여 실용성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2. PCB 형태에 따른 RF 안테나 성능변화

2.1 S 파라미터 이론

S 파라미터란 Scattery Parameter를 의미하며, 포트의 회로망에 대한 임피던스나 어드미턴스 파라미터와 같이 포트들에 입사하는 전압파를 그 포트들로부터 반사되는 파와 연관시켜준다. S 파라미터는 N개의 포트로 정의된 시스템에서 각 포트에 입사된 전력과 각 포트에 도달한 혹은 반사된 전력의 비로 정의할 수 있다[7]. RF(Radio Frequency) 안테나 PCB 설계에 있어 S 파라미터 중 $S_{11}$은 주로 반사 손실 (Reflection Loss)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이다. 반사 손실은 RF 안테나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S_{11}$ 값이 낮을수록 안테나의 성능은 향상된다. 첫 번째로 낮은 $S_{11}$ 값은 안테나의 주변 환경 간의 신호 반사를 최소화한다. 안테나에서 발생하는 반사가 줄어들면 신호는 효과적으로 안테나에서 외부로 전달된다. 이로써 외부로 전달되는 신호의 손실이 최소화되며, 안테나의 성능이 향상된다. 두 번째로 낮은 $S_{11}$ 값은 안테나가 전파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안테나는 입력 신호를 외부로 전파하고 수신한 신호를 내부로 가져와야 한다. $S_{11}$ 값이 낮을수록 이러한 전파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세 번째로 안테나에서의 반사가 낮으면 신호 손실이 감소한다. 이것은 RF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의 강도와 품질을 유지하고, 신호의 거리 및 범위를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네 번째로 $S_{11}$ 값이 낮을수록 안테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안테나의 효율적인 작동은 무선 통신의 신호 강도, 신호-대잡음비 (SNR), 데이터 전송률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아크 방전 감지 시스템에서 사용할 RF 안테나의 S 파라미터 중 $S_{11}$의 값은 낮을수록 좋은 성능을 가지며 이를 위하여 PCB 설계에 신중해야 한다. 안테나의 경우 multi-port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입력포트만 존재하기 때문에 $S_{11}$만 출력된다. 보통 특정 주파수대역에서 $S_{11}$이 뚝 떨어지는 형상을 취하게 되는데, 방사주파수에서 $S_{11}$이 크게 떨어진다는 의미는 그 주파수에서 입력전압이 반사되지 않고 최대한 외부로 방출된다는 의미이다. $S_{11}$이 크게 떨어질수록 SWR (Standing-Wave Ratio)도 작아지며 안테나의 방사특성이 좋다는 의미가 되며, 떨어지는 그래프의 폭이 넓으냐 좁으냐에 따라 협대역이냐 광대역이냐가 구분된다. SWR은 주파수에서의 특정 RF 전송선로 또는 안테나 시스템의 임피던스 불일치 정도를 나타낸다. 임피던스 불일치는 신호의 반사와 손실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측정하고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RF 설계 가이드라인과 실제 RF 측정 분석에서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바에 따르면, 안테나의 반사 손실이 -10 dB 이하일 때, 이는 안테나로 입사되는 전력의 90% 이상이 방사를 위해 전송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기준은 안테나가 받은 전력을 효율적으로 방사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업계에서 사용하는 표준이다. 그럼으로 $S_{11}$을 측정할 때 –10 dB를 기준으로 효율을 판단한다[8].

2.2 PCB 형태에 따른 S 파라미터 변화

2.2.1 BAR 형 RF 안테나 PCB

그림 2는 BAR 형 RF 안테나 PCB와 RF 안테나의 실물 사진이다. BAR 형 PCB의 크기는 가로 2 cm, 세로 3.5 cm이며 양 끝단은 한쪽은 RF 안테나, 나머지 한쪽은 SMA 커넥터로 계측기와 연결된다. 그림 2 우측은 초기 제작된 RF 안테나로 가로 25 cm, 세로 25 cm의 크기를 가진다. RF 안테나의 크기는 그 안테나가 어떤 주파수대에서 작동할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안테나의 크기는 주파수와 파장 길이에 직접 영향을 미치며, 주파수에 따라 적합한 크기가 다를 수 있다.

