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2. (Enertech Co., Ltd., Korea)



Fast Fourier Transform, Fundamental Wave, Harmonics, Hybrid Active Power Filter, Passive Power Filter, Total Harmonic Distortion

1. 서 론

최근 다양한 전력 정밀 제어 방안과 전력용 반도체의 연구가 수행되면서 정밀하고 효율적인 전력기기가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전력기기 중 DC 전력을 필요로하는 기기는 AC 전력에서 DC 전력으로 전력의 성질을 변환시키기 위하여 주로 정류기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는 전압과 전류를 비선형적으로 만드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파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고조파를 만들어낸다[1-3].

고조파는 계전압과 전류를 비선형적으로 만드는 특성에 의하여 계통 전력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DC 전력을 사용하는 기기가 많을수록 계통 전력의 품질이 더욱 저하된다. 고조파에 따라 전력 계통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고조파 필터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중이다. 최근에는 하이브리드 능동전력 필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3-5].

그림 1은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구성과 그 효과를 나타낸다.

그림 1.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구성 및 특성

Fig. 1. The composition and features of a hybrid active power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png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경우 인덕터와 캐패시터를 사용하는 수동필터와 인버터를 사용하는 능동필터를 결합한 필터를 의미한다[6-9].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경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레그의 개수에 따라 그 고조파 보상 능력이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3상의 레그를 사용하여 전력 계통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지만 2상의 레그나 N상을 포함한 4개의 레그 사용을 통하여 전력 계통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도 있다.

그림 1을 살펴보면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는 고조파와 무효전력을 동시에 보상해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하이브리드 능동필터 내 인버터의 구조와 그 제어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일반 가정과 빌딩 등에서 발생되는 부하의 고조파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는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에 사용된 레그의 개수와 적용된 제어 방안에 따라 고조파의 보상 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에 사용된 상의 개수와 적용된 제어 방안을 서로 다르게 적용시킨 후 각각 고조파 전류를 측정할 때 달라지는 측정 값을 비교 분석하여 적합한 환경의 구조 및 제어 방안을 적용할수 있도록 연구를 수행하였다.

2.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구조와 전류 변환식의 분석

2.1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구조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는 3개의 레그와 3개의 전력선을 사용하여 전력 계통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는 필터를 의미한다.

그림 2. 3상 3선식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회로도

Fig. 2. Circuit diagram of 3-phase 3-wire hybrid active power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2.png

그림 2는 3상 3선식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그림 2를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캐패시터와 인덕터 및 3상 인버터가 모두 직렬로 구성되어 있고 중성선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는 각 상에 대한 전류를 제어할 수 있지만 구조상 중성선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가 중성점으로 흐르는 고조파는 제어하지 못한다.

2.2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구조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는 3개의 레그와 4개의 전력선을 사용하여 전력 계통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는 필터를 의미한다.

그림 3은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회로도를 보여준다. 이러한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는 고조파를 보상하려는 계통과 병렬로 연결되며 그림 2의 3상 3선식 구조와 다르게 인버터의 중성선은 3상 계통의 중성선과 연결된다. 3상 계통의 중성선이 부하와도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가 중성선으로 흐르는 고조파 전류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림 3. 3상 4선식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회로도

Fig. 3. Circuit diagram of 3-phase 4-wire hybrid active power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3.png

2.3 DQ 변환을 통한 고조파 제어 방안 분석

기존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경우 오직 3상 평형 부하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만을 보상할 수 있다. 제어방안으로 중성선 전류에 흐르는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도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중성선이 구조적으로 존재하지 않아 제어 자체를 수행할 수 없다.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에 사용되는 제어 구조 중 고조파를 측정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그림 4. clarke변환과 park변환을 통합한 DQ 변환

Fig. 4. DQ conversion incorporating clarke conversion and park conversion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4.png

