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최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중에서도 연료전지나 태양전지 등은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kW급 발전 시스템으로 실용화되고 있으며, 일부
이동체의 에너지원으로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한 발전 셀의 특징으로는 셀 자체의 발전 전압이 낮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연료전지의
경우 1[V]이하, 태양전지의 경우에도 실리콘계라면 1[V]이하이다[1]. 한편,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력에 맞는 전압이 요구되는데, 예를 들어 전기자동차의 경우, 전동기 정격 출력이 70[kW]인데
반해 배터리 전압은 360[V]이다. 일반적으로 셀을 다수 직렬로 연결하여 고전압 대전력화하여 DC-DC 컨버터를 통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직렬 연결 수를 늘리면 각 셀의 동작점이 직렬로 연결되는 셀의 특성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직렬 연결 수를 늘리지 않고 DC-DC
컨버터로 승압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승압비가 높아질수록 변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변환 효율을 고려할 때, 그 사용 방법에 따라 요구되는
성능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태양광발전에 사용하는 경우 발전 전력이 하루 동안 크게 변화한다. 태양광 발전용 DC-DC 컨버터의 최대 정격 전력은
태양광 패널의 정격 전력 이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태양광 패널의 정격 전력을 정의하는 기준이 되는 일사량은 1,000[W/m2]이며, 기상청의
일사량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전국 각 지역의 1시간 평균 수평 일사량이 1,000[W/m2]인 날은 거의 없다. 즉, 지역에 따라서는 컨버터가 최대
정격 전력으로 동작하지 않고, 저~중부하로 동작하는 빈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DC-DC 컨버터는 저부하 영역을 포함한 넓은 동작점에서
고효율이 요구된다[2-4].
기존의 높은 승압비와 높은 변환 효율을 양립시키기 위해 셀을 소수 직렬로 연결한 발전 모듈을 구성하고, 발전 모듈마다 승강압 쵸퍼 회로를 연결하고
그 출력을 직렬로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비절연형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출력 직렬 수의 증가에 따라 구동 회로의 기준전위가 고전압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직류 급전 시스템에서 검토되고 있는 시스템의 일부에 절연형 DC-DC 컨버터의 1차측을 병렬로 연결하고 2차측을 직렬로 연결하여
높은 승압비와 높은 변환 효율을 양립시키는 방식이 있지만 특성이 다른 복수의 입력 전원에는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5-9].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저전압 전원의 전력을 통합하여 고효율로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 방식으로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Isolated Modular
Boost Converter)를 제안한다. 또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를 통해 저부하 영역에서의 변환 효율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하나의 전원에
병렬로 연결되는 승압 모듈의 전력분담 비율에 차이를 두는 방법을 제안하고, 본 방법이 고출력 영역의 효율을 희생하지 않고 저~중출력 영역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2. 제안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
2.1 회로 구성
기존의 방식에서는 고전위측에 연결되는 승․강압 컨버터가 연결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기준전위가 고전위가 되기 때문에 차량 탑재 요건인 60[V]이하를
만족시킬 수 없다. 또한, 각 태양전지 모듈에 공진형 DC-DC 컨버터를 연결하고 그 출력단을 직렬로 연결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연결되는
DC-DC 컨버터의 2차측 스위칭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의 기준전위는 DC-DC 컨버터마다 다르며, 고전위측으로 갈수록 높은 절연성을 가진
구동전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 회로가 복잡하고 대형화된다. 또한 각 태양광 모듈에 비절연형 고전압 컨버터를 연결하고, 복수의 고전압 컨버터의 출력을
병렬로 연결하는 방식도 제안되고 있으나, 고전압 계통과 태양광 모듈과의 절연을 확보할 수 없고, 절연형 고전압 컨버터는 효율이 낮은 경향이 있다[1-4].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절연형 모듈형 승압 컨버터(Isolated Modular Boost Converter, IMBC) 방식을 제안한다. 그림 1은 제안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에서 하나의 고주파 변압기에 연결되는 브리지 회로와 정류 회로를 합친 것을 승압 모듈로 정의하며, 복수의 승압 모듈의 출력 포트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입력 포트는 여러 개로 나뉘어져 있다.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승압비는 모든 입력 포트를 병렬로 연결했다고 가정할 때 승압 모듈의 승압비와
직렬로 연결되는 승압 모듈 수의 곱이 되지만, 변환 효율은 승압 모듈의 직렬 수에 관계없이 단일 승압 모듈의 변환 효율과 동일하므로 고효율과 높은
승압비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각 브리지 회로는 고주파 변압기에 의해 정류 회로와 절연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포트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도 모든 입력 포트의 기준 전위를 공통으로
할 수 있다. 즉, 입력 포트를 여러 개 병렬로 연결하거나 여러 개로 분산시킨 경우에도 어느 입력 포트도 고전압이 되지 않고, 모든 브리지 회로 구동
회로의 기준 전위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정류 회로는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회로가 불필요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시스템
전체의 구동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출력 포트가 높은 전위측에 연결되는 승압 모듈의 고주파 변압기일수록 1차측과 2차측 사이에 더
높은 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현재 1,000[V]이하의 시스템에서는 절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부피 증분은 변압기 전체 부피에 비해 작기
때문에 제안 방식의 회로로 함으로써의 부피 증가분은 미미하다.
