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 (Consulting Part, BRFrame Inc., Republic of Korea.)
  3. (Dept. of Energy Polic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ublic of Korea.)
  4. (Department of Economics, Soongsi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irect LNG Imports, Electricity Markets, System Marginal Price, Machine Learning, PLEXOS Simulation, Statistical Analysis, , KEPCO, Energy Policy

1. 서 론

LNG 직도입은 민간 발전사가 LNG 도매시장을 거치지 않고 해외에서 직접 LNG를 들여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한국가스공사(KOGAS)를 통한 LNG 조달 구조와는 다른 경로로, 민간 발전사가 저렴한 가격에 LNG를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만약 직수입 가격이 KOGAS 평균가격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발전사는 연료비 절감 효과를 누리게 되고 이는 곧 발전단가 하락으로 이어진다. 발전 단가가 낮아질수록 해당 발전기는 급전순위에서 상대적으로 우선권을 확보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가동률이 상승하고 발전기 이용률 측면에서도 경쟁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LNG 직도입은 발전사의 운영 효율성과 시장 내 수익성 제고에 직결되는 중요한 전략적 수단으로 기능한다[1].

본 논문에서는 LNG 직도입이 개별 발전사 차원에서 어떤 재무적·운영상 효과를 주는지를 다루는 대신, 전력시장 전체 운영 실적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머신러닝 기반 예측 모형, PLEXOS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그리고 다양한 통계적 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LNG 직도입을 반영한 시나리오와 반영하지 않은 시나리오를 비교함으로써, 직도입 제도의 존재 여부가 전력시장 가격과 비용 구조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과거 계통한계가격(SMP, System Marginal Price)을 재추정하고, 실제 실적 SMP와 비교한 뒤 오차율을 검토하여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내 LNG 직도입의 현황을 다루었다. 국내 전력시장에서 LNG 발전이 차지하는 설비 비중은 꾸준히 확대되고 있으며, 실제 전력거래량 기준으로도 LNG 발전의 기여도가 점차 상승하는 추세가 확인된다. 이와 더불어 전체 LNG 도입물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특히 민간 발전사들이 직도입을 통해 확보하는 물량의 비중도 해마다 확대되고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LNG 직도입이 SMP 형성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세 가지 방법론을 병행하였다. 첫째,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SMP를 추정하고 LNG 직도입 변수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PLEXOS를 통한 전력시장 시뮬레이션을 통해 LNG 직도입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셋째, 통계적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과거 SMP 추세와 직도입 변수 간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접근을 통해 LNG 직도입이 전력시장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세 가지 방법론의 결과를 종합하여, LNG 직도입이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절감에 기여한 규모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는 전력구입비를 정산조정계수가 적용되는 거래량, 적용되지 않는 거래량, 그리고 신재생에너지 거래량으로 세분화하여 평가하였다. 각 거래량 산정에 있어서 필요한 가정사항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LNG 직도입 효과를 구체적인 비용 절감 규모로 환산하였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전체 연구 결과를 요약·정리하였다. LNG 직도입은 단순히 개별 발전사의 비용 구조를 개선하는 수준을 넘어, 전력시장 가격 결정과 전력구입비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가 과거 실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분석이라는 한계를 갖는 만큼, 향후에는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탄소중립 정책, LNG 국제 가격 변동성 등 미래 전력시장 환경 변화까지 고려하여 LNG 직도입이 장기적으로 어떤 파급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2. LNG 직도입 현황

2023년 기준 국내 LNG 발전설비의 총 용량은 43.2GW로, 전체 발전설비 용량의 약 30%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10년의 16.4GW 대비 약 2.6배 증가한 수치이다. LNG 발전설비 용량이 빠르게 확대된 주요 이유는 LNG 발전이 지닌 신속한 기동 및 정지, 유연한 출력조정과 같은 기술적 특성 덕분이다. 이러한 특성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 수요 변동성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의 유연성 및 안정성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림 1. 국내 전원별 설비용량 추세[2]

Fig. 1. Trends in Domestic Power Generation Capacity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1.png

발전량 측면에서도 LNG 발전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5년 약 58TWh 수준이던 LNG 발전량은 2023년 약 158TWh까지 증가하였으며, 이는 전체 발전량의 약 27%에 해당한다. 이러한 발전량 증가 추세는 LNG 발전이 국내 전력계통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LNG 발전은 신속한 출력 조정 능력이라는 기술적 장점 덕분에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와 전력 수요 변동성 증가로 인한 전력계통의 불확실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전원으로 평가된다.