그림 2. BAR 형 RF 안테나 PCB 및 RF 안테나

Fig. 2. BAR RF Antenna PCB, RF 안테나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2.png

그림 3은 스파이럴 안테나의 암 패턴이며, 기본 설계 변수로는 스파이럴 암의 너비(w)와 암간 간격(s)이 있고, 암 패턴의 반지름 $r_{1}$과 $r_{2}$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결정되는 턴수 (N)도 중요한 변수이다. 암 폭과 암 간격이 정해져 있을 때 반지름 $r_{1}$과 $r_{2}$, 턴수는 식 (1)과 같이 정해질 수 있고 식 (2)와 같이 동작 주파수의 상한 주파수와 하한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9].

그림 3. RF 안테나 암 패턴

Fig. 3. Arm pattern of RF Antenna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3.png
(1)
$s=w=\dfrac{r_{2}-r_{1}}{4N}$
(2)
$r_{1}\le\dfrac{c}{2\pi f_{high}},\: r_{2}\ge\dfrac{c}{2\pi f_{low}}$

연구 초기에 설정한 부분방전 측정 주파수는 0.5 ~ 2.0 Ghz 임으로 위 공식에 근거하여 턴수 (N)은 10으로 설정하였으며 $r_{1}$은 0.5 cm, $r_{2}$는 11 cm 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4는 BAR 형 RF 안테나 PCB와 RF 안테나의 결합한 결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DATA이다. 약 400 Mhz까지의 $S_{11}$은 불안정한 모습이지만 대부분 –10 dB 이하의 $S_{11}$을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 4. BAR 형 RF 안테나 $S_{11}$ 시뮬레이션

Fig. 4. BAR RF Antenna $S_{11}$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4.png

그림 5는 BAR 형 RF 안테나의 $S_{11}$을 Network Analyzer로 실제 측정한 값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와 같이 약 300 Mhz에서 600 Mhz까지의 $S_{11}$ 값이 불안정하게 떨리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제작한 BAR 형 RF 안테나가 협대역이란 뜻이며 협대역이란 매우 제한된 주파수 범위에서만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며, 그 범위를 벗어나면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바를 의미한다. 또한, 실제 측정한 값이 시뮬레이션 DATA와 달리 값이 –10 dB 이상으로 기준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임피던스가 불일치하여 나타나는 현상으로 안테나 PCB 수정이 요구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BALUN 형 RF 안테나 PCB를 고안하였다.

그림 5. BAR 형 RF 안테나 $S_{11}$

Fig. 5. BAR RF Antenna $S_{11}$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5.png

2.2.2 BALUN 형 RF 안테나 PCB

RF 변압기는 RF 안테나와 전자 장치 또는 전송 라인 간의 임피던스 불일치를 해결하는 데 사용한다. 또한, RF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거나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데 이유는 RF 안테나에서 받은 신호는 미약함으로 RF 변압기를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하거나 적절한 형식으로 변환해야 한다. RF Transformer는 BALUN으로 명칭 하며 BALUN은 "BALANCE - UNBLANCE Transformer"를 나타내는 말로, 주로 무선 통신 및 RF (Radio Frequency) 분야에서 사용된다. BALUN은 미리 설정된 임피던스를 가진 미리 설정된 단자와 함께 설계된 변압기 또는 변환기다. 이 변환기는 주로 RF 안테나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BALUN을 사용하는 이유는 평형 안테나의 출력을 불평형 급전선에 맞추어 전달함으로써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RF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함이고 그 외에도 잡음 제어, 안테나 효율증가, 선로 밸런싱 등이 있다. BALUN 형 RF 안테나 PCB에 사용한 TC4-19+ 모델이며 RF Transformer이다. 주파수 범위는 10MHz부터 1.9GHz까지 사용 가능하다. TC4-19+ 모델은 변압기로, 주로 1:4 비율의 변압기로 사용된다. 제작한 스파이럴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는 200Ω이며 사용한 SMA 커넥터의 임피던스는 50Ω이기 때문에 TC4-19+ 발룬을 적용하여 임피던스를 매칭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제작한 BAR 형 RF 안테나는 평형급전선을 적용한 것과 달리 발룬을 적용할 경우 삽입손실은 불가피하다. TC4-19+ 모델의 삽입손실은 주파수대역에 따라 약 1dB에서 3dB까지 나타난다. 이처럼 발룬은 손실을 동반하고 평형급전선을 적용한 것에 비해 손실이 비교적 발생하긴 하나 수신레벨이 평형급전선과 비교하여 크게 차이나지 않다면 임피던스 매칭과 부피감소효과를 가진 발룬을 적용하는 것이 안테나 PCB를 설계하는데 있어 더 이점이 있다. 그림 6은 BAR 형 RF 안테나 PCB와 RF 안테나의 실물 사진이다. BALUN 형 PCB의 크기는 가로 2 cm, 세로 1.5 cm로 제작하였다. 그림 6 우측은 새로 제작한 RF 안테나로 가로 20 cm, 세로 20 cm의 크기를 가진다.

