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용국
(Yongkuk Oh)
1iD
류준형
(Joonhyoung Ryu)
2
김재원
(Jaewon Kim)
2
이형철
(Hyeongcheol Lee)
†
-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Hydrogen Fuel Cell Railway, Equivalent Consumption Minimization Strategy(ECMS), Pontryagin’s Minimum Principle(PMP), Energy management strategy, Hybrid Energy Storage System(HESS)
1. 서 론
최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철도차량 분야에서도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철도차량의 경우 기존 전기철도와 달리 전차선 없이도 운행이 가능하여 건설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높은
에너지 밀도로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다. 또한 탄소 배출이 없어, 기존 노후 디젤 기관차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소연료전지의 화학반응 시간으로 인하여 다양한 운전조건 상에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서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배터리시스템의 경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지만, 충방전 속도가 느린 특성이 있다. 반면 울트라캐패시터의
경우, 배터리시스템에 비하여 우수한 충방전 속도 특성이 있지만 에너지 밀도가 적어, 장시간 전력공급에 부적합하다.
HESS(Hybrid energy storage system)는 두 장치의 장점을 결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에너지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1]에서는 HESS가 적용된 무가선트램에 대한 전력분배 전략을 제안하였다. 가선의 존재 여부 및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차량 내부의 전력 흐름을 정의하고,
HESS의 SOC(State of charge) 상태에 따른 전력분배 전략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축소형 HILS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2]에서는 EV(Electric Vehicle)의 배터리시스템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울트라캐패시터를 추가하여 HESS를 구성하였다. EV의 거동에 따른
요구전력을 만족시키며, 배터리시스템의 충방전 전력이 일정 수준 안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배터리시스템의 수명을 늘리고, 회생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3]에서는 SHEV(Series Hybrid Electric vehicle)의 연료소비를 최적화 하는 전력 분배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우선 엔진과 배터리시스템,
울트라캐패시터로 구성된 HESS를 대상으로 모터 효율 특성을 고려하여 전/후륜 토크 분배를 결정한다. 그리고 기존 TCS(Thermostat control
strategy), PCS(Power follower control strategy)를 변형하여 엔진과 HESS 간 최적 전력분배량을 결정하고 ECMS(Equivalent
consumption minimization strategy)를 통하여 HESS 내부의 전력 분배량을 결정하였다. [4]에서는 교류 전기철도 시스템의 에너지 소비 향상 및 회생에너지 활용을 위하여 변전소 내 HESS 적용성을 연구하였다. 2 레벨 모델(Bi-level
model of railway traction substation energy management, RTSEM)을 구성하여, 상위레벨에서는 HESS의
크기 결정, 하위 레벨에서는 일일 HESS 스케쥴링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위레벨에서는 GWO(grey wolf optimizer)기법을 사용하여
HESS의 최적 사이즈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하위레벨에서는 HESS, 견인 부하, 재생 제동 에너지 및 재생 가능 에너지를 조정하는 혼합 정수 선형계획법(mixed
integer linear programming, MILP)를 개발하였다. [5]에서는 대표적인 에너지저장장치들의 주요 성능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를 제시하며, 다양한 HESS 구성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RFB (Redox-Flow Batteries)와 울트라패캐시터를 결합한 HESS 아키텍쳐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최적의
시스템 구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수소연료전지와 HESS가 결합된 철도차량의 에너지 관리전략에 대하여 제안한다. ECMS를 통하여 수소연료전지와 HESS 간 최적 전력분배량을
결정하며, 차량 요구파워에 따라 전력분배량이 변경되도록 equivalent factor를 가변한다. 그리고 결정된 HESS 전력량에 대하여 수명특성
등을 고려하여 배터리시스템과 울트라캐패시터 간 전력량을 분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한다.
2. HESS를 탑재한 수소전기철도 시스템 구성 및 사양
2.1 시스템 구성 및 사양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한 HESS 탑재 수소전기철도의 추진시스템 구성은 그림 1과 같다.
Fig. 1. Propulsion system of hydrogen fuel cell railway equipped with a HESS
차량에서 요구되는 전체 전력($P_{dem{}{and}}$)은 인버터에서 소비되는 추진전력($P_{mot}$)과 보조부하를 위해 사용되는 보조전력($P_{siv}$)으로
구성된다.
$P_{hess}$를 HESS 출력의 합으로 정의하면, $P_{dem{}{and}}$는 수소연료전지 출력($P_{fc}$)과 $P_{hess}$의
합과 같다.