그림 2. 국내 전원별 전력거래량 추세[3]

Fig. 2. Domestic Power Trading Volume Trends by Power Source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2.png

2.1 직도입 발전사 현황

LNG 직도입 제도는 기존에 한국가스공사가 독점해오던 LNG 수입 및 공급 구조에 민간기업의 참여를 허용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직도입은 자가소비 목적으로만 허용되며, 사용 용도는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제1조의 4에 따라 발전용, 산업용, 열병합용 및 열 전용 설비용으로 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발전용은 전력 생산을 위한 용도이며, 산업용은 제조업 공정에서 원료 또는 연료로 사용되거나 제조 부대시설운영에 필요한 연료를 공급하는 경우를 말한다. 열병합용은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는 용도이며, 열 전용 설비용은 열만을 생산하는 용도로 제한된다. 민간기업이 자가소비용 LNG직수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법적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도시가스사업법 시행규칙」 제2조 제2항에 따라 직수입자는 사업개시 연도의 천연가스 자가소비 계획량 중 30일분에 해당하는 양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시설을 보유해야 하며,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천연가스 수출입업에 대한 인허가를 받아 등록을 완료해야 한다.

2023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에는 총 88기, 1,409만 kl 규모의 LNG 저장탱크가 운영 중이며, 추가로 23기, 536만 kl의 저장탱크가 건설 중이다. 이 중 민간은 11기, 193만 kl 규모의 저장탱크를 운영하고 있어 전체 운영 중 저장탱크 용량의 약 13.7%를 차지하고 있으며, 건설 중인 저장탱크 용량에서는 약 49.6%를 점유하고 있다.

그림 3. LNG직도입 흐름[4]

Fig. 3. Process of Direct LNG Import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3.png

표 1 국내 LNG터미널 현황[5]

Table 1 Current Status of Domestic LNG Terminals

구분

운영 중

건설예정

가스공사

인천

23기(348)

-

평택

23기(336)

-

통영

17기(262)

-

삼척

12기(261)

-

당진

10기(270)

제주

2기(9)

소계

77기(1,216)

10기(270)

민간

보령LT

보령

6기(120)

1기(20)

포스코

광양

5기(73)

3기(60)

한 양

여수

-

4기(80)

KET

울산

-

4기(86)

현대산업

통영

-

1기(20)

-

소계

11기(193)

13기(266)

88기(1,409)

23기(536)

민간 부문의 LNG 저장 인프라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주요 민간 LNG 터미널은 보령 LNG 터미널(6기, 120만 kl)과 광양 LNG 터미널(5기, 73만 kl)이며, 각 터미널은 각각 1기(20만 kl)와 3기(60만 kl)의 추가 저장탱크를 건설하고 있다. 또한, 코리아에너지터미널(울산, 4기 86만 kl), 동북아 LNG 허브터미널(여수, 4기 80만 kl), 통영에코파워 LNG 터미널(통영, 1기 20만 kl) 등의 민간 LNG 터미널도 건설 중이다. 이 같은 민간 설비 확장에 따라 전체 LNG 저장탱크 용량 중 민간 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향후 13.7%에서 23.6%로 확대될 전망이다.

그림 4. 국내 LNG 도입 물량 및 직수입 비중

Fig. 4. Domestic LNG Import Volume and Direct Import Ratio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4.png

최근 18년간 우리나라의 LNG 총 도입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낸다. 연간 LNG 도입량은 2005년 약 22,317천 톤에서 2023년 약 44,117천 톤으로 증가하여, 이 기간 동안 약 9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민간 직수입 LNG 물량은 2005년 329천 톤에서 2023년 7,727천 톤으로 약 23배나 급증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 LNG 도입량에서 직수입 물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6년 4% 수준에서 2024년에는 약 26%까지 확대되었다[6].

