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2. (Dept. of Track and Trackbed Research,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Railway waste, Thermal Desorption, Induction heating, Finite-element method (FEM), Resonant inverter

1. 서 론

철도에서 발생하는 오염 토양, 자갈, 목재 침목 등 인프라의 정화 및 재사용을 목적으로 오염 물질의 제거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오염 물질 처리 방식은 크게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건식, 열탈착(Thermal Desorpt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물리적 처리는 오염 물질의 크기, 밀도 등을 이용하여 물 혹은 진공 상태로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화학적으로 복잡한 오염 물질의 처리에 한계가 있으며 잔류 오염 물질로 인한 2차 오염의 가능성 및 사용되는 물과 에너지의 소모가 크다[1]. 화학적 처리는 복잡한 화학 구조의 오염 물질을 처리할 수 있으나, 처리 후 잔류화학물질의 발생 및 관리가 필요하며 오염 상태 또는 화학 구조가 복잡한 물질일수록 고급 화학물질을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오염 목재 침목일 경우 약제 침투성의 문제가 있을 시 자상 처리를 해야한다[2]. 생물학적 처리는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하므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적으나, 다른 방식과 비교했을 때 오염 물질 분해까지 가장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온/습도 등 환경 조건의 관리가 필수이다. 건식 처리 방법은 물이나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열풍, 자외선 및 오존 등을 이용한 처리 방식이다. 수질오염에 대한 위험이 적으나, 복잡한 화학 구조를 갖는 오염 물질 처리에 대해 효과가 낮을 수 있고 열풍을 발생시키기 위한 액화압축가스(LPG)와 같은 별도의 연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운영 비용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3].

열탈착은 고온에서 오염 물질을 분해 및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이 높다[4]. 또한,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아 소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재까지 열탈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Smith는 유기 화합물, 크레오소트(Creosote), 살충제, 폴리염화비페닐(PCB), 다이옥신, 연료유 등 다양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열탈착 공정이 효과적임을 입증했다[5]. Kim은 크레오소트로 처리된 목재 철도 침목에서 방부제를 회수하고, 바이오 오일(Bio-oil) 및 바이오차(Biochar)를 생산하기 위한 2단계 열화학 공정을 제안하였다. 해당 공정은 250-300℃로 열탈착을 수행한 후, 500℃에서 열분해하는 절차로 구성된다[6]. Choi는 열탈착을 통해 석유로 오염된 토양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TPH),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등의 제거 효과를 검증하였다[7]. 결론적으로 열탈착은 다양한 오염물질 처리에 있어 중요한 기술이며 특히 발암물질을 함유한 크레오소트유와 같은 철도 목재 침목 및 도상 자갈에 포함된 오염 물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이다.

열탈착 공정을 위해서는 최대 약 600℃의 온도 상승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 다룰 열탈착 장치는 원통 형태의 드럼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방식으로,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가열장치가 요구된다. 가열방식으로는 연료를 이용하여 드럼을 가열하는 방식이 있으나 친환경적인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전기적 가열 방식은 전류가 도체를 흐르며 발생하는 줄열을 이용한 방법으로 크게 전열선 가열 방식과 유도가열 방식이 있다. 전열선을 이용한 방식은 전류를 흘려주는 도체에서 직접 가열을 하는 방식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여러 가전제품이나 산업현장에서 쓰인다. 그러나 도체 주위로의 절연을 위한 재료들이 추가되고, 이로 인해 목표 가열체에 원활한 열 전달이 어려워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절연물의 등급에 따라 한계 온도가 존재하기 때문에 열탈착 공정과 같은 매우 고온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다. 유도가열 방식은 고주파의 교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법칙에 의해 비접촉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통해 가열체에 전압과 전류 유도하여 가열체에서 직접 줄열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체가 발열할 수 있다.

유도가열을 위한 유도코일의 설계는 자기적 공극, 턴 수, 등의 설계변수의 영향에 의한 누설 자속과 임피던스 특성 등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3D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을 이용한 전자계 해석을 진행하였으며 장치가 매우 고온으로 가열되기 때문에 코일의 절연등급과 소손을 고려한 온도 안전성 확보를 위해 열유동 해석까지 진행하였다. 또한 컨버터의 용량과 부하의 특성, 고주파 교류까지 고려하여 최대한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진형 인버터를 이용한 전력부의 설계를 진행하였으며 시제품의 제작과 실험을 통해 장치의 성능을 분석하고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2.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 설계