그림 4는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고조파 측정 방안을 보여준다. 이는 clarke 변환과 park 변환을 하나의 식으로 통합한 DQ 변환이라고 표현하며 3상의 전류 형태(a상, b상, c상)를 2상(d축, q축)의 전류 형태로 변화시켜 제어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주는 변환이다. 여기서 이상적인 3상 평형 전류를 DQ 변환한다면 d축과 q축의 전류는 직류 형태가 출력된다. 그러나 만약 고조파가 포함된 3상 전류를 DQ 변환한다면 직류 형태의 d축, q축 전류와 고조파에 해당하는 일그러진 전류가 동시에 포함된 파형을 출력한다. 즉, 직류 전류를 제외한 모든 파형은 고조파에 해당하므로 고대역필터(HPF: High Pass Filter)를 사용해 고조파 성분만을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DQ 변환의 수식은 다음과 같다.

(1)
$\left[\begin{aligned}i_{d}\\i_{q}\end{aligned}\right]=\dfrac{2}{3}·\begin{bmatrix}\cos\theta &\cos\left(\theta -\dfrac{2}{3}\pi\right)&\cos\left(\theta +\dfrac{2}{3}\pi\right)\\-\sin\theta &-\sin\left(\theta -\dfrac{2}{3}\pi\right)&-\sin\left(\theta +\dfrac{2}{3}\pi\right)\end{bmatrix}·\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

(1)은 측정된 전류가 3상 평형일 경우 사용될 수 있는 DQ 변환식을 의미한다. 여기서 $i_{a}$, $i_{b}$, $i_{c}$ 는 3상 계통의 a상, b상, c상의 전류를 나타내며 $i_{d}$, $i_{q}$ 는 $i_{a}$, $i_{b}$, $i_{c}$ 를 DQ 변환으로 변환한 2상의 전류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식 (1)의 수식은 측정한 전류가 3상 평형이라는 조건에서 사용될 수 있는 DQ 변환식을 의미한다. 즉, 중성선으로 전류가 흐르는 곳에서 식 (1)을 사용할 경우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고려할 수 없어 적합한 고조파를 보상할 수 없다.

2.4 DQO 변환을 통한 고조파 제어 방안 분석

계통 전류가 중성선에도 흐를 때 이를 제어해 줄 수 있는 구조도 중요하지만 이를 뒤받쳐주는 제어방안도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3상 3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경우 오직 3상 평형 부하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만을 보상할 수 있다. 여기에 제어적인 방안에서 중성선에 흐르는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사용하더라도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중성선이 구조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어 자체를 수행할 수 없다.

중성선 구조가 갖춰진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에 사용되는 제어 구조 중 고조파를 측정하는 방안은 그림 5와 같다. 이는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고조파 측정 방안을 보여준다. 이는 DQO 변환을 사용하여 3상의 전류를 또다른 형태의 전류로 변환하는 방안을 의미한다.

그림 5. 중성선 전류도 고려한 DQO변환

Fig. 5. DQO transformation considering neutral line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5.png

3상 평형 부하에서 사용되는 DQ 변환과는 다르게 하나의 출력값이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이를 (Zero)라고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는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포함하며 이에 대한 DQO 변환식은 식(2)와 같다.

(2)는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도 고려하는 전류 DQO 변환식을 의미한다. 여기서 $i_{a}$, $i_{b}$, $i_{c}$는 3상 계통의 a상, b상, c상의 전류를 나타내며 $i_{d}$, $i_{q}$, $i_{o}$는 $i_{a}$, $i_{b}$, $i_{c}$를 DQ 변환으로 변환한 전류를 의미한다. 여기서 식 (2)는 식 (1)의 수식에서 하나의 축이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를 포함하는 $i_{o}$가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다.