동력시스템 내 에너지원(수소연료전지, 배터리시스템, 울트라캐패시터)의 출력은 차량 dc-link 단에 연결되며, 수소연료전지 출력단에는 단방향 DC/DC
컨버터, 울트라캐패시터 출력단에는 양방향 DC/DC 컨버터가 위치한다. 이때 각 DC/DC 컨버터는 $P_{dem{}{and}}$에 따라 전력제어를
통하여 $P_{fc}$, $P_{uc}$를 결정하며, 나머지 부족한 전력은 배터리시스템의 출력($P_{bat}$)이 사용된다. 이러한 시스템 구성을
통하여 제동 시 발생하는 회생전력은 충방전 성능이 좋은 울트라캐패시터에 우선 저장될 수 있으며, 가속 시 차량에서 큰 순시전력이 요구될 때 울트라캐패시터
전력이 먼저 사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IV(Static inverter)는 차량 내 보조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양방향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경우, 차고지 또는 검수고에서 외부전원을 이용한 HESS 충전이 가능하여 시스템의 운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Table 1 Specification of hydrogen fuel cell railway
Components
|
Spec.
|
Unit
|
Vehicle
|
Weight
|
132
|
tonne
|
Max acceleration
|
2.99
|
km/h/s
|
Max deceleration
|
3.5
|
km/h/s
|
Hydrogen
fuel cell
|
Type
|
PEMFC
|
-
|
Max power
|
2,000
|
kW
|
Traction
system
|
Max
traction force
|
430,000
|
kN
|
Max power
|
2,986
|
kW
|
Battery
system
|
Capacity
|
460
|
kWh
|
Nominal voltage
|
510
|
V
|
Ultra
capacitor
|
Capacity
|
44
|
kWh
|
Capacitance
|
2,000
|
F
|
2.2 차량 및 추진시스템 모델링
2.2.1 차량 모델링
본 논문에서는 점질량 모델(point mass model)을 사용하여 차량모델을 구현하였다. 식 (3)과 같이 차량에 가해지는 내/외부 힘에 따라 차량 속도($v$)가 결정된다.
이때 $M_{veh}$는 차량 중량이며, 차량 내부 힘은 견인력($F_{tractive}$)과 제동력($F_{brake}$)으로 구성된다. 외부 힘은
주행저항($F_{res}$), 경사각 $\alpha$ 에 대한 구배저항($F_{slope}$)과 곡선반경($r$)에 대한 곡선저항($F_{res}$)이
있다.
2.2.2 HESS 모델링
HESS 모델링은 그림 2와 같이 내부저항 모델을 사용하였다. HESS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SOC(State of charge)는 입출력 전류($I$)와 정격용량($Q$)에
대하여 식 (4)와 같이 결정된다.
배터리시스템 입출력 전류($I_{bat}$)는 $P_{bat}$, 배터리시스템 개방전압($V_{ocv}$)과 내부저항($R_{bat,\:in}$)간
관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울트라캐패시터의 전류($I_{uc}$)도 전류의 방향에 따라 DC/DC 컨버터의 효율($\eta_{dc/dc}$)을 반영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Fig. 2. Internal resistance model of HESS
2.2.3 수소연료전지 모델링
수소연료전지는 연료전지 스택 외에 에어 컴프레셔, 모터, 쿨러, 가습기 및 밸브제어장치 등의 BOP(Balance of plant)로 구성된다. 수소연료전지의
출력은 수소의 화학반응시간 및 BOP 동작특성을 포함한 1차 시지연 함수로 간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P_{fc}^{ref}$는 목표 수소연료전지 발전량이며 $P_{fc}$는 실제 발전량이다.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는 그림 3과 같은 출력특성을 가진다. 이때 수소연료전지 발전 효율($\eta_{fc}$)은 식 (10)과 같으며, 여기서 $\dot{m}_{fc}$는 순시 수소소비량, $LHV_{fc}$는 수소의 저위발열량(Lower Heating Value)이다.
Fig. 3. Characteristics curve of Hydrogen fuel cell
3. HESS 에너지 관리 전략
3.1 HESS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제안 알고리즘
3.1.1 목적함수
본 논문에서는 HESS가 탑재된 수소전기철도의 수소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함수를 식 (9)과 같이 정의하였다.
이때 추진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의 제약조건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P_{fc,\: \min }$와 $P_{fc,\: \max }$는 수소연료전지의 최소/최대 발전량이며, $\triangle P_{fc,\:
\max }$는 최대 변화량이다. 그리고 $P_{hess,\: \min }$와 $P_{hess,\: \max }$는 HESS의 최대 충/방전 전력이다.