2.1 시스템 구성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은 히팅부와 전력변환부로 구분된다. 히팅부는 원통형태로 된 발열체인 열탈착 드럼과 그 주위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유도가열 코일로 구성된다. 먼저 열탈착 공정이 일어나는 드럼 부분을 보면 그림 1과 같이 여닫을 수 있는 출입부가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내부 센서가 연결되어 측정장비를 연결할 수 있는 4개의 센서 연결부가 있다. 그리고 위로는 내부의 공기가 나갈 수 있는 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내부 오염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옆의 추가 구조물을 제외하고 드럼의 사이즈는 표 1과 같으며 드럼 부분의 재질은 SUS410, 그 외 추가 구조물과 지지대의 재질은 SUS304이다. 해당 드럼의 주위 둘레를 따라 단열재와 유도가열 코일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며, 코일에 AC 전류를 인가해 줄 컨버터와 인버터로 구성된 전력변환부가 연결되어 열탈착 시스템이 구성된다.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버터에서 코일에 고주파의 AC 전류를 흘려주면 페러데이 법칙에 의해 드럼의 표면에 전압이 유도되고 와전류가 발생한다. 열탈착 드럼에 유도된 와전류는 드럼의 전기적 저항에 의해 줄열을 발생시킨다. 코일의 형상과 턴 수에 따라 임피던스가 달라지고, 임피던스에 따라 전력변환부 사양 내에서 히팅부로 전달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시스템 사양을 먼저 분석하여 요구되는 최적의 임피던스를 도출하고, 해당 임피던스를 구현하기 위한 유도가열 코일을 설계해야 한다. 전력변환부 상용 컨버터 사양은 전압 600V, 전류 55A이며 DC 출력을 교류로 만들어주기 위한 인버터는 큰 값의 전류를 분배하기 위해 인버터 3개를 모듈로 구성하였다. 컨버터는 최대 33kW DC 출력이고 이는 3-모듈 인버터의 입력이 되며, 3-모듈 인버터는 3개 모듈로 구성된 각 유도 코일에 전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의 관계에 따라 최대 전력을 사용하기 위해서 코일 설계 시 요구되는 저항 값을 만족해야 한다.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 사양은 표 2에서 나타낸다. 그림 2는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그림 1. 열탈착 시스템

Fig. 1. Thermal Desorp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png

표 1 열탈착 장치 드럼의 사이즈

Table 1 Size of Thermal Desorption Drum

Specification

Value

Unit

Height

1200

mm

Outer Diameter

766

mm

Thickness

10

mm

Drum

SUS410

-

Additional

Structure

SUS304

-

표 2 컨버터 및 인버터 사양

Table 2 Specification of Power converter and inverter

Parameter

Value

Unit

Converter

PO_Con

33

kW

VO_Con

600

V

IO_Con

55

A

Inverter

PO_Inv

7

kW

VO_Inv

540

Vrms

IO_Inv

13

Arms

Load

RCoil

41.67

${\Omega}$

그림 2.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구성

Fig. 2. Composition of IH Thermal Desorp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2.png

인버터 출력 전압 VO_Inv은 교류 구형파 형태이며, 컨버터의 출력 전압 VO_Con의 최댓값인 600V를 1차 정현파의 rms로 환산 시 540Vrms가 된다. 인버터는 3개 모듈의 병렬구조이므로, 컨버터 출력 전류 IO_Con를 모듈 수로 나눈 후 rms 값으로 환산 시 약 13Arms이며 이는 인버터 1개 모듈의 전류이다. 따라서, 유도가열 코일 설계 시 요구되는 저항은 인버터의 모듈당 최대 전압과 최대 전류의 관계로부터 41.67Ω 이 된다. 해당 값은 줄열에 의해 발열에 기여하는 저항을 값을 나타낸 것이며, 실제 설계 시 인덕턴스 값에 맞춰 커패시터를 추가하여 리액턴스를 최대한 줄이도록 공진형 인버터를 설계하여야 한다. 33kW 컨버터부터 AC-DC-AC 변환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인버터 최대 출력이 약 7kW로 제한되며 유도가열 코일의 저항이 정확히 41.67Ω를 만족하면 최대 약 21kW의 출력을 낼 수 있다. 그러나 열탈착 드럼에 사용된 SUS410은 온도가 20℃에서 650℃ 까지 변화하면서 온도의존 특성으로 인해 비저항이 약 2배 가까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한 저항 및 인덕턴스 변화로 인해 정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기 어렵다. 또한 동일한 열탈착 드럼에 다른 유도가열 코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컨버터 출력전압이 10~600V까지 상승하면서 저항 값이 약 4배정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목표 온도와 전압에서의 동작을 고려하여 요구되는 임피던스를 최대한 만족하도록 코일을 설계해야 한다.

