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orea.)



Ultrasonic, Cast-resin Transformer, Transmission Wave, Reflective Wave, Time of Flight

1. 서 론

우리나라의 자가용 전기설비의 정기검사는 전기안전관리법 제11조 및 시행규칙 제8조에 근거하여 조건에 따라 1년에서 4년 사이의 주기를 가지고 실시되고 있다. 정기검사는 일반적으로 검사자 및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더불어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해서 설비 전체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이상 여부를 정밀하게 측정 및 분석한다. 그런데 병원, 국방시설, 국가 주요 시설 등과 같이 정전 후 검사가 곤란하거나 정전에 따른 중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설비의 경우 무정전 상태에서 전기설비의 이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이 선호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양한 활선 진단 기술이 적용되고 있지만 명확한 설비의 이상을 판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전기재해 통계에 따르면 특고압 전기설비에서 발생한 사고 중 변압기 및 변성기에서 발생한 사고는 전체 850건으로 전체 4,027건 중 약 21.1% 차지하여 케이블 사고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사고 발생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1]. 과거에는 변압기 및 변성기의 절연 물질로 절연유를 사용한 유입식 전기설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유지관리의 편의성과 에너지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몰딩형 전기설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몰딩형 전기설비는 에폭시 절연물을 이용해 내부의 구성물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킨 구조로 되어있어 절연 성능은 확보할 수 있지만, 내부에서 일어나는 이상 상태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기존의 무정전 상태진단 기술로는 내부적 이상에 대한 초기 검출이 곤란한 실정이다[2]. 몰드변압기에 대한 무정전 진단 방법으로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 자외선 코로나 카메라, 초음파 음향 코로나 및 부분방전 등을 측정하여 설비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외부로 표출되는 위험 인자들에 대해서만 검출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초음파를 활용해 에폭시 절연물을 투과하여 변압기 고압권선의 내부온도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식의 진단 기술이 소개되었다. 위 논문은 접촉식 PZT(PieZo-electric Transducer)를 이용하여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 및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초음파 투과 및 반사파 특성을 검증하였고[3], 추가 연구를 통해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여 초음파의 전파속도와 에폭시의 온도 정보를 이용해 고압권선 내부의 온도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4]. 그런데 이 방식은 절연 및 안전상의 이유로 활선 상태인 전기설비에 접촉하여 진단할 수 없어서 상용화된 비접촉식 초음파를 이용한 측정 기술의 특징과 한계점을 분석하고, 기존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이 제안되었다[5]. 본 논문에서는 앞서 제안된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을 활용하여 취득한 초음파 신호의 투과 및 반사파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험을 위해 제작된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를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하였다.

2. 본 론

기존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 중 에어-커플드 초음파는 측정 대상물에 접촉하지 않고 측정하는 과정에서 트랜스듀서와 대상물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으로 인한 신호 감쇠를 줄이기 위한 매칭 기술로, 신호의 크기가 작아서 고체 절연물을 대상으로 투과 및 반사 신호를 측정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인 레이저 초음파는 레이저를 방사하여 측정 대상물에 부딪히면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순간적인 열 탄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레이저가 부딪힌 측정물 표면의 진동 에너지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고체 절연물을 대상으로 투과 및 반사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높은 에너지의 펄스 레이저를 발생시켜야 하므로 신호 냉각장치를 포함한 신호 발생 부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몰드변압기 설치 장소가 협소한 경우 적용이 곤란하고, 측정 장비의 이동에 제약이 있다. 또한, 높은 에너지의 레이저는 측정 대상물인 고압권선을 훼손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은 그림 1과 같이 기존의 두 가지 비접촉 초음파 측정 방식의 장점을 조합하여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로 측정 대상물에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LDV(Laser Doppler Vibrometer)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물 표면에서 나타나는 초음파에 의한 진동 변위 신호를 취득함으로써 기존 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였다[5].