그림 1. 제안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회로 구성
Fig. 1.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isolated modular boost converter
그림 2는 제안한 승압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2에서 소프트 턴-온 동작이 가능한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를 사용했으며, 정류회로는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 강하의 영향이 적은 센터 탭 형태의
다이오드 정류회로를 사용하였다.
그림 2. 제안한 승압 모듈의 구성
Fig. 2. Configuration of the proposed Boost Module
일반적으로 절연형 DC-DC 컨버터의 기본 동작은 강압 컨버터와 유사하므로, 승압을 위해서는 고주파 변압기의 1차측 권선 수 $N_{p}$와 2차측
권선 수 $N_{s}$를 $N_{p}$ < $N_{s}$로 설정해야 한다. 저~중 출력 영역의 동작점이 자주 사용되며, 승압으로 인해 정류 회로측의
전류가 브리지 회로측의 전류보다 낮아지므로 저전류 영역에서도 저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림 3은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의 전류 연속 모드(CCM : Continuous Conduction Mode)에서의 이상적인 동작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변압기의 여자 전류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고, 부하는 일정한 전압으로 가정하였다.
그림 3.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회로의 동작 파형
Fig. 3. The action waveforms of a phase shifted full bridge converter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는 변압기의 1차측에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는 동안 1차측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누설 인덕턴스
$L_{s}$를 여자하는 기간 (a), 필터 인덕턴스 $L_{f}$를 여자하는 기간 (b), 변압기의 전류가 환류하는 기간 (c)에 있어서 변압기의
1차측 전류의 기울기 $m_{a}$~$m_{c}$는 식 (1)~(3)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기간 (b)의 길이 $D_{eff}$에 대해서는 식 (4)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변압기의 권선비$N$은 $N_{s}/ N_{p}$이며, 승압 변압기에서는 1 이상의 값이 된다. 정상 상태에서는 기간 (a)의 시작점에서의
전류를 $-I_{po}$로 하면 기간(c)의 종점에서의 전류는 $I_{po}$가 되므로 식 (5)가 성립한다.
식 (5)에서 $I_{po}$를 구하고, 이 값을 이용하여 각 기간 (a) ~ (c)의 종점 전류값을 구하면 정상 상태에서의 위상 시프트 비율 D와 평균 입력
전류 $I_{i n(avg)}$의 관계를 식 (6)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_{oi}$는 $V_{out}/V_{i n}$이며, 승압할 경우 1 이상이 되지만, $V_{oi}/N$ 은 1 이하가 된다. 이 공식을
이용하여 정격 전력을 충족하기 위한 사양을 추정할 수 있다.
2.2 여자 인덕턴스가 저출력 영역 손실에 미치는 영향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는 데드타임 기간 동안 변압기에 흐르는 환류 전류를 이용하여 턴-온하는 디바이스의 출력 용량에 저장된 전하를 이동시킴으로써
소프트 턴-온 동작을 실현한다. 그러나 저출력시 그림 3의 기간(c) 동안 변압기의 전류 $I_{p}$와 필터 인덕턴스의 전류$I_{L}$가 0이 되는 전류 불연속 모드(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가 되면 지연 레그($V_{L}$의 출력을 담당하는 레그)의 스위칭시 환류 전류가 없어져 소프트 턴-온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그림 4는 DCM에서 변압기에 흐르는 이상적인 전류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여자 전류는 변압기 2차측의 전류에 기여하지 않고 1차측을 환류하고 있다. 이 환류 전류를 이용하여 지연 레그의 소프트 턴-온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필요한 여자 인덕턴스 $L_{m}$의 상한값은 다음 식에서 구할 수 있다.