그림 3은 공진주파수에서 순수 저항의 크기에 따라 인버터가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나타낸다. 목표 저항인 41.67Ω 미만에서는 인버터의 최대 전압을 인가하면 전류가 제한치를 넘어가기 때문에 전압을 낮춰서 최대전류 값을 유지하여 I2R의 값을 따라 저항이 커짐에 따라 전력이 상승한다. 목표 저항값 이상에서는 전압을 최대로 인가하더라도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류가 제한치보다 적게 흐르므로 최대전압 값을 가지고 V2/R의 값을 따라 전력이 감소한다. SUS410은 온도에 따른 비저항 상승에 의해 저항 값이 상온에서 650℃까지 상승할 때 약 1.4배까지 상승하면서 저항이 바뀌고 인버터의 출력이 감소한다. 비저항은 약 2배 증가하나 저항은 1.4배 증가하는 것은 저항이 커짐에 따라 침투깊이도 제곱근에 비례하여 길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저항 식에서 분모의 면적이 증가하여 결국 비저항 상승비율의 제곱근으로 저항이 증가한다. 인덕턴스도 마찬가지로 비저항의 영향을 받으나 누설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드럼에 작용하는 성분만 침투깊이의 영향을 받아 비저항 상승비율의 제곱근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상온에서 목표 저항을 만족할 경우 약 650℃에서는 출력이 15kW로 감소하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그림 3. 저항값에 따른 3모듈 인버터의 최대 출력

Fig. 3. Maximum output power of 3-modules inver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3.png

2.2 히팅부 설계

열탈착 히팅부는 열탈착 드럼과 그 주위를 둘러싼 유도가열 코일로 구성되며 드럼의 사양은 앞선 표 1과 같다. 유도가열 코일의 설계 변수는 자기적 공극, 턴 수, 모듈 간의 거리, 코일의 직경 및 면적 등이 있으며 이 중 특히나 자기적 공극은 누설 자속과 임피던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변수이다. 자기적 공극이 작을수록 누설자속이 감소하고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드럼에 최대한 가깝게 코일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열탈착 드럼의 온도가 최대 600℃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단열재가 추가되더라도 코일이 단열재에 직접 접촉하여 고온에 노출되면 절연물의 등급에 따라 한계 온도를 초과하여 소손이 발생하고 절연이 파괴되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적으로도 안전하면서도 자기적 성능을 갖도록 적절한 공극을 도출하기 위해 먼저 열 해석을 진행하여 단열재의 두께 및 코일의 위치에 따른 온도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열 해석 방법으로는 크게 열등가회로법(Lumped parameter thermal network, LPTN), 3D FEM,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3가지로 나뉘게 되는데, 등가회로법은 단순화된 요소로 나누어 회로망 같이 네트워크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계산이 빠른 장점을 가지나 정확도가 떨어지고 세부적인 열적 분포를 확인하기 어렵다. 3D FEM은 유한의 요소로 나누어 보다 정확하게 열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대류에 관한 부분은 별도의 경계조건을 사용해야 하며 공기층의 온도분포는 확인할 수가 없다. CFD는 유체의 흐름과 그에 따른 열 전달을 계산하는 것으로 공기의 흐름과 열 분포까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석은 CFD 프로그램인 Ansys社의 Icepak을 사용하였다. 그림 4는 열탈착 장치의 열 해석 모델을 나타낸다. 받침과 같은 부가적인 구조물은 생략하였으며 해석 프로그램이 요소를 육면체로 나누기 때문에 곡선부에 취약하여 완전한 원 형태가 아닌 정다각형 형태로 모델링 하였다. 드럼 둘레에는 Cerakwool 1300 재질의 단열재가 밀착되어 있으며 밀도는 130kg/m3, 열전도도는 0.17 W/m․℃, 비열은 850J/kg․℃ 이다. 표 3에는 해석 시 사용된 재질의 물성치를 나타내었다.

그림 4. 열탈착 분해 시스템의 열해석 모델

Fig. 4. Thermal Model of the Desorp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4.png

표 3 재질 물성치

Table 3 Material Properties

Condition

SUS410

SUS304

Density

7,800

8,000

Thermal

conductivity

[W/m·℃]

@ 100℃

24.9

16.2

@ 500℃

28.7

21.5

Specific heat

[J/kg·℃]

@ 100℃

460

500

Conductivity

[Siemens/m]

@ 20℃

1,754,386

1,388.889

@ 650℃

925,926

862,069

Relative

Permeability

heat

treatment

700~1,000

1.05

No heat

treatment

56

(95max)

그림 5. 열해석 결과 (a) 절연물 두께와 공극 두께에 따른 온도 그래프 (b) 온도 분포도

Fig. 5. Thermal analysis results (a) Temperature at airgap by insulation thickness (b) Temperature distribution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5.png