본 논문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그림 1과 같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을 활용하여 취득한 초음파 신호의 투과 및 반사파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그림 2와 같이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그림 2와 같이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단계에 대한 세부 설명은 다음과 같다. 또한, 그림 2에서 제시한 알고리즘 흐름도의 각 부호에 대한 설명은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설명에서 괄호 안의 값은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을 위해 임의로 설정된 값으로 실험 대상 및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① 초음파 입력부

초음파 입력부는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취득한 초음파 신호를 입력하고,

그림 1. 제안한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 구성도

Fig. 1. A configuration diagram of proposed non-contact ultrasonic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1.png

그림 2. 제안한 알고리즘 흐름도

Fig. 2. Flow chart of the proposed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2.png

표 1 알고리즘의 각 부호에 대한 설명

Table 1 Description of each sign of the algorithm

구분

부호

설명

크기

관련

(Velocity)

VFP

기본파 성분의 Peak 크기

VT_set

투과파 크기 검출 설정값(30 μm/s)

VR_set

투과파 크기 리셋 설정값(10 μm/s)

주파수 관련

FRother

기본파 외 타 주파수 성분의 비율

NFRset

노이즈 주파수 검출 설정값(60%)

THDset

고조파 왜형률 설정값(30%)

Flag

UT_flag

초음파 투과파 검출 체크 신호

UD_flag

초음파 투과/반사 구분 체크 신호

시간 관련

T

현재 FFT window의 시작 시간

TCM

이전 조건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

T1set

유지시간 설정값1(2cycle)

T2set

유지시간 설정값2(5cycle)

Tthrough

투과파 검출 시간

Treflect

반사파 검출 시간

ToF

반사파 도착 시간

초기 설정하는 부분이다. 입력된 초음파 신호의 시작과 끝 시점을 인식하고, 고조파 분석을 위한 FFT(Fast Fourier Transform) 신호처리의 기본주파수 및 FFT window cycle을 설정한다. 초기 설정 단계가 끝나면 설정된 FFT window cycle을입력된 초음파 신호의 매 샘플 데이터마다 이동하며 이후 과정을 진행한다.

② 투과파 검출부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가 발생시킨 초음파 신호는 측정 대상의 표면에서 일부는 투과되고 일부는 표면에서 반사되는데, 투과파 검출부에서 초음파가 표면에 부딪히는 초기 시점을 검출하게 된다. 설정된 주기로 FFT 처리된 초음파 신호의 기본파 성분의 Peak 크기인 VFP가 투과파 크기 검출 설정값 VT_set을 초과하고, 기본파 이외의 다른 모든 주파수 성분의 비율이 각각 노이즈 주파수 검출 설정값 미만이 되어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유지하게 되면, 이를 투과파로 판별하여 투과파 검출 시간을 도출한다. 이때, 투과파 검출 시간은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Velocity 파형의 첫 상승 Peak 점의 시간을 취한다. 이후에는 다음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 초음파 투과/반사 구분 체크 신호인 UD_flag를 활성화한다.

③ 대기부

대기부에서는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의 사양과 신호 발생기의 설정에 따라 유지되는 초음파 원천 신호의 댐핑이 사라지는 동안 기다린 후, 초음파 투과파와 반사파를 구분하는 경계 지점을 확인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VFP가 초음파 원천 신호의 댐핑 특성에 따라 설정된 T2set 유지시간 이내에 VR_set보다 더 작아지면 투과파가 사라진 것으로 판단하고 UT_flag를 초기화한다. 한편, VFP가 VR_set보다 더 큰 상태로, 현재 FFT window의 시작 시점이 T2set을 초과하면 초음파 투과파와 반사파를 구분하기 위해 기본파 이외 다른 주파수 성분의 비율 중 하나라도 노이즈 주파수 설정값에 마진 10% 더한 값을 초과하거나, VFP가 VR_set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UD_flag를 활성화하여 다음 과정으로 진행한다.

④ 반사파 검출 및 ToF 계산부

반사파의 검출은 초음파 신호가 측정 대상의 표면에서 일부 투과된 신호에 대해 측정 대상물의 내부를 관통한 후, 내부에서 재질의 변화가 있는 경우 반사되어 되돌아 나오는 초음파신호를 LDV를 통해 측정 대상물 표면에서 검출한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은 초음파 파형의 크기가 매우 작아서 반사파를 검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의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대기부를 통해 활성화된 UD_flag에 의해 투과파와 반사파를 구분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면 이후 다시 VFP가 VR_set보다 더 큰 상태로 유지되는 조건에서 기본파 이외의 다른 모든 주파수 성분의 비율이 각각 노이즈 주파수 검출 설정값 미만이 되거나, 또는 고조파 왜형률(THD, Total Harmonic Distortion)이 THD 설정값 미만이 되는지 확인한다. 반사파 검출의 경우 투과파 검출 과정과 달리 신호가 작은 상황을 고려하여 THD를 OR 조건으로 추가하였다. 이후 과정은 투과파 검출 과정과 같이 위의 조건으로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하면, 이를 반사파로 판별하여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Velocity 파형의 첫 상승 Peak 점의 시간을 취함으로써 반사파 도착 시간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반사파가 검출되면 아래 식 1과 같이 ToF(Time of Flight)를 계산하고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1)
$T o F = T_{reflect}-T_{through}$