그림 4. DCM에서 변압기에 흐르는 이상적인 전류 파형
Fig. 4. Ideal waveforms of a XFMR primary current at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여기서, $T_{d}$는 데드타임, $Q_{oss}$는 스위칭 소자에 인가하는 전압을 0에서 $V_{i n}$까지 출력 용량에 축적되는 전하량이다.
식 (7)에서 알 수 있듯이 저출력, 즉 낮은 위상 시프트 비율 $D$에서도 소프트 스위칭을 성립시키기 위해서는 여자 인덕턴스 $L_{m}$을 작게 해야 한다.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가 CCM으로 동작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 비율 $D_{ccm}$조건은 그림 3의 기간 (b)의 전류 증가가 기간 (c)의 전류 감소보다 커야 하며, 아래 식 (8)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식 (7)에서 사용하는 시프트 비율$D$는 $D_{ccm}$이하이어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여자 인덕턴스$L_{m}$을 낮춤으로써 증가되는 여자 전류에 의한
전도 손실 증가분이 소프트 스위칭 성립에 의한 손실 감소분보다 크면 여자 인덕턴스 $L_{m}$을 낮추는 효과는 없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여자
인덕턴스 $L_{m}$의 하한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변압기 1차측 전류에 대해 2차측 전력 전송에 기여하는 실효 전류 $I_{xa}$와
변압기 코어 여자에 사용되는 여자 전류 $I_{xm}$의 합을 변압기 전류 $I_{p}$로 정의하고, DCM에서 실효 전류$I_{xa}$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변압기 전류$I_{p}$의 기울기가 변화하는 3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여자 전류$I_{xm}$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 각 기간 (e) ~ (g)의 소비전력을 다음 식을 통해 구한다. 먼저 기간 (e) ~ (g)의 길이$T_{e}$~$T_{g}$와
각 구간에서의 실효 전류 $I_{xa}$의 기울기 $m_{1}$, $m_{2}$를 식 (9)와 식 (10)에 나타낸다.
이 값을 이용하여 기간 (e), (f)의 도통 손실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R$은 환류 전류 경로의 저항이며, 다음으로 각 기간의 변압기 전류$I_{p}$는 식 (12)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변압기 전류의 손실$P_{xp}$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m_{3}$는 여자 전류$I_{xm}$의 기울기$V_{i n}/L_{m}$의 절대값이다. 이 $P_{xp}$와 $P_{xa}$의 차이가
여자 전류$I_{xm}$에 의한 도통 손실 증가분이며,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식 (14)에서 나타낸 손실 증가분을 소프트 턴-온 불성립에 의한 손실 증가분 이하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음 관계를 만족해야 한다.
식 (14)와 식 (15)로부터 여자 인덕턴스 $L_{m}$의 조건은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여자전류는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의 동작 모드에 관계없이 항상 변압기 1차측 전류의 일부로 실효 전류에 중첩되는 형태로 1차측 회로를
환류한다. 도통 손실은 흐르는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여자 전류 $I_{xm(r m s)}$가 일정하더라도 실효 전류$I_{xa(r m s)}$가
높을수록 ($I_{xm(r m s)}$+ $I_{xa(r m s)}$)2중 여자 전류에 의존하는 성분 2$I_{xm(r m s)}$×$I_{xa(r
m s)}$의 항이 증가하기 때문에 1차측 회로의 도통 손실 증가량이 증가한다.
결과적으로 여자 인덕턴스 $L_{m}$을 낮추면 실효 전류가 높아지는 고출력 영역에서 변환 효율이 저하되는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지연 레그의
턴-오프 손실은 DCM에서는 변압기 전류가 0이기 때문에 영전류 스위칭(ZCS: Zero Current Switching)가 되는 반면, CCM이
되면 ZCS가 없어지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스위칭 디바이스의 출력 용량 $C_{oss}$에 의해 전류의 하강에 비해 전압의 상승이 지연되어 특히
저출력시에는 하드 스위칭 시 턴-온 손실과 비교하면 충분히 작아지기 때문에 생략하였다.