그림 5(a)는 해석 결과를 나타낸다. 결과 그래프는 자연냉각 조건에 놓인 드럼의 표면 온도가 700℃를 유지하는 정상상태에서 단열재의 두께와 기계적 공극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단열재가 12.5mm인 경우 단열재 표면의 온도는 약 400℃이며 단열재 두께를 증가시킬수록 온도가 감소하나 50mm까지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표면의 온도가 약 200℃이다. 유도가열 코일은 고주파에서 표피효과와 근접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Litz wire를 사용하는데, 절연 등급은 약 180℃까지의 한계 온도를 갖는다. 따라서 안전율을 고려하면 적어도 150℃이하의 온도를 만족해야 하지만 단열재가 매우 두꺼워져야 한다. 반면에 단열재 표면으로부터 기계적 공극이 생기면 온도가 크게 감소하게 되며 4mm 이상의 공극을 확보하면 단열재 두께에 무관하게 150℃ 이하의 온도를 만족하게 된다. 따라서 단열재는 냉각으로 발생하는 열 손실을 방지할 정도로 얇게 유지하며 별도의 구조물을 통해 기계적 공극을 두어 코일의 온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자기적 공극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단열재 두께는 12.5mm의 단열재 2장으로 25mm를 적용하였으며 추가적인 공극을 위한 구조물로는 내열성 내화성을 지니면서 변형이 생기지 않는 Bakelite 재질을 적용하였다. 그림 5(b)는 단열재 두께 25mm를 적용하였을 때 드럼 표면부터 단열재와 공기층의 온도 분포를 나타낸다. 단열재 표면의 온도는 284℃로 높으나 5mm만 공극이 있어도 94℃로 크게 감소한다. Bakelite의 두께는 Bakelite를 통한 열전달, 코일부 지지를 위한 강성확보 그리고 코일의 전기저항에 의한 자체발열 등을 고려해 20mm로 최종 설계하였으며 자기적 공극은 45mm이다.

다음으로 유도가열 코일을 설계하기 위한 전자계 해석은 Ansys社의 2D Maxwell을 사용하였다. 여기서의 주 설계 변수는 코일의 턴 수, 코일의 직경, 그리고 모듈간의 거리이다. 자기적 공극은 앞선 45mm와 달리 제작 시 상황을 고려해 단열재의 눌림을 고려하여 43mm로 변경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설계 목표 성능은 저항값 만족, 임피던스의 평형이다. 먼저 고주파 시 표피효과 및 근접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절연된 도체 연선을 사용하는 Litz wire를 적용하였으며 각 소선의 직경은 0.12mm, 2770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경은 9.5mm이다. 그림 6은 2D Maxwell를 이용한 해석 모델과 부분 확대 그림이다. 해석은 3D의 원통형 모델을 사용해야 하나 모델링 및 해석시간 감소를 위해 2D 축 대칭 모델을 사용하였다. 해당 모델은 중심축 Z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갖는 모델로 SUS410 재질의 드럼 둘레와 SUS304 재질의 추가 구조물, 그리고 3모듈의 코일을 나타낸다. 해석은 교류 전자기장 해석인 Eddy Current solver를 이용하였으며 SUS410의 도전율과 투자율, 그리고 인가 주파수 60kHz를 고려하면 약 0.2mm의 매우 작은 침투깊이를 가지므로 드럼 표면은 Impedance Boundary 경계조건을 설정하여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림 6. 2D Maxwell 해석 모델

Fig. 6. 2D Maxwell Model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6.png

표 4 Maxwell 해석 결과 임피던스

Table 4 Impedance results of Maxwell analysis

Coil

1

Coil

2

Coil

3

M

1-2

M 1-3

Resistance

11.24

12.51

11.24

1.57

0.16

Inductance

357.9

370.6

357.9

19.61

1.88

Impedance

134.2

138.9

134.2

7.41

0.71

Equi.

Resistance

9.51

9.38

9.51

-

-

Equi.

Inductance

336.4

331.4

336.5

-

-

그림 7. 공진형 인버터와 유도발열 열탈착 시스템의 구성 및 회로

Fig. 7. Composition and Circuit of Resonant Inverter of IH Thermal Desorption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7.png

해석은 먼저 1module의 1turn의 코일을 설계하여 1턴 당 저항과 인덕턴스를 확인하였으며 그 값을 토대로 턴 수의 제곱에 비례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30턴을 선정하였다. 목표 저항은 앞서 언급했듯 전압과 온도에 따른 변화로 인해 600V 인가 시 LCR 측정값 보다 저항이 4배 증가하는 것을 고려하여 약 10Ω을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여기서 가운데 모듈에서 발생하는 자속은 보다 넓은 드럼 표면에 작용하지만 양 끝의 모듈은 끝단부에 있으며 추가 구조물로 인해 같은 턴 수여도 임피던스가 달라진다. 또한 3개의 모듈이 동시에 동작하면 상호간의 임피던스가 발생하여 최종적인 등가 임피던스에 대한 값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저항 값을 만족하면서 상호작용까지 고려하여 임피던스가 균형을 이루어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변수인 모듈간의 거리와 양 끝 모듈의 턴 수를 조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양 끝 모듈의 턴 수는 31턴, 중앙 모듈은 30턴, 그리고 모듈간 거리는 90mm로 선정하였다. 표 4는 최종 해석 결과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각 모듈의 임피던스는 단독으로 동작할 때의 임피던스이며 Mutual1-2는 1번 모듈과 중앙의 2번 모듈 사이의 상호 의미이며 Mutual2-3과 같다. Mutual1-3은 양끝 모듈간의 상호 임피던스이며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값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임피던스 값은 상호간의 위상차이 θ에 영향을 받아 cosθ의 값이 곱해져 더해진다. 상호 간의 균형을 위해 2번 모듈은 반대 극성, 180°의 극성을 갖도록 하였다.