(2)
\begin{align*}\left[\begin{aligned}i_{d}\\\begin{aligned}i_{q}\\i_{o}\end{aligned}\end{aligned}\right]=\dfrac{2}{3}·\begin{bmatrix}\cos\theta &\cos\left(\theta -\dfrac{2}{3}\pi\right)&\cos\left(\theta +\dfrac{2}{3}\pi\right)\\\begin{aligned}\\\begin{aligned} \\-\sin\theta \\ \\\dfrac{1}{2}\end{aligned}\end{aligned}&\begin{aligned}\begin{aligned}\\-\sin\left(\theta -\dfrac{2}{3}\pi\right)\end{aligned}\\\begin{aligned}\\\dfrac{1}{2}\end{aligned}\end{aligned}&\begin{aligned}\begin{aligned}\\-\sin\left(\theta +\dfrac{2}{3}\pi\right)\end{aligned}\\\begin{aligned}\\\dfrac{1}{2}\end{aligned}\end{aligned}\end{bmatrix}·\begin{bmatrix}i_{a}\\i_{b}\\i_{c}\end{bmatrix}\end{align*}

여기서 $i_{o}$는 각 $i_{a}$, $i_{b}$, $i_{c}$를 측정하고 오직 하나의 상수 값을 곱하는 것만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3상 평형 부하를 사용할 경우 3상의 전류 순시값은 언제나 0[A]를 의미함에 따라 일정한 상수를 곱한다고 하여 그 값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3상 평형부하의 경우 제어방안으로 $i_{o}$의 성분을 제외한 DQ 변환 방안을 채택할 수 있지만 중성선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i_{o}$의 성분을 제외해서는 안된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가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에도 포함된 고조파도 보상할 수 있도록 그림 3처럼 3상 4선식 형태의 인버터와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 성분을 제어할 수 있는 $i_{o}$가 추가된 DQO 변환식을 동시에 사용하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다.

3.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 구조 및 전류 변환식별 고조파 보상 성능 비교를 위한 모의실험

3.1 고조파 보상 성능 비교를 위한 모의실험의 조건 설정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의 구조와 수식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 보상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기 위하여 PSIM을 통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림 6. 모의실험에 사용된 3상 3선식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회로도

Fig. 6. Circuit diagram of 3-phase 3-wire hybrid active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6.png

모의실험을 위해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필터는 3상 3선식 인버터 구조와 3상 4선식 인버터 사용하였으며 각 구조별 제어방안으로 DQ변환과 DQO변환을 적용했을 때 부하를 사용하는 전력계통에서 얼마만큼의 고조파가 저감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에 사용된 인버터별 회로도는 그림 6그림 7과 같으며 이 때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1과 같다.

그림 7. 모의실험에 사용된 3상 4선식 하이브리드 능동필터의 회로도

Fig. 7. Circuit diagram of 3-phase 4-wire hybrid active filter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7.png

표 1 모의실험을 위해 사용된 계통에서의 파라미터 요약표

Table 1 Summary table of parameters in the system used for simulation

Sign

Unit

Value

Sign

Unit

Value

VDC

[V]

800

Lf

[mH]

2.814

Ll;

[mH]

0.1

R

[$\Omega$]

4

Ls

[mH]

20

Vs

[V]

380

Cf

[uF]

100

3.2 인버터의 구조와 전류 변환식에 따른 결과파형 비교 및 분석

그림 6그림 7처럼 다른 인버터가 사용되었더라도 동일한 부하가 사용되도록 설정하였음에 따라 인버터가 동작하지 않았을 때의 부하 전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림 8.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

Fig. 8. Measured load current in a 3-phase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8.png

그림 8은 3상 전력 계통 중 부하측 전류를 의미한다. 그림 8을 살펴보면 3상의 부하 전류가 비정현파임을 알 수 있으며 정현파에 비하여 상당이 왜곡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9.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의 FFT 결과

Fig. 9. FFT results of Measured load current in 3-phase power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9.png

그림 9는 3상 전력 계통 중 측정된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9를 살펴보면 3차 고조파를 시작으로 하여 홀수 차수의 모든 고조파가 부하 전류에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부하단의 중성점이 계통의 중성점과 연결되어 있어 중성점이 계통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3차 고조파까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 때 측정된 3상 부하 전류의 평균 THD는 41[%]로써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그림 10.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