2.3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 구성을 통한 저출력 영역의 고효율화 기법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에서는 그림 1과 같이 하나의 입력 전원에 대해 2개의 승압 모듈 #1과 #2의 입력을 병렬로 연결하고 출력을 직렬로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입력 전력이 낮을
때 승압 모듈 간에 출력하는 전력을 균등하게 분배하면 #1과 #2는 동시에 DCM이 되어 효율이 나빠진다. 따라서, 취급하는 전력이 낮은 경우에는
#1과 #2의 위상 시프트 시비율에 차이를 두어 한쪽은 CCM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항에서는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 전파 정류 회로 구성을 가정하여 계산을 수행하였다.
#1이 CCM으로, #2가 DCM으로 동작한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전력분담이 되는지 다음과 같이 구했다. 먼저 #1과 #2의 출력은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전류 평균값이 동일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각각의 출력 전류 평균값을 구하였다. 여기서, #1과 #2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각각 $D
_{1}$, $D_{2}$로 한다.
$V_{out1}$과 $V_{out2}$는 각각 #1과 #2의 출력 전압이며, 부하 전압$V_{out}$이 정해져 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연립방정식이
성립된다.
식 (17), 식 (18)를 이용하여 식 (19)을 풀면 $V_{out1}$과 $V_{out2}$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A$와 $B$는 다음과 같다.
회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위상 시프트 시비율과 전압 분담의 관계를 고려하고, Table 1에 제시된 파라미터를 식 (20)에 적용했을 때, 회로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경우와 $D_{1}: D_{2}$ 비율 그대로의 전력 분담이 된 경우를 비교한 결과를 그림 5에 정리했다. 여기서, 출력 전류가 공통이므로 전압 분담비는 전력 분담 비와 동일하다. 위상 시프트비의 총합 $D_{1}+ D_{2}$는 #2가
안정적으로 DCM으로 동작하고 #1이 DCM에서 CCM으로 동작하는 범위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식 (8)에서 구한 $D_{ccm}$는 1.2로 설정하였다. CCM/DCM은 #1이 CCM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 $D_{1}$/$D_{ccm}$의
값을 플롯한 것으로, 1.0보다 크면 CCM으로 동작하므로 식 (17)과 식 (18)의 전제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 출력 전압 밸런스 계산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값
Table 1 Parameter values used for output voltage balance calculation
Item
|
Symbol
|
value
|
Phase shift ratio of #1
|
D1
|
0.9~0.99
|
Phase shift ratio of #2
|
D2 |
1.2-D1(0.3~0.21)
|
Input Voltage Range
|
Vin |
40[V]
|
Output Voltage Range
|
Vout |
140[V]
|
Leakage Inductance
|
Ls |
0.25[uH]
|
Filter Inductance
|
Lf |
10[uH]
|
Transformer step-up ratio
|
N
|
2.5
|
회로 SPICE 시뮬레이션으로 구한 #1과 #2의 출력 전압값(#1_Sim, #2_Sim)이 정확하다고 가정하면, 식 (20)을 통해 구한 #1과 #2의 출력 전압값(#1_Eq, #2_Eq)은 전압분담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D_{1}$이 낮아질수록, 즉 CCM/DCM이
1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오차가 증가하지만 DCM이 1에 가까운 영역에서 오차가 커지지만, 위상 시프트 시비율로만 고려했을 때 #1과 #2의 출력 전압값(#1_D,
#2_D)과 비교하면 오차가 적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DCM으로 동작하는 승압 모듈과 CCM으로 동작하는 승압 모듈이 혼합된 경우, 전력분담률과
위상 시프트 시비율의 비율이 비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쪽이 DCM으로 동작하는 경우, 다른 승압 모듈은 위상 시프트 시비율을 높여도
분담하는 전력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CCM으로 동작할 수 있는 영역이 더 낮은 출력 영역으로 확대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5. SPICE 시뮬레이션에 의해 추정된 위상 시프트 시비율와 출력전 압 밸런스의 관계식(식 (20)과 위상 시프트 시비율 $D_{1}$ : $D_{2}$)
Fig. 5. Relationship between phase shift ratio and output voltage balance estimated
by SPICE simulation(the equation (20) and phase shift ratio $D_{1}$ : $D_{2}$)