2.3 전력변환부 설계

설계 및 제작된 히팅부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공진형 인버터의 설계를 수행하였다. 설계하고자 하는 인버터 회로는 그림 7과 같다. 컨버터로부터 30kW DC 입력을 받아 3개 병렬 모듈의 인버터로 구성하여 히팅부에 교류전원을 인가한다. 우측의 회로도는 Full-Bridge 구조의 스위치 4개와 공진 탱크는 2차측 부하인 등가 저항 Req과 등가 인덕턴스 Leq, 그리고 공진을 위한 커패시터 Cr으로 직렬 공진 형태로 표현된다.

(1)은 부하 전류 iL을 분석한 내용이다. 부하 임피던스 Zt는 Req, Leq, Cr의 직렬 공진 형태이고, 이로부터 iL을 도출하였다. LC필터에 의해 기본파 성분만 고려하면 입력 전압은 Vm*sin(ωt)이 된다. 이때, Vm은 VS*4/π이다.

(1)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eq1.png

리액턴스 성분이 모두 상쇄되는 완전 공진 시에, 구형파 전압과 동상의 정현파 전류가 흐른다. 인버터에서 전원 인가시에, 공진 주파수와 스위칭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Inductive 영역과 Capacitive 영역으로 나뉜다. 그림 8은 Inductive 및 Capacitive 영역에 따른 회로도와 파형을 나타낸다.

Inductive 영역은 ZVS(Zero Voltage Swtching)가 가능해지므로 스위칭 손실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와 상반되는 Capacitive 영역의 경우는 데드타임이 종료된 후, Q2와 Q4가 턴-온 될 때, 스위치의 드레인-소스 전압이 존재한 상태에서 스위칭 하므로 전압과 전류의 Overlap에 의해 턴-온 손실이 발생하여 손실 측면에서 불리하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부터 Inductive 영역을 동작범위로 선정하여 설계를 수행하였다.

표 5는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설계 파라미터이다. 인덕턴스는 제작된 시제품의 LCR 측정을 통해 도출하였으며 상호인덕턴스는 해석결과를 토대로 등가 임피던스 계산 시 약 350μH로 균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 설계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공진 주파수 fr에서 공진 커패시턴스 Cr를 선정하였다. 열탈착 드럼의 온도 상승에 따른 부하 파라미터의 변화가 스위치 손실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스위칭 주파수에 따른 부전류의 최댓값 Im, 전압/전류의 위상각 φ, 유효전력, 턴-오프 전류 iturn-off를 계산하였다. 이론적 분석의 검증을 위해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표 6은 공진점부터 Inductive 영역의 파라미터 계산(Cal.) 및 시뮬레이션(Sim1=Matlab, Sim2=PSIM) 결과값이다. 그림 9는 상용 수치 해석 소프트웨어인 Matlab을 이용하여 도출한 그래프이고, 그림 10은 회로 시뮬레이터인 PSIM을 이용하여 도출한 극전압 VAB 및 부하 전류 iL의 파형이다. 이론적 분석과시뮬레이션의 최대 오차율은 5% 이내로 만족하여, 스위치 선정 및 손실 분석을 수행하였다. 풀-브리지 회로에서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 스트레스는 입력 전압인 600V이며, margin을 고려하여 드레인-소스 전압 VDS가 1200V급 소자인 Cree社의 C3M0016120D를 선정하였다. 해당 스위치는 케이스 온도 기준 100℃에서 최대 85A로 동작 가능한 수준이다. 도통 손실의 계산에 필요한, 스위치가 턴-온 상태 시 보이는 저항인 드레인-소스 온 RDS(on)은 16mΩ이다. 케이스 온도 섭씨 100도 기준 PD값은 273W이고, margin을 고려하여 1/30 값인 9.1W 이내로 설계 제한치를 두었다. 표 5에서 분석한 PSIM 시뮬레이션 값을 이용하여 주파수별 스위치 손실 값을 계산하였으며, 이는 표 7에 정리하였다.