Fig. 10. Hybrid active power filter side current measurement result waveform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0.png

그림 10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10(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그림 10(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주며 그림 10(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10(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를 보여준다. 각 인버터의 구조와 변환식에 따른 보상 차수를 알아보기 위하여 FFT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a)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인버터의 구조적으로나 제어적으로나 모두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림 11(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b)를 살펴보아도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인버터의 구조가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림 11.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측 전류 FFT 결과

Fig. 11. Hybrid active power filter side current FFT results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1.png

그림 11(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c)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소량 보상됨을 볼 수 있다. 비록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없지만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소량의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1(d)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이는 DQO 변환과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2.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

Fig. 12. Grid side current measurement result waveform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2.png

그림 13.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FFT 결과

Fig. 13. Grid side current FFT results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3.png

그림 12는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측정 결과 파형을 보여준다. 그림 12(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그림 12(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이고 그림 12(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12(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를 보여준다. 각 인버터의 구조와 변환식에 따라 포함된 고조파를 알아보기 위하여 FFT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13과 같다.

그림 13은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계통측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a)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부하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a)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계통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는 인버터의 구조적으로나 제어적으로나 모두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는 보상할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에 나타나게 된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2.3[%]로 나타났다.

그림 13(b)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b)를 살펴보아도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있지만 인버터의 구조가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없음을 다시한번 보여준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5.7[%]로 나타났다.

그림 13(c)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c)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소량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제어적으로는 3의 배수의 고조파를 제어할 수 없지만 인버터의 구조를 4선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었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32.1[%]로 나타났다.

그림 13(d)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계통 전류 FFT 결과를 보여준다. 그림 13(d)를 살펴보면 홀수 고조파 중 3의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가 거의 보상됨을 볼 수 있다. 이는 DQO 변환과 인버터의 구조를 4선식으로 사용하여 3의 배수의 고조파를 보상할 수 있음에 따라 3의 배수의 고조파가 보상됨을 의미한다. 이 때 측정된 3상 전류의 평균 THD는 약 9[%]로 나타났다.

그림 14는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별 보상률 그래프를 보여준다. 그림 14 중 파란색 그래프는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이며 빨간색 그래프는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 그래프를 보여준다. 3상 3선식 인버터에 DQ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인 파란색 그래프를 살펴보면 고조파 차수가 높아질수록 보상률이 작아짐과 동시에 3차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 차수는 보상률이 떨어짐을 볼 수 있다.

그림 14. 사용된 인버터 구조 및 변환식에 따른 고조파별 보상률 그래프

Fig. 14. Compensation rate graph for each harmonic according to the inverter structure and current conversion formula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fig14.png

이에 반해 3상 4선식 인버터에 DQO 변환식을 사용하였을 때의 결과인 빨간색 그래프를 살펴보면 파란색 그래프와 동일하게 고조파 차수가 높아질수록 보상률이 작아지지는 특성을 지님과 동시에 파란색 그래프보다 대체적으로 차수별 보상률이 떨어짐을 보인다. 하지만 3차 배수에 해당하는 고조파 차수의 보상률이 파란색 그래프보다 월등이 높아 결과적으로 약 23[%]의 THD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일반 가정이나 빌딩과 같이 중성선에 흐르는 전류의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구조와 제어 방안을 비교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에 사용되는 인버터의 경우 3상 3선식 구조와 3상 4선식 구조를 사용하였으며 DQ 변환식과 DQO 변환을 사용해 중성선 제어에 필요한 제어량을 각 상에 혼합될 수 있는 방안을 적용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DQO 제어 방안과 중성선 구조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모든 차수의 영역에서 고조파 전류를 효과적으로 보상시킬 수 있었으며 3의 배수를 포함한 고조파도 효과적으로 보상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3상 4선식 직렬형 하이브리드 능동전력필터는 3의 배수 고조파가 발생하는 일반 가정이나 빌딩에 적용되어 고조파 전류를 보상하기에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추후에는 높은 차수의 전류 고조파 감쇄율을 추가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KETEP)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MOTIE) of the Republic of Korea (Grant No.: 20214000000060) and was supported by the MSI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Korea, under the ITRC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support program (RS-2023-00259004) supervised by the IITP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lanning & Evaluation).

