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Objective function
본 논문에서는 CEF가 적용된 배전계통 내의 다양한 목적에 따른 최적 전력 및 탄소 운영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배전계통
운영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전력손실 최소화 $(J_{1})$, 2) 전력 비용 최소화 $(J_{2})$, 3) 탄소발생량 최소화 $(J_{3})$,
4) 전력 및 탄소 비용 최소화 $(J_{4})$.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된 4개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아닌, 개별적인 목적함수로 설계하여,
각 목적함수에 따른 최적 전력 및 탄소 운영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루고자 하는 4개의 목적함수 $J_{1}\sim J_{4}$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이때, $J_{1}$에서의 $P_{t}^{{loss}}$는 $t$시간대의 전력손실이며, $J_{2}$에서의 $C_{t}^{{power}}$는 $t$시간대의
배전계통 발전비용이며, $J_{3}$에서의 $R_{t}^{{carbon}}$은 $t$시간대의 배전계통 내 전력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총 탄소발생량을
의미하며, $J_{4}$에서의 $C_{t}^{{carbon}}$는 $t$시간대의 배전계통 내 탄소발생에 대한 비용이다. 각 목적함수를 이루고 있는
항들에 대한 수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이때, 수식 (12)의 $P_{ij,\: t}^{{loss}}$는 $t$시간대의 선로 $ij$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의미하며, $P_{ij,\: t}^{{loss}}$에
대한 정의는 수식 (13) 와 같이 된다. 수식 (15)의 $C_{t}^{{power}}$는 시간대별 단위 전력 비용 $\hat{\pi_{t}^{{p}}}$와 그때의 변전소(substation) 전력공급량의
곱으로 이루어진 변전소 공급비용과 연결된 가스 터빈 기반의 분산형 발전기의 발전비용 ($C_{i,\: t}^{{GT}}$) 들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수식 (16)의 $R_{t}^{{carbon}}$는 시간대별 배전계통 내 탄소발생량을 의미하며, 이것은 변전소 전력 공급량 $P_{0,\: t}$와 연결된 각
가스 터빈 기반 분산형 발전기의 발전량 $P_{i,\: t}^{{GT}}$로 인해 발생하는 탄소 발생량으로 정의된다. 수식 (17)의 $C_{t}^{{carbon}}$는 시간개별 발생하는 탄소 발생량에 대해 단위 탄소 발생 비용 $\hat{\pi_{t}^{{c}}}$를 곱한값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에서는 위에 소개된 4개의 목적함수에 따라 가스 터빈 기반의 분산형 발전기가 연결된 능동형 배전계통의 전력 운영 및 (CEF 기반의)
탄소 운영의 변화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배전계통 및 분산 에너지원의 운영 제약조건은 다음 장에 소개된다.
3.2 Constraints
본 논문의 CEF기반 탄소 인식 배전계통 운영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전력운영 제약조건들로 구성된다.
위 식에서 수식 (18)은 $t$시간대에 노드 $i$에서 소비하는 전력을 선로 $ij$에 흐르는 전력으로 표현한 수식이며, 수식 (19)와 (20)는 선형화된 배전계통 내 선로 $ij$ 유효 및 무효전력 운영 제약조건이다. 수식 (21)에서는 선로 $ij$의 전력 방향을 모델링하고 각 노드의 유입 전력을 식별하기 위해 비음수 전력흐름 변수 $\widetilde{P_{ij,\: t}^{i}}$와
$\widetilde{P_{ji,\: t}^{i}}$를 도입하였으며, 이때 실제 전력 $P_{ij,\: t}$은 (21)과 같이 정의된다. 수식 (22), (23)는 이진변수 $b_{ij,\: t}^{{l}in{e}}$를 활용하여 선로 $ij$에 대해 $\widetilde{P_{ij,\: t}^{i}}$와
$\widetilde{P_{ji,\: t}^{i}}$중 반드시 하나만 0이 아닌 값을 갖도록 하는 complementarity condition (상보성
조건)을 나타낸다. 한편, (22)와 (23)는 이진변수 $b_{ij,\: t}^{{l}in{e}}$없이도 $\widetilde{P_{ij,\: t}^{i}}\bullet\widetilde{P_{ji,\:
t}^{i}}=0$의 형태로 설계할 수 있으나, 이는 강한 비선형성을 가지므로 연산효율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산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 조건을 선형화하여, 이진변수 $b_{ij,\: t}^{{l}in{e}}$를 적용한 (22)와 (23) 같은 형태로 설계하였다[9]. 수식 (24)은 $t$시간대에서 변전소이 공급하는 전력 $P_{0,\: t}$에 대한 정의이다. $P_{0,\: t}$는 모든 부하 노드에서 소비되는 부하량,
ESS가 연결된 노드에서 충전 및 방전되는 전력량, 가스 터빈 기반 분산 발전기가 연결된 노드의 발전량, PV 시스템이 연결된 노드에서의 발전량의
합과 차로 정의된다. 수식 (25)은 개별 노드 $i$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정의하였으며, 수식 (26)은 배전계통에 연결된 ESS의 SOC에 대한 동적 방정식을 나타내며, 수식 (27)는 ESS의 초기 및 마지막 시간대의 SOC에 대한 제약조건을 나타낸다. 수식 (28), (29)은 PV 시스템과 ESS가 연결된 노드의 스마트 인버터의 전력 운영 제약조건을 나타내었으며, 수식 (30)~(36)은 배전계통 내 선로에 흐르는 전류, 노드 전압, 가스 터빈 기반 분산 발전기의 발전 범위, ESS의 충전 빛 방전 범위, ESS의 SOC의 범위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위 제약조건들과 3.1에서 소개된 각 목적함수들을 만족하는 CEF 기반 최적 전력 및 탄소 운영을 도출한다. 각 목적함수에
따른 전력 및 탄소 운영에 대한 수치분석은 다음장에 소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