$L_{m}$값이 크고 DCM에서는 소프트 턴-온이 성립하지 않는 승압 모듈 #1, #2에서 저출력시 #1의 위상 시프트 시비율를 #2의 위상 시프트
시비율보다 크게 하여 #1의 CCM 동작을 유지시킴으로써 소프트 턴-온이 성립하므로 그만큼 효율이 향상된다. 반면 #2는 어느 쪽이든 저출력시에는
DCM이 되어 지연 레그의 하드 턴-온화에 따른 손실이 있기 때문에 위상 시프트 시비율에 차이를 두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효율 저하가 적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승압 모듈 #1과 #2의 효율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며, 앞에서 검토한 여자 인덕턴스 변압기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고출력시 효율
저하의 폐해가 있지만,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고출력시 $D_{1}$=$D_{2}$으로 하여 균등분배 출력함으로써 그 폐해를 피할 수 있다. 즉, CCM으로
동작하는 승압 모듈은 가능한 한 높은 위상 시프트 시비율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실험결과 및 고찰
Table 2는 실험에 사용된 회로정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승압 모듈의 2차측에는 서지 전압 억제를 위해 그림 2에 나타낸 RCD 스너버 회로를 사용하였으며, 진전 레그(그림 3에서 VR의 출력을 담당하는 레그)의 스위칭 시 변압기 전류는 항상 지연 레그보다 크기 때문에 소프트 턴-온 성립 범위가 넓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스위칭 디바이스의 출력 용량과 병렬로 커패시터 $C_{ad}$를 추가하고 있다.
변압기는 여자 인덕턴스가 높은 A와 여자 인덕턴스가 낮은 B의 두 종류를 사용하여 제안된 방법의 효율 향상 효과와 비교하였다. 식 (7)에서 $V_{i n}$ = 40[V], $V_{out}$ = 70[V]로 하면 DCM에서 소프트 스위칭을 성립시키기 위한 여자 인덕턴스 $L_{m}$의
상한값은 39.8[μH]로 구할 수 있다. 또한, 부하저항$R$ = 14[mΩ]이라고 하면, 식 (16)에서 저출력 영역에서 효율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한 여자 인덕턴스 $L_{m}$의 하한값은 약 2.75[μH]로 구할 수 있다. 변압기 $A$는 상한값보다
높은 여자 인덕턴스이므로 DCM 영역에서 소프트 스위칭의 효과가 없다. 이에 반해 변압기$B$ 의 여자 인덕턴스 $L_{m}$은 8[μH]로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에 있으며, 효율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영역은 $D$≥0.141이다.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의 스위칭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신호는 동일한 보드에 탑재된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생성되며, 서로 다른 승압 모듈 간의 스위칭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동기화 신호를 사용한다. 입력에는 직류전원을 사용하고, 출력에는 전자부하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입력 전압을 수동 프로브, 입력
전류를 전원 표시값, 출력 전압을 차동 프로브, 출력 전류를 전자 부하 표시값으로 하였다.
표 2 실험에 사용된 회로정수
Table 2 Circuit constants used in experiment
Item
|
Symbol
|
value
|
Input Voltage Range
|
Vin |
10 ~ 40[V]
|
Output Voltage Range
|
Vout |
20-140[V]
|
XFMR Turn Ratio
|
Np:Ns |
4:10
|
Nominal Boost Ratio
|
2.0 at 90% phase shift
|
XFMR
(A)
|
Leakage Inductance
|
Ls |
0.22[uH]
|
Magnetizing Inductance
|
Lm |
180[uH]
|
Core Material
|
JFE Ferrite MBF4
|
XFMR
(B)
|
Leakage Inductance
|
Ls |
0.25[uH]
|
Magnetizing Inductance
|
Lm |
8[uH]
|
Core Material
|
TDGTP5E
|
Switching Device
|
GaN Systems GS61008T
|
Switching Device Nominal On Resistance
|
7[mΩ] (at 25degC)
|
Energy Rated Effective
Output Capacitance
|
Coss |
351.4[pF]
|
Additional Capacitance
|
Cad |
500[pF]
|
Filter Inductance
|
Lf |
10[uH]
|
Output Filter Capacitance
|
Co |
10[uF]
|
Diode
|
Infineon IDH12G65C5
|
Signal Processor
|
dsPIC33EP64GS502
|
Delay time
|
Td |
40[ns]
|
Snubber Resistance
|
Rs |
164[ohm]
|
Snubber Capacitance
|
Cs |
100[pF]
|
Switching Frequency
|
fsw |
500[kHz]
|
Nominal Output Power
|
Vout |
300W at 40V input
|