3. 성능 검증

3.1 시험 구성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용 초음파 투과 및 반사파 파형을 취득하기 위해, 그림 3과 같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비접촉식 초음파 송신부인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는 정격주파수가 500 kHz이며, 초음파 신호가 측정 대상물의 한 점에 모일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여 측정 포인트에서 초음파의 신호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고, 초음파를 가진 시키기 위해 신호 발생기와 AC 증폭기를 사용하였다. 이때,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에서 발진되는 음파의 크기는 클수록 좋고, 주기는 짧을수록 좋기 때문에 트랜스듀서가 최적의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신호 발생기와 증폭기를 이용하여 전압의 크기, 주파수, 펄스의 종류 및 주기를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 트랜스듀서에 인가하는 전압의 사양과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 표면에서 가진 되는 초음파 신호는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그림 3. 제안한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실험 구성도

Fig. 3.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est for proposed non-contact ultrasonic measurement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3.png

표 2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 관련 사양

Table 2 Specifications of an air-coupled transducer

구분

인가 전압

전압 크기

±120 V

주파수

480 kHz

인가 펄스 종류

Sine Wave

인가 펄스 주기

3 cycles

신호 반복 주기

50 ms

초음파

출력

주파수

약 465.5 kHz

전체 파장

약 6 ⁓ 8 cycles

초음파 신호를 비접촉 방식으로 수신하기 위한 LDV는 센서 부와 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용화된 Fixed-point LDV 장치의 Velocity 측정 방식을 이용하였다. 비접촉식 초음파 신호는 크기가 매우 작아서 LDV에서 측정된 표면진동 Velocity 신호를 고성능 DAQ를 거쳐 운용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신호처리 후 시험 파형을 취득한다. 여기서 신호처리는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와 LDV 장치의 신호 동기화를 위하여 신호 발생기의 트리거 신호를 DAQ 시스템과 연계하여 신호 검출의 기준을 설정하고, 디지털 밴드패스필터로 노이즈를 제거한 후, 50 msec 간격으로 발생시킨 초음파를 1,000회 누적 평균하여 최종적으로 초음파 시험 파형을 취득한다. 이때, 측정 파형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측정 대상으로부터 송신부인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는 20 cm, LDV 센서는 100 cm 거리로 고정하였다.

초음파 측정 대상인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는 실제 고압권선의 제조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권선을 감고 에폭시 수지를 주입한 후에 진공 탈포와 고온 경화 과정을 거쳤으며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 및 내부 권선의 온도 변화에 따라 반사파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측정하기 위해 에폭시 절연물의 두께를 달리하고 내부 권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그림 4와 같이 제작하였다. 내부 권선은 총 7개의 섹션으로 내부 권선의 감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에폭시 표면과내부 권선 사이의 절연물 두께를 원하는 사양에 맞추었다. 내부 권선의 온도 조절은 각 섹션 별로 단자부를 송출하여 권선에 DC 전원발생기를 이용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내부 권선의 온도를 상승시켰고, 내부권선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각 섹션 별로 권선의 상부에 Pt-100 온도 센서를 부착하여 온도 측정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검증을 위해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의 30 mm, 40 mm, 50 mm 섹션에 대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초음파 파형을 취득하였다.

3.2 알고리즘 성능 검증 결과 분석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의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 40 mm, 50 mm의 각 섹션에 대해 측정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사례에 대하여 성능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논문의 사례연구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의 초기 설정으로, FFT 기본주파수는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의 출력 신호인 465.5 kHz, 그리고 FFT window cycle은 3cycle로 설정하였다. 기타 초기 설정은 표 2의 에어-커플드 트랜스듀서 초음파 신호 사양을 바탕으로 표 1의 부호 설명 부분에서 각각 괄호 안에 있는 값으로 설정하였다.