References

1 
R. D. Henderson, and P. J. Rose, “Harmonics: the effects on power quality and transformers,” in IEEE Transactions on Industry Applications, vol. 30, no. 3, pp. 528~532, May-June 1994.DOI
2 
V. E. Wagner et al., “Effects of harmonics on equipment,”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8, no. 2, pp. 672~680, April 1993.URL
3 
M. Lamich, J. Balcells, J. Garcia, D. Gonzalez, and J. Gago, “New Structure for Three Phase Four Wires Hybrid Active Filters,” IECON 2006 - 32nd Annual Conference on IEEE Industrial Electronics, pp. 1603~1608, 2006.DOI
4 
M. Llonch- Masachs, D. Heredero-Peris, D. Montesinos-Miracle, and J. Rull-Duran, “Understanding the three and four-leg inverter Space Vector,” in 2016 18th European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and Applications, EPE 2016 ECCE Europe, Karlsruhe, 2016.DOI
5 
D. Daftary, and M. T. Shah, “Design and Analysis of Hybrid Active Power Filter for Current Harmonics Mitigation,” 2019 IEEE 16th India Council International Conference (INDICON), pp. 1~4, 2019.DOI
6 
C. -S. Lam, and M. -C. Wong, “System and control design of a hybrid active power filter in three-phase four-wire system,” 2009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Electronics Systems and Applications (PESA), pp. 1~5, 2009.URL
7 
J. I. Candela, P. Rodriguez, A. Luna, R. Teodorescu, and F. Blaabjerg, “Proposal of a resonant controller for a three phase four wire grid-connected shunt hybrid filter,” 2009 IEEE Energy Conversion Congress and Exposition, pp. 573~577, 2009.DOI
8 
M. Lamich, J. Balcells, D. Gonzalez, and X. Gago, “Three phase four wires shunt hybrid filter,” 2008 15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Circuits and Systems, pp. 1103~1106, 2008.DOI
9 
S. Pettersson, M. Salo, and H. Tuusa, “Optimal DC current control for four-wire current source active power filter,” 2008 Twenty-Third Annual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pp. 1163~1168, 2008.DOI

저자소개

박수민 (Su-Min Park)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au1.png

He received a B.A. degree in Business Marketing from Truman State University in Missouri, USA in 2021, and an M.S. degree from Gachon University in Gyeonggi-do, South Korea in 2023. His research interests are Distribution Transformers and Fuel Cell.

이현재 (Hyun-Jae Lee)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au2.png

He received his M.S., and Ph. D,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in 2020 and 2024. His research interests are Power conversion and Power control.

E-mail : lhj501@gachon.ac.kr

박훈양 (Hoon-Yang Park)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au3.png

He received his B.S.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sil University in 2011. He received his Ph. D. degree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Gachon University in 2019. Currently he is CEO in Enertech, CO., Ltd.

E-mail : ceo@enerkeeper.com

손진근 (Jin-Geun Shon)
../../Resources/kiee/KIEE.2024.73.10.1846/au4.png

He received his B.S., M.S. and Ph. D, degrees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oongsil University in 1990, 1992 and 1997. He was Chief Researcher in Electro-Mechanical Research Institute,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Gyeonggi-do, Korea, during 1992-1995. He was a Postdoctoral Researche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agoshima University, from 2002 to 2003. He was also a Visiting Scholar in the Power Electronics Laboratory, Michigan State University, from 2009 to 2010. He is currently a Professor at the school of Electric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the power conversion, control and diagnosis of power utility.

E-mail : shon@gach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