그림 6은 입력 전압 40[V], 부하 전압 70[V]를 일정하게 설정하고 위상 시프트 비율 $D$를 변화시켜 승압 모듈의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을 실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6. XFMR A가 장착된 부스트 모듈과 XFMR B가 장착된 부스트 모듈 간의 측정된 효율성 대 출력 전력 비교
Fig. 6. Measured efficiency vs. output power comparison between the boost modules
with XFMR A and the boost module with XFMR B
그림 6에서 저출력 영역에서는 변압기 $A$를 사용한 것보다 변압기 $B$를 사용한 것이 효율이 더 높다. 반면 고출력 영역에서는 그 관계가 역전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여자 인덕턴스$L_{m}$를 낮추면 저출력 영역에서는 효율 개선 효과가 있지만, 고출력 영역에서는 효율이 악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7. 2입력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로 2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한 시스템의 구성
Fig. 7. Configuration of a system using two DC power sources with a two-input isolated
modular boost converter
그림 7는 2입력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로 2개의 직류 전원을 사용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그림 8은 승압 모듈 #1, #2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모두 0.8로 공통으로 설정하고, #1의 입력전압을 40[V], #2의 입력전압을 10[V]로 설정했을
때의 실측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8에서 알 수 있듯이 입력 전압이 낮아질수록 변압기에 흐르는 전류의 기울기가 완만해지기 때문에 컨버터로서의 전력 출력 기간인 기간 (b)가 짧아진다.
그림 9는 #2의 입력 전압을 #1의 전압 이하 범위에서 변화시켰을 때 #1과 #2의 입력 전압비와 출력 전력분담비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9에서 점선은 상한 기준값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8. 입력 전압이 서로 다른 두 입력 절연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파형
Fig. 8. The waveforms of two input insulation modular boost converters with different
input voltages
그림 8과
그림 9에서 전압이 다른 여러 개의 전원이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로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전원이 동일한 전류를 입력할 수 있는 능력이 있더라도 저전압
전원은 고전압 전원에 의해 그 상한이 제한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정되는 전원으로서 연료전지나 태양전지는 출력할 수 있는 전류는 크게
변화할 수 있지만, 최적의 출력 전압이 크게 낮아지는 일은 없기 때문에 시스템으로서의 악영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림 9. 입력 전압비에 대한 출력 전력분담비의 실측 파형
Fig. 9. The measured waveform of the output power-sharing ratio to the input voltage
ratio
그림 10.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의 실측 결과
Fig. 10. Measurement results of output power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insulated
modular boosters
입력 병렬 연결시 DCM/CCM 병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여자 인덕턴스가 큰 것이 좋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도 승압 모듈에는 변압기 $A$를 사용하였다.
회로로는 그림 7에서 승압 모듈 #1, 2의 입력을 하나의 전원에 연결한 형태가 된다. 그림 10은 입력 전압을 40[V], 부하를 140[V]로 고정하고, 승압 모듈 #1과 #2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공통으로 변화시킨 경우와 #1만 항상 $D_{1}$=0.99로
하고, #2의 위상 시프트 시비율 $D_{2}$만 변화시킨 경우의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의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의 실측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저~중 출력시에는 위상 시프트 비율에 차이를 두어 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1) 저출력 전력 영역(80[W]이하)
그림 11은 $D_{1}$=0.99에서 $D_{2}$=0.2로 설정했을 때 #1과 #2의 변압기 전압과 전류의 실측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1에서 알 수 있듯이 저출력 영역에서도 #1은 CCM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현상이 저출력 영역에서의 효율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저~중 출력 전력 영역(80~200[W])