그림 6. BALUN 형 RF 안테나 PCB 및 RF 안테나

Fig. 6. BALUN Antenna PCB, RF 안테나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6.png

연구 초기에 설정한 부분방전 측정 주파수는 0.5 ~ 2.0 Ghz였으나 아크 측정 결과 0.5 ~ 1.5 Ghz 주파수대역에서 대다수의 부분방전이 관측됨으로 불필요한 안테나의 크기를 감소했다. 가로세로 5 cm를 감소하였으며 턴수 (N)는 10에서 8로 감소하였다. 가로세로 길이와 턴수 (N)은 식 (1)과 식 (2)를 참조하여 계산하였다. $r_{1}$은 0.5 cm 유지하였으며 $r_{2}$는 8 cm 으로 감소하였다. 그림 7은 BALUN 형 RF 안테나 PCB와 RF 안테나의 결합한 결과에 대한 시뮬레이션 DATA이다. 기존에 제작하였던 그림 4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달리 400 Mhz까지의 주파수대역이 안정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S_{11}$이 전체적으로 –10 dB 이하의 값을 가진다.

그림 7. BAR 형 RF 안테나 $S_{11}$ 시뮬레이션

Fig. 7. BAR RF Antenna $S_{11}$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7.png

그림 8은 BALUN 형 RF 안테나의 $S_{11}$을 Network Analyzer로 측정한 값이다. 측정 결과 대부분의 $S_{11}$ 값은 시뮬레이션 DATA와 같이 –10 dB 이하로 초기에 예상했던 값에 수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림 5의 BAR 형 RF 안테나의 $S_{11}$ 앞단 (약 300 Mhz ~ 600 Mhz)과 비교하여도 떨림 현상이 현저하게 줄어든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PCB에 BALUN을 적용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을 해줌으로 더욱 안정된 $S_{11}$ 결과를 가질 수 있었다.

그림 8. BALUN 형 RF 안테나 $S_{11}$

Fig. 8. BALUN RF Antenna $S_{11}$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8.png

2.3 PCB 형태에 따른 아크 감지 DATA 변화

2.3.1 아크 발생 이론

아크는 절연체에서 발생되며 전극의 소손을 동반하여 연속적으로 빛을 내는 방전 현상으로, 고장 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따라 크게 직렬 아크와 병렬 아크로 나눌 수 있다[10~12]. 직렬 아크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부분에서 발생하며 이때 흐르는 아크 전류는 아크 발생 시의 임피던스와 부하의 임피던스에 의해 제한되어 에너지 레벨이 낮으므로 기존 차단기의 보호 레벨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13~15]. 본 논문의 실험에서 다룰 아크는 직렬 아크이다. 직렬 아크는 노화된 전선을 잡아당기거나 콘센트의 접속이 느슨하게 고정된 경우 또는 금속성 물체에 전선이 찢긴 경우 및 잦은 진동 때문에 전선의 소손이 일부 절단된 경우와 같이 단일 도체의 불완전한 연결 부위에서 발생한다[16~17]. 직렬 아크는 부하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 부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아크 전류가 부하에 의해 제한되므로 에너지 레벨이 작다. 직렬 아크 발생 시 전류는 부하전류와 같으므로 기존의 차단기 보호 레벨 범위 내에서 흐르며, 일부 아크와 유사한 부하로 인하여 정상상태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아 아크 고장 발생 시 신속한 제거를 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18].