그림 4.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

Fig. 4. A high-voltage windings test sample of molded-type transformer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4.png

사례 ① : 에폭시 두께별 초음파 검출 결과 비교

사례 1에서는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의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 ~ 50 mm의 각 섹션에 대해 권선 온도와 표면 온도를 모두 상온인 30 ˚C에서 각 섹션마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음파 투과파와 반사파를 구분하고, ToF를 도출하였다. 그림 5는 사례 1을 검증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 및 신호처리 후 취득한 결과 파형으로, 맨 위의 파란색 실선이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 가운데 주황색 실선이 40 mm, 맨 아래 빨간색 실선이 50 mm에서 취득한 초음파 파형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파형에서 녹색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의 투과파와 분홍색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의 반사파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6은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음파 투과파와 반사파 구분 및 ToF를 산출하는 중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에서 취득한 초음파 파형의 FFT 결과 및 검출 시점을 나타내며, 그림 6의 (a)는 투과파 검출 시점, (b)는 대기부의 UD_flag 검출 시점, (c)는 반사파 검출 시점과 FFT 신호처리 결과를 나타낸다. 입력된 초음파 파형의 매 샘플데이터에 대해 FFT window cycle 설정인 3cycle 범위로 FFT를 실시한 결과, 그림 6의 (a)와 같이 VFP가 80.89 μm/s로 VT_set(30 μm/s) 보다 더 크고, FRother가 전체적으로 NFRset (60%) 보다 더 작아지게 되는 시점으로부터 각 상태가 T1set(2cycle) 설정 시간 이상을 유지하여, 투과파 검출 시간(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파형의 첫 상승 Peak 점의 시간) 21.09 μs를 검출하였다. 대기부의 UD_flag 검출 시점은 그림 6의 (b)와 같이 VFP가 VR_set(10 μm/s) 보다 더 큰 상태로

그림 5. 사례 1을 위해 취득한 초음파 신호

Fig. 5. Acquired ultrasonic waves for the Case 1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5.png

그림 6. 알고리즘의 중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결과 파형

Fig. 6. Waveforms to describe the intermediate proc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6.png

표 3 사례 1의 성능 검증 결과

Table 3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Case 1

에폭시 두께(mm)

검출 결과 시간(μs)

투과파

UD_flag

반사파

ToF

30

21.09

33.59

39.84

18.75

40

21.09

34.80

45.12

24.03

50

21.09

35.70

50.59

29.50

T2set(5cycle) 설정 시간이 지난 뒤 FRother가 NFRset(60%)에 마진 10% 더한 값을 초과하게 되는 FFT window의 시작 시간이 34.77 μs로 나타났다. 그리고, 반사파 검출 결과는 그림 6의 (c)와 같이 VFP가 14.95 μm/s로 VR_set(10 μm/s) 보다 더 크고, FRother가 다시 전체적으로 NFRset(60%) 보다 더 작아지게 되는 시점으로부터 각 상태가 T1set(2cycle) 설정 시간 이상을 유지하여 위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파형의 첫 상승 Peak 점의 시간인 39.84 μs를 검출하고, 최종적으로 식 1을 이용하여 18.75 μs로 ToF를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 ~ 50 mm의 각 섹션에 대해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한 성능 검증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도출된 ToF는 10 mm 간격으로 에폭시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약 5.3 μs의 시간 지연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사례 ② : 에폭시 온도별 초음파 검출 결과 비교

사례 2에서는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의 에폭시 표면 두께 30 mm에 대해 그림 3과 같은 DC 전원 발생기를 이용하여 해당 섹션의 권선 온도를 각각 30 ˚C, 50 ˚C, 70 ˚C로 증가시킨 후 측정한 초음파 신호를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음파 투과파와 반사파를 구분하고, ToF를 도출하였다. 참고로 에폭시의 열전도 특성이 낮음에 따라 권선 온도에 따른 에폭시 표면 온도는 각각 30 ˚C 일 때는 30 ˚C로 같고, 권선 온도 50 ˚C 일 때는 44 ˚C, 권선 온도 70 ˚C 일 때는 55 ˚C로 측정되었다. 그림 7은 사례 2를 검증하기 위해 취득한 결과 파형으로, 맨 위의 파란색 실선이 권선 온도 30 ˚C, 가운데 주황색 실선이 50 ˚C, 맨 아래 빨간색 실선이 70 ˚C에서 취득한 초음파 파형을 나타낸다. 그림 5와 마찬가지로 각 파형에서 녹색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의 투과파와 분홍색 점선 사각형으로 표시한 부분의 반사파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다.