그러나 효율 개선 효과의 요인이 #1의 소프트 스위칭 성립 영역 확대라고 가정할 경우, 소프트 스위칭이 성립하는 저~중 출력시의 효율 개선을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두 가지 동작 방식에서 각각의 승압 모듈에 어떤 특성 차이가 나타나는지 명확히 하기 위해 위상 시프트 비율에 대한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의 실측 결과를 그림 12에 나타낸다. $D_{1}$=$D_{2}$의 경우 #1과 #2의 전압 분담 비율이 일정하기 때문에 식 (8)에서 나타낸 CCM 동작 조건에서 $D_{ccm}$가 0.7 일정하게 된다. 이 위상 시프트 비율을 경계로 위상 시프트 비율의 증가에 대한 출력 전력의
증가량과 변환 효율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그림 11. #1과 #2의 변압기 전압과 전류의 실측 파형 ($D_{1}$=0.99에서 $D_{2}$=0.2로 설정했을 때)
Fig. 11. Measurement waveforms of transformer voltage and current for #1 and #2(when
set from $D_{1}$=0.99 to $D_{2}$=0.2)
한편, $D_{1}$>$D_{2}$의 경우 $D_{1}$가 일정하고 $D_{2}$를 변화시키기 때문에 #1과 #2의 전압분담비율이 위상 시프트 비율에
따라 변화한다. 그 결과, #2의 CCM 성립 조건인 $D_{2ccm}$이 $D_{2}$의 값에 따라 달라진다. 이번 조건에서는 $D_{2}$>0.44로
항상 $D_{2}$>$D_{2ccm}$가 성립하며, $D_{2}$=$D_{2ccm}$일 때의 출력 전력과 $D_{1}$=$D_{2}$=$D_{ccm}$일
때의 출력 전력은 80[W] 정도로 동일하지만, 변환 효율은 $D_{1}$이 항상 CCM으로 동작하는 $D_{1}$>$D_{2}$일 때보다 약 4[%]정도
더 높다. 결과적으로 DCM에서 CCM으로 전환되는 경계 부근인 80[W]~200[W]의 출력 전력 영역에서 $D_{1}$>$D_{2}$인 경우의
효율이 $D_{1}$=$D_{2}$인 경우의 효율을 상회하는 결과를 얻었다.
그림 12. 위상 시프트 비율에 대한 출력 전력과 변환 효율의 실측 결과
Fig. 12. Actual results of output power and conversion efficiency for phase shift
ratio
(3) 중고출력 영역(300~500W)
이 영역에서는 DCM에서 CCM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의 변환 효율 향상 효과는 포화상태이므로 (2)에서 설명한 이유로는 중~고출력 영역에서의 효율
향상을 설명할 수 없다.
그림 13은 중출력 영역에서 두 가지 동작 방식에 대한 실측 파형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 13의 파형에서 두 가지 동작 방식 모두 승압 모듈 #1, #2 모두 CCM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 $D_{1}$ = 0.99, $D_{2}$ = 0.53
(b) $D_{1}$ = $D_{2}$ = 0.76
그림 13. 승압 모듈 #1, #2일 때 실측 파형(중출력 영역)
Fig. 13. Measurement waveform when boosting modules #1 and #2 (medium power region)
그림 14는 각 모듈의 출력 전력과 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4에서 $D_{1}$>$D_{2}$의 경우, 동일한 동작점에서 #1과 #2의 플롯을 점선으로 연결하여 동일한 동작점에서 #1의 플롯과 #2의 플롯을
연결하였다. 위상 시프트 풀-브리지 컨버터의 효율은 위상 시프트 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진다. 이는 전력 출력에 기여하지 않고 1차측 회로를 환류하는
흐르는 전류가 감소하고 무효전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그림 14에서 중~고출력 영역에서도 항상 위상시프트 비율이 0.99로 동작하는 #1은 $D_{1}$=$D_{2}$로 동작하는 승압 모듈보다 높은 변환 효율을
나타내며, 특히 출력 전력 200~300[W] 영역에서 가장 높은 변환 효율을 보인다. 반면, $D_{1}$>$D_{2}$에서 동작하는 #2는 위상
시프트 비율이 낮기 때문에 변환 효율이 낮다. 그러나 여기서 #2가 분담하는 전력량 자체가 낮기 때문에 전체 효율에 미치는 영향도는 낮다. 즉, $D_{1}$>$D_{2}$에서는
#1의 전력분담 비율이 #2보다 높아짐에 따라 통합된 효율 중 #1의 효율 기여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출력 전력 약 330[W]의 조건에서
$D_{1}$>$D_{2}$조건에서 #1의 출력 전력, 변환 효율은 218[W], 94.9[%], #2의 출력 전력, 변환 효율은 112[W], 88.2[%]로
나타나며, 최고 효율 부근에서 동작하는 #1이 약 2/3의 전력 출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로서의 효율은 92.6 [%]로
$D_{1}$=$D_{2}$=0.76으로 동작했을 때의 91.5[%]보다 약 1[%] 더 높은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D_{1}$>$D_{2}$에서의
출력 전압 실측값($V_{1(meas)}$, $V_{2(meas)}$)과 식 (20)를 이용하여 예측한 값($V_{1(Eq)}$, $V_{2(Eq)}$)과 위상 시프트 비율로 예측한 값($V_{1(D)}$, $V_{2(D)}$)을
그림 15에 나타낸다.