그림 8. 스위칭 주파수에 ᄄᆞ른 회로 및 파형 (a) Inductive 영역 동작 (b) Capacitive 영역 동작

Fig. 8. Circuit and waveform by switching frequency (a) Operation on Inductive region at Q1, Q3 turn-off (b) Operation on Capacitive region at Q1, Q3 turn-off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8.png

표 5 인버터 설계 파라미터

Table 5 Design Parameter of Inv.

Parameter

Value

Unit

VS

600

V

Vm

763.9

V

fr

66.4

kHz

Req

41.67

${\Omega}$

Leq

350

${\mu}$H

Cr

16.4

nF

표 6 Inductive 영역 설계 파라미터

Table 6 Design Parameter in Inductive region

Para.

fS = 66.4kHz

fS = 70kHz

fS = 75kHz

Unit

Cal.

Sim1

Sim2

Cal.

Sim1

Sim2

Cal.

Sim1

Sim2

Im

18.3

18.4

18.3

17.2

17.3

16.8

14.0

14.0

13.5

A

${\phi}$

0

0

2.82

20.2

20.2

19.8

40.5

40.6

38.0

deg

PA

7.00

7.02

6.99

6.17

6.19

6.04

4.05

4.06

4.06

kW

iturn-off

0

0

1.08

5.93

5.97

7.06

9.05

9.08

10.2

A

그림 9. 설계 파라미터 플롯 (a) 전류 피크 (b) 임피던스 (c) 위상

Fig. 9. Plot of design parameter (a) Current peak (b) Impedance in dB (c) Phase between VAB and iL in deg.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9.png

그림 10. 공진형 인버터의 주파수에 따른 PSIM 파형

Fig. 10. PSIM Waveforms of Resonant Inverter by switching frequency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0.png

표 7 스위칭 주파수에 의한 스위치 손실 계산

Table 7 Calculation switch loss by switching frequency

Para.

fS = 66.4kHz

fS = 70kHz

fS = 75kHz

Unit

Im

18.3

16.8

13.5

A

iL,rms

13.0

11.9

9.5

Arms

iturn-off

1.08

7.06

10.2

A

PCD

2.685

2.262

1.457

W

Ptoff

0.006

0.272

0.609

W

Ptotal

2.691

2.534

2.066

W

도통 손실 PCD와 턴-오프 손실 Ptoff 의 계산은 식 (2)을 사용하였다.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설계 사양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총 손실을 계산하였다. 결론적으로, 스위치 손실이 PD의 제한치 내에 만족하므로, 선정한 스위치가 안정적 동작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2)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eq2.png

3. 제작 및 실험

제작된 인버터는 크게 Power stage, Sensing stage, Gate Driver stage로 구성된다. Power stage 내에서도 입력 전압의 평활을 위한 입력 커패시터, 풀-브릿지 부, 공진 커패시터로 이루어진다. 입력 커패시터는 Vishay社의 MKP1848C71060JY5를, 공진 커패시터는 KEMET社의 R76UI182050H4J를 사용했다. Sensing stage는 입력 전압과 입력 전류를 센싱하기 위한 Voltage sensor와 Current sensor로 구분된다. 전압 센서는 Broadcom社의 ACPL-C87AT를, 전류 센서는 ACS758LCB-100U-PFF-T를 채택했다. Gate Driver stage는 안정적 동작을 위해 각 스위치마다 Gate Driver를 적용하였고, TI社의 UCC21750DW를 적용했다. 한편, 선정된 C3M0016120D는 SiC 소자이며 게이트 문턱 전압이 작은 특징이 있으므로, 동작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턴-온, 턴-오프 시 VGS를 각 15V와 –4V로 구동하였다.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 실험은 그림 11과 같이 테스트-베드를 구성하였다. 그림 11의 좌측은 제어를 위한 전력변환부와 측정기기들이고, 우측은 제작된 히팅부인 유도가열 코일과 열탈착 드럼이다.

그림 11. 실험 테스트베드

Fig. 11. Test-bed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1.png

그림 12. 온도 측정 지점

Fig. 12. Target points for temperature measurements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2.png

그림 13. 입력 전력 및 전류

Fig. 13. Input Power and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3.png

그림 14. 열탈착 드럼 및 외기 온도 측정

Fig. 14. Temperature of Thermal Desorption Drum and ambient air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fig14.png

온도는 Thermo-couple(열전대)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였다. 열전대는 가해지는 열에 따라 발생하는 일정한 기전력을 토대로 온도 값을 환산하여 측정하는, Seebeck effect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므로 와전류로부터 줄열을 발생시키는 유도가열의 특성상 열전대에 왜곡을 일으킨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는 전원이 차단된 후에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 중간에 온도 측정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그림 12은 온도 측정을 위한 지점들이다. 드럼 내부 표면 30cm 이내 지점(Inside air 1)과 드럼 내부의 중심부(Inside air 2), 드럼 내부 표면(Inside surf.), 그리고 주변 공기(Ambient air 1, 2)로 총 다섯 부분을 측정 위치로 선정하였다.