3.1.2 ECMS를 이용한 HESS 전력 결정
PMP(Pontryagin’s minimum principle)에 따르면 목적함수, $J$와 시스템 방정식 $f(x,\: u,\: t)$에 대한 hamiltonian
함수 $H$는 식 (11)과 같다.
여기서 목적함수를 최소화하는 입력 $u$는 아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때 시스템 방정식은 식 (4)이며, 배터리시스템의 에너지 용량이 울트라캐패시터보다 월등히 크므로, $P_{fc}$가 제어입력인 경우 $H$는 식 (13)과 같다.
그리고 $s=\dfrac{\lambda LHV}{V_{ocv}Q_{bat}}$라고 하면, 식 (13)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
따라서 수소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전역함수에서 순시함수인 식 (14)를 최소화하는 입력 $u=P_{fc}$를 찾는 문제로 변경되며, $s$는 수소 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등가 변환하는 EF (Equivalent Factor)이다.
이때 $s$가 작을수록 $H$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어입력($P_{fc}$)은 작아지며, s가 클수록 제어입력은 커지는 관계를 갖는다.
3.1.3 Equivalent Factor 결정
식 (15)를 최소화하는 $P_{fc}$는 $P_{dem{}{and}}$와 $s$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대하여 사전 오프라인 시뮬레이션을 실시할 경우, $s$의
최대값($s_{\max}$), 최소값($s_{\min}$)을 결정할 수 있다[6]. 따라서 차량의 주행상황에 따라 $s$를 변화시킬 경우, 철도차량의 운행 특성을 반영한 ECMS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요구파워인
$P_{dem{}{and}}$에 따라 $P_{fc}$, $P_{hess}$가 가변되도록 그림 4와 같이 $s$의 초기값($s_{"\in ial"}$)에 dead zone을 갖는 $P_{dem{}{and}}$의 비례 입력을 더하였다. 이때 배터리시스템과
울트라캐패시터의 SOC가 일정영역 내에서 움직이도록 각 목표 SOC에 대한 오차를 이용한 PI(Proportion Integral) 보상기를 통하여
$s$를 보정하였다.
Fig. 4. Decision of equivalent factor
3.1.4 HESS 전력분배 알고리즘
HESS를 구성하는 울트라캐패시터와 배터리시스템의 동작특성은 표 2과 같다. 울트라캐패시터의 경우 cycle 수명이 길고, 출력밀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에너지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고, 차량에 대용량을 탑재하기는
어렵다. 반면에 배터리 시스템은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출력밀도가 낮고, cycle 수명이 적어, 큰 입출력 파워를 사용하는 용도로 적합하지 않다.
Table 2 Characteristics of HESS
Components
|
Ultra capacitor
|
Battery system
|
Energy density
(Wh/kg)
|
5
|
70~200
|
Power density
(kW/kg)
|
7
|
0.5
|
Life cycle
|
> 1,000,000
|
500~5000
|
이와 같은 특징을 이용하여 그림 5와 같이 HESS 전력 분배 알고리즘을 구성하였다. 우선 $P_{hess}$에 대해서 고주파 통과필터 (HPF, High Pass Filter)를
통과시킨다. 이는 $P_{hess}$ 중에 저주파 영역을 제외한 고주파 성분의 전력을 울트라캐패시터에서 우선적으로 분담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하여
배터리시스템의 입출력 파워의 순시 크기를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배터리시스템의 수명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때 고주파 통과필터의 게인($K$)의
경우, $SOC_{uc}$가 큰 경우는 $K$를 크게 하여 울트라캐패시터가 분담하는 전력을 크게 하며, $SOC_{uc}$가 작은 경우에는 $K$를
작게 하여, 울트라캐패시터가 분담하는 전력을 작게 하였다. 또한 $SOC_{uc}$에 따라 출력을 보정($\triangle P_{uc}$)하여, 울트라캐패시터가
과충전, 과방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Fig. 5. Power distribution algorithm for HESS
3.2 규칙기반 알고리즘
본 논문에서 제안된 HESS 전력분배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비교를 위하여 아래와 같이 규칙기반(Rule-Based)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Fig. 6. Rule-based algorithm for HESS
우선 차량 제동으로 인한 회생전력이 발생한 경우, 수소연료전지 출력은 최소로 한다. 그리고 $SOC_{uc}$가 회생전력을 받을 수 있는 경우, $P_{hess}$는
울트라캐패시터에서 모두 담당한다. 만약 차량 요구파워가 큰 경우에는, 수소연료전지의 출력은 최고로 하며, 그외의 경우에는 수소연료전지의 출력을 최소로
동작하도록 한다. 그리고 $SOC_{uc}$의 크기에 따라 울트라캐패시터와 배터리시스템의 전력을 결정한다. 아울러 각 제어 파라미터는 배터리시스템의
SOC가 차량이 운행하면서 점차 감소되도록 튜닝하였다. (Charge-depleting mode)
4. 시뮬레이션
4.1 시뮬레이션 조건
본 논문에서 개발된 에너지 관리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주행 최고속도는 120km이며, 직선 평탄선로를 반복하여 주행하도록
하였다. 총 주행거리는 155km이며,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보조부하는 150kW로 가정하였다.