그림 14. 승압 모듈 #1, #2일 때 출력 전력에 대한 효율 측정 (중~고출력 영역)
Fig. 14. Measurement of efficiency for output power when boosting modules #1 and #2(Mid-power
to high-power area)
그림 15에서 실측값은 $D_{2}$가 낮을수록, 즉 #2가 DCM이 동작하는 영역일수록 위상 시프트 비율을 이용한 예측값과 차이가 나며, 식 (20)를 이용한 예측값에 가까워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입력을 병렬로 연결하고 출력을 직렬로 연결한 승압 모듈로 구성된 절연형 모듈러 승압 컨버터에서 고정 전압 부하에 출력하는 경우, 출력
전력에 관계없이 한쪽 모듈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식 (20)과 식 (8)을 이용하여 구한 CCM 성립 조건 이상으로 크게 하고, 다른 쪽 모듈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출력 전력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저출력 영역에서는 고정
위상 시프트 비율의 승압 모듈의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여 효율이 향상되고, 중출력 영역에서는 높은 변환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모듈의 위상 시프트 비율을
출력 전력에 맞게 조정함으로써 저출력 영역에서는 고정 위상 시프트 비율의 승압 모듈의 스위칭 손실이 감소하여 효율이 향상되고, 중출력 영역에서는 높은
변환 효율로 동작하는 승압 모듈의 전력분담비가 증가하여 효율이 향상된다. 즉, 저출력 영역을 포함한 넓은 동작 영역에서 시스템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5. 위상 시프트 비율과 출력전압 균형의 관계 (식 (16)과 위상 시프트 비율 $D_{1}$ : $D_{2}$)
Fig. 15. Relationship between phase shift ratio $D_{2}$ and output voltage balance
(Equation (16) and phase shift ratio $D_{1}$ : $D_{2}$ )
그림 16. 승압비를 변경했을 때 제안한 승압 모듈의 출력 전력 및 변환 효율실측 결과
Fig. 16. Measured output power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proposed step-up module
when the step-up ratio was changed.
승압비를 변화시켰을 때 제안한 승압 모듈의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16에 나타내었다. 변압기 권선비와 정류회로 구성으로 볼 때 최대 승압비는 5.0이다. 결과로부터 승압비가 상한 승압비에 가까워질수록 컨버터의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필터 인덕터와 마찬가지로 승압비가 높아질수록 출력 가능한 전력은 제한된다.
이는 $P_{out}=\dfrac{V_{out}(V_{X 2}-V_{out})}{16f_{sw}L_{f}}$에서 알 수 있다. 승압비와 출력 가능한
전력의 관계를 실측값를 바탕으로 그림 17에 나타낸다. 상변환 시비율이 최대가 아닌 경우 승압비의 증가로 CCM에서 DCM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출력 가능한 전력은 크게 감소한다. 반면, 위상
시프트 시비율을 최대로 동작하는 경우 출력 가능한 전력의 감소는 완만하며, 정격 동작점 대비 절반으로 감소하지 않는다.
그림 17. 승압비와 출력 가능한 전력의 관계
Fig. 17. Relationship between step-up ratio and output power
여기서 승압비가 높아지는 경우를 고려하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셀 단독으로 볼 때 최대 전력을 발생시킬 때의 전압은 일사량 변화에 둔감하며, 두
배 반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한편, PV 모듈에서는 셀을 직렬로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음영이 발생한 경우 등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작동할 때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는 전압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제안한 승압 모듈은 이러한 경우에 고효율로 동작하는 특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부분
그림자 상태에서는 발전 전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출력 가능한 최대 전력이 제한되는 것은 사실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즉, 제안한
승압 모듈은 부분 음영 시와 같이 저출력 영역에서는 승압비 상승에 따라 고효율로 동작하고, 일사량이 충분한 고출력 영역에서는 승압비가 낮아져 최대
전력에서도 고효율로 동작할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