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고조파 보상 성능 비교를 위한 모의실험의 조건 설정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구조와 수식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 보상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하여 PSIM을 통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6. 모의실험에 사용된 3상 3선식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회로도
Fig. 6. Circuit diagram of 3-phase 3-wire hybrid active filter
모의실험을 위해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는 3상 3선식 인버터 구조와 3상 4선식 인버터 사용하였으며 각 구조별 제어방안으로 DQ변환과 DQO변환을
적용했을 때 부하를 사용하는 전력계통에서 얼마만큼의 고조파가 저감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인버터별 회로도는
그림 6과 그림 7과 같으며 이 때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그림 7. 모의실험에 사용된 3상 4선식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회로도
Fig. 7. Circuit diagram of 3-phase 4-wire hybrid active filter
표 1 모의실험을 위해 사용된 계통에서의 파라미터 요약표
Table 1 Summary table of parameters in the system used for simulation
Sign
|
Unit
|
Value
|
Sign
|
Unit
|
Value
|
VDC
|
[V]
|
800
|
Lf |
[mH]
|
2.814
|
Ll;
|
[mH]
|
0.1
|
R
|
[$\Omega$]
|
4
|
Ls |
[mH]
|
20
|
Vs |
[V]
|
380
|
Cf |
[uF]
|
100
|
|
|
|
3.2 인버터의 구조와 전류 변환식에 따른 결과파형 비교 및 분석
그림 6과 그림 7처럼 다른 인버터가 사용되었더라도 동일한 부하가 사용되도록 설정하였음에 따라 인버터가 동작하지 않았을 때의 부하 전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림 8.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
Fig. 8. Measured load current in a 3-phase power system
그림 8은 3상 전력 계통 중 부하측 전류를 의미한다. 그림 8을 살펴보면 3상의 부하 전류가 비정현파임을 알 수 있으며 정현파에 비하여 상당이 왜곡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의 FFT 결과
Fig. 9. FFT results of Measured load current in 3-phase power system
그림 9는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9를 살펴보면 3차 고조파를 시작으로 하여 홀수 차수의 모든 고조파가 부하 전류에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부하단의 중성점이 계통의 중성점과 연결되어
있어 중성점이 계통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3차 고조파까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 때 측정된 3상 부하 전류의 평균 THD는 41[%]로써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림 10.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
Fig. 10. Hybrid active power filter side current measurement result waveform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그림 10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10(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그림 10(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주며 그림 10(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10(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각 인버터의 구조와 변환식에 따른 보상 차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FFT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a)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인버터의 구조적으로나 제어적으로나 모두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림 11(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b)를 살펴보아도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인버터의 구조가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림 11.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FFT 결과
Fig. 11. Hybrid active power filter side current FFT results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그림 11(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c)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소량 보상됨을 볼 수 있다. 비록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없지만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소량의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d)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이는 DQO 변환과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
Fig. 12. Grid side current measurement result waveform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그림 13.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FFT 결과
Fig. 13. Grid side current FFT results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그림 12는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12(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그림 12(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이고 그림 12(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12(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각 인버터의 구조와 변환식에 따라 포함된 고조파를 알아보기 위하여 FFT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13과 같다.
그림 13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a)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계통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인버터의 구조적으로나 제어적으로나
모두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에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2.3[%]로
나타났다.
그림 13(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b)를 살펴보아도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인버터의 구조가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없음을 다시한번 보여준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5.7[%]로 나타났다.
그림 13(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c)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소량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없지만 인버터의
구조를 4선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었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2.1[%]로 나타났다.
그림 13(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d)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거의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이는 DQO 변환과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의미한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9[%]로 나타났다.
그림 14는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별 보상률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림 14 중 파란색 그래프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빨간색 그래프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 그래프를 보여준다.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인 파란색 그래프를 살펴보면 고조파 차수가 높아질수록 보상률이
작아짐과 동시에 3차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 차수는 보상률이 떨어짐을 볼 수 있다.
그림 14.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별 보상률 그래프
Fig. 14. Compensation rate graph for each harmonic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이에 반해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인 빨간색 그래프를 살펴보면 파란색 그래프와 동일하게 고조파 차수가 높아질수록
보상률이 작아지지는 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파란색 그래프보다 대체적으로 차수별 보상률이 떨어짐을 보인다. 하지만 3차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 차수의
보상률이 파란색 그래프보다 월등이 높아 결과적으로 약 23[%]의 THD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