Table 3 Simulation condition
Components
|
Unit
|
Specification
|
주행거리
|
km
|
155
|
최고속도
|
km/h
|
120
|
보조부하 사용량
|
kW
|
150
|
초기 SOC
|
배터리시스템
|
%
|
50
|
울트라캐패시터
|
%
|
50
|
Fig. 7. Speed profile for simulation
4.2 시뮬레이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과 규칙기반 알고리즘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그림 8과 같다.
Fig. 8. Summary of simulation result
Fig. 9-1. Simulation result of Rule-Based Algorithm
Fig. 9-2. Simulation result of Rule-Based Algorithm
Fig. 9-3. Simulation result of Rule-Based Algorithm
Fig. 10-1. Simulation result of Proposed Algorithm
Fig. 10-2. Simulation result of Proposed Algorithm
Fig. 10-3. Simulation result of Proposed Algorithm
시뮬레이션 결과, 수소 소모량은 규칙기반 알고리즘 대비 제안된 알고리즘이 약 17% 향상되었으며, 오히려 최종 배터리 SOC는 약 5.6%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울트라캐패시터 SOC의 경우 제안 알고리즘이 약 2.3% 적으나, 이는 탑재된 울트라캐패시터의 에너지 용량 (배터리시스템의
9.5% 수준)을 고려하면,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 차이이다. HESS 전력 분배의 경우, 제안 알고리즘의 배터리 SOC 증감율과 배터리 충방전 파워의
크기가 규칙 기반 알고리즘 대비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울트라캐패시터가 큰 순시전력을 담당하도록 한 HESS 전력 분배
알고리즘이 효과적이라는 작용한 것을 알 수 있다.
5. 결 론
논문에서 제안된 하이브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HESS)을 탑재한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에너지 관리 전략은 수소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운전
조건에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규칙 기반 알고리즘 대비 수소 소비 효율을 약 17% 향상시켰으며,
배터리시스템의 SOC도 더 높게 유지되었다. 이는 제안된 에너지 관리 전략이 HESS 구성 요소 간의 전력 분배를 효과적으로 최적화하였으며, 울트라캐패시터가
큰 순시전력 요구를 분담하여 배터리 시스템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에도 기여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시뮬레이션에서는 직선 평탄선로, 일정한 주행 프로파일 및 보조부하
사용량을 가정하였으나, 실제 철도 환경에서는 다양한 곡선 구간, 경사, 노면 상태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복합적인 요소들은 차량의 에너지 소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향후 실제 노선 및 실차 주행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운행 조건에서의 성능을 검증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과제번호 RS-2024-00417481).
References
K. J. Kang, Y. K. Oh, J. H. Lee, M. K. Yeom, J. H. Kwak, and H. C. Lee, “Power Distribution
Strategy for Wireless Tram with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3, no. 11, pp. 1615-1621, 2014.
M. F. Hsieh, P. H. Chen, F. S. Pai, and R. Y. Weng, “Development of Supercapacitor-Aided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to Enhance Battery Life Cycle of Electric Vehicles,”
Sustainability, vol. 13, no. 14, pp. 7682, 2021.
Y. Ko, and J. Lee, and H. Lee, “A Supervisory Control Algorithm for a Series Hybrid
Vehicle With Multiple Energy Sources,”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64,
no. 11, pp. 4942-4953, 2015.
Y. Liu, M. Chen, S. Lu, Y. Chen, and Q. Li, “Optimized Sizing and Scheduling of Hybrid
Energy Storage Systems for High-Speed Railway Traction Substations,” Energies, vol.