히팅부의 파라미터를 상온에서 LCR 미터로 측정한 결과 등가 인덕턴스는 약 350μH이었으나, 제작 오차와 변수 등으로 이해 실제 인버터를 통해 전압을 인가하며 전압과 전류의 크기와 위상차로 계산한 등가 인덕턴스 값은 약 385μH로 더 큰 값을 가진다. 해당 값으로부터 공진 주파수를 계산하였을 때, 기존 설계 값인 66.4kHz에서 63kHz로 변경되어 인버터 동작을 Inductive 영역에서 동작시키기 위해 실험 시작 스위칭 주파수는 66kHz로 선정하였다. 그림 13는 실험 중 입력 전력과 전류를 나타낸다. 최대 전류를 유지하며 전압을 350V까지 상승시킨 후, 시간이 지나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의 증가로 전류가 감소하면 전압을 50V씩 증가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최대 전압인 600V 인가 시에 등가 저항은 목표했던 41.67Ω 보다 약간 높은 45Ω이며 출력은 18.5kW이다. 그러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최종적으로 등가저항은 약 55Ω까지 증가하여 실험 종료 시 출력은 약 13.3kW이다.

최대전압 이후에는 인덕턴스 증가로 인한 공진주파수 감소에 맞춰 주파수를 조정하였다. 그림 14는 실험 시 온도 데이터를 나타낸다. 그래프 내 보라색 점선으로 표시된 전압은 전류 제한치를 넘지 않도록 최대 전력을 유지하면서 컨버터 출력 전압을 상승시킨 시점을 보여준다. 120분부터 130분 사이는 정확한 온도 측정을 위해 전원을 차단한 구간이며, 전원 차단 시에 온도 오차를 확인한 후 내부 표면(Inside surf.)온도가 500℃에 도달하기까지 가열하였다. 온도 확인 시간을 제외하고 약 2시간 45분동안 가열 시, 상온에서 500℃까지 도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해당 실험을 통해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가열 성능을 검증하였다.

열탈착 분해장비는 전력변환부의 사양과 부하의 임피던스를 분석하여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최대 전압 조건에서 약 41.67Ω을 만족할 경우 최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최대 출력을 낼 수 있으나 전압, 주파수, 그리고 온도 등에 따라 변화하는 임피던스로 인해 정확한 예측이 어렵다. 결과적으로 최대 전압조건에서는 약 45Ω, 최대 온도 도달 지점에서는 약 55Ω으로 목표 보다 높은 저항값으로 인해 최대 출력이 다소 감소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저항값을 낮추기 위해 코일의 턴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설계의 보완이 가능하나, 초기의 낮은 전압 최대 전류 조건에서 낮은 저항값을 가지므로 출력이 감소하여 온도 상승에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최대 온도 지점에서 목표 저항을 만족할 경우 최대출력이 가능하여 더 높은 최대 온도 도달이 가능하다.

4. 결 론

본 논문은 철도 인프라의 오염 정화를 위한 유도가열 열탈착 시스템의 전자계/열 해석 및 설계와 제작 및 실험을 통한 가능성 검토를 진행하였다. 전력 시스템의 출력 사양 분석을 통해 3모듈의 유도가열 코일을 구성하고 요구 임피던스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설계 목표를 선정하였다. 열유동 해석을 통해 600℃에 달하는 열탈착의 표면부터 단열재와 공기층의 온도 분석을 진행하였고 코일 절연물의 한계온도를 고려하여 열적 안전성을 갖는 단열재 두께와 자기적 공극을 선정하였다. 전자계 해석을 통해 주어진 자기적 공극에서 요구되는 임피던스와 임피던스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코일의 턴 수에 대한 분석과 모듈 간의 이격거리, 상호 인덕턴스 등을 고려하여 3개 모듈의 유도가열 코일의 설계를 진행하였다. 이후 제작을 통해 코일의 LCR 파라미터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공진형 인버터 설계를 진행하였다. 전력변환부의 설계는 스위칭 주파수에 따른 공진형 인버터의 이론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론과 시뮬레이션의 검증을 완료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스위치 선정 및 손실 분석을 수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3모듈의 인버터를 제작하였다.

실험 시에는 인버터로 구동하여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크기와 위상차를 통해 임피던스를 도출하여 초기에 LCR 파라미터와 약간의 오차를 갖는 낮은 저항값과 인덕턴스 값을 가지는 것과 전압을 증가시키면서 저항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압을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전류 제한 13Arms에 맞춰 인해 350V까지 상승시킨 후, 온도 증가에 따른 저항의 증가로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한 뒤 전압을 상승시키며 실험을 진행하였다. 컨버터의 최대 전압인 600V 인가 시에는 목표했던 41.67Ω보다는 약간 큰 45Ω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의 마지막에는 저항이 55Ω까지 상승하여 출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600V 인가 시 부터는 전압을 증가시킬 수 없으며 인덕턴스도 증가하기 때문에 공진주파수가 감소하여 유도성 리액턴스가 증가하고 더 크게 출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파수를 감소시키며 고온에서의 출력 감소를 억제하여 최종적으로 약 500℃에 도달하였다.