2.3.2 아크 감지 실험환경

그림 9는 아크 감지 실험환경을 간단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상용전압 220 V는 전류차단기를 통해 배전반으로 입력된다. 220 V의 상용전압을 사용하는 만큼 실험자가 고압에 노출되어 있어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전류차단기를 설치하였다. 배전반을 통한 신호는 아크 발생 장치에 연결된다. 아크 발생 장치의 양단에는 배전반을 통한 220 V와 가전제품이 각각 연결된다. 가전제품은 소비전력 60 W의 전등을 사용하였다.

그림 9. 아크 감지 실험환경 모식도

Fig. 9. Schematice View Of Arc Detection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9.png

전압이 인가된 선로의 접촉부에 발생하는 아크를 모의하기 위해 그림 10과 같은 아크 발생 장치를 제작하였다. 전극은 탄소봉과 구리 재질로 구성되었으며 이동 전극을 조절하여 유동적으로 아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6]. 아크 발생 장치에서 생성된 아크는 Anritsu 사의 MS2721A 모델의 Spectrum Analyz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림 10. 아크 발생 장치

Fig. 10. Arc Generator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10.png

그림 11은 아크 감지 실험의 실제 실험환경을 구성한 모습이며 연결은 그림 10과 같다.

그림 11. 아크 감지 실험환경 모식도

Fig. 11. Schematic View Of Arc Detection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11.png

2.3.3 아크 감지 DATA

그림 12는 BAR 형 RF 안테나의 아크 감지 실험 DATA이며 그림 13은 BALUN 형 RF 안테나의 아크 감지 실험 DATA이다. 두 DATA의 실험환경은 동일한 환경과 가전제품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 대역폭은 같다. 주파수는 0 Hz에서 2 Ghz까지 범위로 측정하였으며 아크는 각각 한 번만 발생시켰다. DATA와 같이 약 400 Mhz 의 주파수에서 신호들이 검출되었으며 그 크기는 약 10 dB의 차이를 가진다. 이처럼 BALUN을 적용한 PCB가 평형급전선을 적용한 BAR PCB와 비교하여 수신레벨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BALUN을 적용하는 것이 임피던스 매칭과 부피감소 효과 등을 가지며 RF 안테나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 더욱 이점을 가진다.

그림 12. BAR 형 RF 안테나 아크 감지 DATA

Fig. 12. BAR RF Antenna Arc Detecting DATA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12.png

그림 13. BALUN 형 RF 안테나 아크 감지 DATA

Fig. 13. BALUN RF Antenna Arc Detecting DATA

../../Resources/kiee/KIEE.2024.73.9.1561/fig13.png

3.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수/배전반에서 아크를 감지할 때 사용하는 RF 안테나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여 휴대성과 실용성을 높일 방법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공간이 한정적인 수/배전반에서 효과적으로 아크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작은 부피의 아크 검출 시스템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초기 설계된 RF 안테나는 2 Ghz 까지를 목표로 가로세로 25 cm로 제작하였지만, 아크의 주 발생 주파수대역인 1.5 Ghz 까지로 측정범위를 수정하였고 이에 RF 안테나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각각 5cm 줄여 총 부피의 36 %인 45 ㎤를 감소시켰으며 안테나 PCB에는 기존설계된 평행급전선 형태와 달리 BALUN을 적용하여 임피던스 매칭과 동시에 세로 길이를 2.0cm 줄여 총 부피의 57%인 0.8㎤를 감소시켰다.(추가) 또한, 임피던스 매칭을 통하여 $S_{11}$값을 –10 dB에 수렴시켰으며 아크 감지 성능도 유지할 수 있었다. 이처럼 BALUN을 적용한 PCB가 평형급전선을 적용한 BAR PCB와 비교하여 수신레벨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면 BALUN을 적용하는 것이 임피던스 매칭과 부피감소 효과 등을 가지며 RF 안테나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 더욱 이점을 가진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아크를 보다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아크 발생 검출 시스템에 관한 연구로 2차 사고의 예방 확률을 높일 수 있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S3299280) fund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MSS, Korea)