11, no. 9, pp. 2199, 2018.
C, Schubert, W. F. Hassen, B. Poisl, S. Seitz, J. Schubert, E. O. Usabiaga, P. M.
Gaudo, and K. H. Pettinger, “Hybrid Energy Storage Systems Based on Redox-Flow Batteries:
Recent Development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Batteries, vol. 9, no.
4, pp. 211, 2023.
Y. Oh, J. Ryu, J. Kim, and H. Lee, “A Study on Energy Optimization Strategy using
ECMS For Hybrid Trai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72, no. 6, pp. 793-799, 2023.
M. Meinert, P. Prenleloup, S. Schmid, R. Palacin, “Energy storage technologies and
hybrid architectures for specific diesel-driven, rail duty cycles: Design and system
integration aspects,” Applied Energy, vol. 157, pp. 619–629, 2015.
Y. Sun, M. Anwar, N. M. S. Hassan, M. Spiryagin, and C. Cole, “A review of hydrogen
technologies and engineering solutions for railway vehicle design and operations,”
Railway Engineering Science, vol. 29, pp. 212–232, 2021
Y. G. Oh, B. H, Y. K. Oh, J. H. R, K. B. Lee, “Modeling of Hybrid Railway Vehicles
with Hydrogen Fuel-Cell/Battery using a Rule-Based Algorithm,” Journal of IKEEE, vol.
24, no.2, pp. 610-618, 2020.
J. Kong, Y. Guo, J. Liu, “Rule-based Energy Management Strategies for a Fuel Cell-Battery
Hybrid Locomotive,” 2020 IEEE 4th Conference on Energy Internet and Energy System
Integration, 2020.
C. C. Lin, H. Peng, J. W. Grizzle, and M. K. Jun, “Power management strategy for a
parallel hybrid electric truck,” IEEE Trans. Control Syst. Technol., vol. 11, no.
6, pp. 839–849, 2003.
C. C. Lin, S. Jeon, H. Peng, and J. M. Lee, “Driving pattern recognition for control
of hybrid electric trucks,” Vehicle System Dynamics, International Journal of Vehicle
Mechanics and Mobility, vol. 42, no. 1-2, pp. 41–58, 2004.
K. Deng, T. Fang, H. Feng, H, Peng, L. Lowenstein, and K. Hameyer, “Hierarchical eco-driving
and energy management control for hydrogen powered hybrid trains,”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vol. 264, 2022.
B. Geng, J. K. Mills, and D. Sun, “Two-Stage Energy Management Control of Fuel Cell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Considering Fuel Cell Longevity,”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61, no. 2, pp. 498-508, 2012.
C. Zheng, W. Li, and Q. Liang, “An Energy Management Strategy of Hybrid 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IEEE Trans. on Sustainable Energy, vol.
9, no. 4, pp. 1880-1888, 2018.
G. Paganelli, S. Delprat, T. M. Guerra, J. Rimaux, J. J. Santin, “Equivalent Consumption
Minimization Strategy For Parallel Hybrid Powertrains,” IEEE 55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ol. 4, pp. 2076-2081, 2002.
J. Li, Y. Liu, D. Qin, G. Li, and Z. Chen, “Research on Equivalent Factor Boundary
of Equivalent Consumption Minimization Strategy for PHEVs,”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69, no. 6, pp. 6011-6024, 2020.
S. J. Moura, H. K. Fathy, D. S. Callaway, and J. L. Stein, “A Stochastic Optimal Control
Approach for Power Management in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IEEE Trans. on
Control Systems Technology, vol. 19, no. 3, pp. 2198-2205, 2011.
Y. Yan, Q. Li, W. Chen, B. Su, J. Liu, and L. Ma, “Optimal Energy Management and Control
in Multimode Equivalent Energy Consumption of Fuel Cell/Supercapacitor of Hybrid Electric
Tram,”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6, no. 8, pp. 6065-6076, 2019.
저자소개
He received the B.S. degree an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where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in 2005 and 2007, respectively. Since
2010, he has been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ptimal control, hybrid power train control, and applications
to vehicle control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control and instrumentation engineering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South Korea, in 1997, 1999
and 200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06, 2008, and 2018,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on-board energy storage system for railway vehicles,
traction power supply systems analysis, and railway electric components reliability
analysis.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88 and 1990, respectively, and a Ph.D. degree f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CA, USA, in 1997.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adaptive and nonlinear control, embedded systems, applications to vehicle
control, and vehicle dyna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