코일의 설계 단계에서 목표로 했던 저항값을 약 10Ω으로 작게 선정하였지만 실험 단계에서 600V 인가 시 45Ω까지 증가하여 목표 저항을 넘어서면서 이후의 고온에서의 출력이 감소하였다. 전압과 온도 증가에 대한 저항 증가를 고려하여 더 낮은 턴 수를 갖는 코일 설계를 진행하면, 초기 전압 구간에서는 낮은 출력으로 발열 속도가 느려지나 최대온도 구간에서 보다 더 높은 출력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500℃이상의 더 높은 온도 도달이 가능하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Advanced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Recycled Materials from Railway Waste Wood Sleepers and Enhancing Resource Circulation, PK2402C3)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1 
R. Richter, H. Flachberger, “Soil Washing and Thermal Desorption: Reliable Techniques for Remediating Materials Contaminated with Mercury,” Berg Huettenmaenn Monatsh, vol. 155, pp. 571-577, 2010.DOI
2 
J.S. Lee, J.Y. Park, “Wood Properties and Residual Creosote Oil of Disused Railway Wood Ti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 37, no. 3, pp. 465-469, 2010.DOI
3 
J. Bae, T. Jeong, J.H. Kim, S.T. Lee, et al., “A Study for Remediation of Railroad Ballast Gravel Using Dry Was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 20, no. 3, pp. 365-373, 2017.DOI
4 
N. Ilyas, U. Shoukat, M. Saeed, S. Iqbal, et. al., “Comparison of plant growth and remediation potential of pyrochar and thermal desorption for crude oil-contaminated soils,” Scientific Reports, vol. 11, no. 2817, 2021.DOI
5 
Marline T. Smith, Franco Berruti, and Anil K. Mehrotra, “Thermal Desorption Treatment of Contaminated Soils in a Novel Batch Thermal Reactor,”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vol. 40, no. 23, pp. 5421-5430, 2001.URL
6 
P. Kim, A. Taylor, J.Lloyd, Jae-Woo Kim, et. al., "Two-Step Thermochemical Process for Adding Value to Used Railroad Wood Ties and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s,"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 vol. 5, no 10, pp. 9485-9493, 2017.URL
7 
B. Choi, S. Lee, and E.H. Jho, "Removal of TPH, UCM, PAHs, and Alk-PAHs in oil-contaminated soil by thermal desorption,"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 63, no. 83, 2020.DOI

저자소개

지우영 (Woo-Young Ji)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au1.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Gyeonggi-do, Korea in 2017 and 2029, respectively, and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design, electromagnetic and thermal analysis of various electrical applications such as induction heating, Traction Motor, transformer etc.

오형석 (Hyeong-Seok Oh)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au2.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Gyeonggi-do, Korea in 2018 and 2020, respectively, and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candidat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d analysis of high-frequency device, applications of device drive such as induction systems, high-efficiency dc/dc converters, and digital control method in high-power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이 주 (Ju Lee)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au3.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1986 and 1988,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syu University, Japan, in 1997. He joined Hanyang University, in 1997,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ivision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electric machinery and its drives, 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and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hybrid electric vehicles (HEV) and railway propulsion systems. He is a member of the IEEE Industry Applications Society, the Magnetics Society, and the Power Electronics Society.

고태훈 (Tae-Hoon Koh)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au4.png

He received his Ph.D. degree in Civil Engineering from Purdue University, Indiana, USA, with a dissertation on utilizing bottom ash as a construction material. Since 1998, he has been working as a Principal researcher at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He is currently with the Track and Trackbed Research Department of the Advanced Track Civil Engineering Division. His primary research interests include microwave-based accelerated curing of concrete,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railway substructures and concrete materials.

이형우 (Hyung-Woo Lee)
../../Resources/kiee/KIEE.2024.73.10.1822/au5.png

He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8 and 2000,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Texas A&M University, College Station, TX, in 2003,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In 2004,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 Assistant in the Department of Theoretical and Applied Mechanics, Cornell University, Ithaca, NY. In 2005, he was a contract Professor at the BK division of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From 2006 to 2013, he has been a Senior Researcher at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Korea. Since 2013, he has been a Professor at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Uiwang,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design, analysis and control of motor/generator, power conversion systems, and applications of motor drives such as Maglev trains, conventional railway propulsion systems, and modern renewable energy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