References

1 
Yun-Sung Kim, Woo-Cheol Lee, “Arc Detection Method by Conversion of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 of Radio Frequency Power,” 2024 KIEE Winter Conference, pp. 115-121, 2024.URL
2 
Rae-Hyun Yu, Jae-Ho Kim, Kyung-Ho Kim, “Basic research on frequency analysis by arc discharge band using RF antenna for human body effect investigation,” 2022 KIEE Summer Conference, pp. 2016-2017, 2022.URL
3 
George D. Gregory,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 An emerging,” IEEE Tra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4, no. 5, pp. 928-933, 1998.DOI
4 
Chunlin Li, Francis Dawson, Hassan Kojori, Chris Meyers, and Edwin Yue, “Arc fault detection and protection -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AE Technical Papers, pp. 590-597, 2003.URL
5 
George D. Gregory, “More about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IEEE Trans. Industry Applications, vol. 40, pp. 928-933, no. 4, 2004.DOI
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Electrical Safety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Electric Safety Information Disclosure - Distribution of electric shock accidents by type of electric shock - Electrical Accident Statistics Report,2022, https://www.kesco.or.kr/bbs/selectPageListBbs.do?bbs_code=MCB00522URL
7 
Jeongeun Kim, Kim Kwangho, Nah Wansoo, “Diagnosis of Fault and Abnormal Conditions in a Single-Phase Transformer Using S-parameter Measurement,” KIEE Journal, Vol.67, no. 10, pp. 1344-1352, 2018.DOI
8 
Bird, “Practical Guidance on VSWR & Return Loss,” Bird RF, Dec. 09, 2021. https://birdrf.zendesk.com/hc/en-us/articles/4415495986967-Practical-Guidance-on-VSWR-Return-LossURL
9 
Jung-Rae Cho, Jin-Oh Park, Byung-Sek You, Un-Seob Jeong, Woo-Sung Chung, Dong-Chul Park, “Design of a 2~18 Ghz Wideband Cavity-Backed Spiral Antenna,” KIEES, vol.19, no. 10, pp. 1166-1174, 2008.DOI
10 
Gil Kyungseok, Ji Honggeun, Park Daewon, Kim Ilkwan, Kim Youngil, Jo Youngjin, “A Study on the High Speed Interruption of Parallel Arcing,” KIIEE, vol.22, no. 12, pp. 95-100, 2008.DOI
11 
Gil Kyungseok, Ji Honggeun, Park Daewon, Kim Ilkwan, Ryu Gilsu, Song Jaeyong, “Detection Method of Series Arc Signal,” KIIEE, vol.11, no. 5, pp. 477-481, 2008.URL
12 
James M. McCormick, and Pete Theisen,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development overviews,” SAE Technical Papers, pp. 2003-01-3233, 2003.DOI
13 
Wen-Jun Li, Yuan-Chun Li, “Arc fault detection based on wavelet packet,” Proc. 2005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Cybernetics, vol. 3, pp. 1783-1788, 2005.URL
14 
Carlos E. Restrepo, “Arc fault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s,” IEEE Conf. on Electrical Contacts, pp. 115-122, 2007.DOI
15 
Robert F. Couhglin, and Frederick F. Driscoll, Operational Amplifiers Linear Integrated Circuits, 3rd Edition, Prentice-Hall, INC., 1987.URL
16 
C.-S. Maroni, R. Cittadini, Y. Cadoux & M. Serpinet(2001), “Series arc detection in low voltage distribution switchboard using spectral analysis,” ISSPA, pp. 473-476, 2001.DOI
17 
Carlos E. Restrepo(2007), “Arc Fault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Methods,” IEEE Conf. on Electrical Contacts, pp. 115-122, 2007.DOI
18 
Ji Honggeun, Park Daewon, Kim Ilkwan, Gil Kyungseok, “Detection of Series Arc Signal,” Proceedings of the Korea Railway Society 2008 Autumn Conference, pp. 225-229, 2008.URL

저자소개

노태영 (Taeyeong Noh)
../../Resources/kiee/KIEE.2024.73.9.1561/au1.png

2023 to Present : MS course in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E-mail: 72230135@dankook.ac.kr

황선남 (Sunnam Hwang)
../../Resources/kiee/KIEE.2024.73.9.1561/au2.png

2007 : MS in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2007 to Present : Ph.D course in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2017 to Present : Invited Professor in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E-mail: sacheonsa@hanafos.com

김경호 (Kyung-Ho Kim)
../../Resources/kiee/KIEE.2024.73.9.1561/au3.png

1996 : MS, 1999 : Ph.D at Keio University, Japan.

2000 to 2006 : Principal Research Engineer in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SAIT).

2006 to Present: Professor in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E-mail: aonami@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