앞서 사례 1의 그림 6과 그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에폭시 두께 30 mm에 대해 권선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 검증 결과는 표 4와 같다. 권선 온도를 30 ˚C 에서 50 ˚C 까지 증가시켰을 때, 에폭시의 표면에서 측정한 온도는 약 14 ˚C 차이가 있으며 이때, 산출된 ToF는

그림 7. 사례 2를 위해 취득한 초음파 신호

Fig. 7. Acquired ultrasonic waves for the Case 2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fig7.png

표 4 사례 2의 성능 검증 결과

Table 4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Case 2

온도(˚C)

검출 결과 시간(μs)

권선

에폭시 표면

투과파

UD_flag

반사파

ToF

30

30

21.09

33.59

39.84

18.75

50

44

21.09

37.89

42.38

21.29

70

55

21.09

35.16

44.34

23.25

2.54 μs 지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권선 온도를 50 ˚C 에서 70 ˚C 까지 증가시켰을 때, 에폭시의 표면에서 측정한 온도는 약 11 ˚C 차이가 있으며 이때, 산출된 ToF는 1.96 μs 지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인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추가 연구를 통해 취득한 초음파 신호의 투과 및 반사파를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몰드변압기 고압권선 시료를 제작하여 에폭시 표면 두께 변화와 권선 온도 변화에 따른 초음파 투과파 및 반사파의 구분 결과를 분석 한 결과 에폭시의 두께 증가 및 권선 온도 증가에 따라 지연되는 ToF를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의 비접촉식 초음파 기술로 측정이 어려운 고체 절연물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방식보다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초음파 투과파 및 반사파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송수신 방식의 비접촉식 초음파 측정 기술과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활선 상태에서 접근이 어려운 고압 이상의 에폭시 절연 전기설비에 대해 전기적으로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 접촉하지 않고 설비의 내부 이상을 판별할 수 있는 기술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1 
J. H. Park, “A Statistical Analysis on the Electrical Accident,”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vol. 29-32, 2020-2023DOI
2 
Kakimoto Yasutomo, Kozako Masahiro, Hikita Masayuki, “Elucidation of impedanc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cast resin transformer and application to partial discharge diagnostic method,” Electronics & Communications in Japan, vol. 105, Issue 1, pp. 1-9, March 2022DOI
3 
G. R. Han, J. H. Bang, I. H. Rye, T. H. Kim, B. M. So, “Analysis of Ultrasonic Propagation Characteristics for Internal Temperature Estimation of Cast-resin Transformer,” Journal of KIEE, vol. 72, no. 11, pp. 1526-1533, October, 2023URL
4 
G. R. Han, “A Study on the Internal Temperature Estimation and Detection Algorithm of a Cast Resin Transformer using 1 MHz Ultrasonic Waves,” Ph.D. dissert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2023URL
5 
H. G. Kang, G. R. Han, “Study on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epoxy insulating materials using non-contact ultrasonic waves with hybri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The KIEE summer conference, pp. 2484-2485, July. 2024URL

저자소개

강해권(Hae-Gweon Kang)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au1.png

He received the M. 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2010.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KESCO).

E-mail : khg17@kesco.or.kr

한가람(Ga-Ram Han)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au2.png

He received the M.Eng.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in 2011, and M.S. degree in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in 2023. He is currently a researche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since 2012.

전정채(Jeong-Chay Jeon)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the M.S. degree and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Wonkwang University, Korea, in 1997, 2000 and 2015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chief researcher and a center director in the Electrical Safet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lectrical Safety Corporation (KESCO).

방준호(Jun-Ho Bang)
../../Resources/kiee/KIEE.2024.73.11.2113/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the M.S. degree and Ph.D.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1989, 1991 and 1996 respectively. He was a research engineer with LG Semiconductor Institute of Technology from 1997 to 1998. At present, he is working as a professor at IT Applied System Engineering and Energy Storage & Convers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IT convergence system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