이러한 LNG 직수입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앞으로 민간 주도의 LNG 직수입이 국내 천연가스 수급 구조에서 더욱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표 2 국내 연도별 LNG 도입단가[7]

Table 2 Domestic LNG Import Price by Year [단위: $/mmbtu]

 연도

직수입

KOGAS

가중평균

직수입/KOGAS

열량단가 비

2005

3.5

7.5

7.5

47%

2006

3.8

9.3

9.1

41%

2007

4.2

9.7

9.5

43%

2008

4.2

14.3

14

29%

2009

5.5

10.6

10.3

52%

2010

4.3

10.3

10

42%

2011

4.5

12.8

12.5

35%

2012

4.5

15

14.5

30%

2013

5

15.1

14.8

33%

2014

5.5

16.7

16.3

33%

2015

6.3

11.1

10.8

57%

2016

5.1

7.1

7

72%

2017

6.4

8.2

8

78%

2018

8.5

10.4

10.1

82%

2019

7.5

10.1

9.7

74%

2020

5.6

8

7.6

70%

2021

8.5

11.1

10.7

77%

2022

13.8

21.9

20.7

63%

2023

11

16.7

15.7

66%

평균

6

11.9

11.5

50%

그림 5. 연도별 LNG 도입단가

Fig. 5. Trend of LNG Import Price by Year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5.png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의 직수입 LNG 평균 도입단가는 KOGAS 대비 약 5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수입 LNG의 물량과 가격을 고려한 가중평균 방식으로 전체 LNG 도입단가 인하 효과를 추정한 결과, 2020년 약 5.3%, 2021년 3.7%, 2022년 5.8%, 2023년에는 6.4%의 단가 인하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직수입 LNG의 상대적으로 낮은 도입단가뿐만 아니라 각 연도별 직수입 물량 비중이 전체 도입단가 인하율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3. LNG 직도입에 의한 SMP 영향 분석

본 연구에서는 LNG 직도입이 SM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머신러닝 기법, PLEXOS 시뮬레이션, 통계적 분석기법을 병행하여 활용하였다. 각 분석 방법은 고유한 강점과 한계를 지니므로, 분석 목적과 데이터 특성에 따라 이들 기법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머신러닝 기법은 비선형적 관계 파악과 실시간 예측 성능이 우수하며, PLEXOS 시뮬레이션은 에너지 시스템의 최적화와 다양한 시나리오 분석 수행에 유리한 적합한 도구이다. 또한 통계적 분석기법은 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고 효과를 해석하는 데 강점이 있으며, 장기적 추세 분석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보다 정교하고 신뢰성 높은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때, LNG 직도입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LNG 직도입이 포함된 케이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에선 직수입을 통한 LNG 물량엔 직수입 단가를 적용하였고 LNG 직도입이 포함되지 않은 케이스에 대한 시뮬레이션에선 직수입을 통한 LNG 물량에도 KOGAS 단가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3.1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분석의 재추정 기간은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이며, 머신러닝 기법은 비선형 데이터 패턴 분석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학습 및 모델 비교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학습 알고리즘 간 성능 비교를 통해 최적의 모델 조합을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전후로 구분하여 여러 모델을 통해 모델학습을 진행했을 시 분석 결과,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전 기간에는 Extra Trees Regressor, CatBoost Regressor, Gradient Boosting Regressor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이후 기간에는 Bayesian Ridge, Orthogonal Matching Pursuit, AdaBoost Regressor 모델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을 구분하는 이유는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이 도입됨에 따라 전력시장운영의 방식에 변화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한편 하이퍼파라미터 튜닝은 머신러닝 모델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하이퍼파리미터 조합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랜덤서치(Random Search) 방식을 사용하여 최적의 파리미터 조합을 도출하였으며 입력변수로는 각 연료원(원자력, 석탄, 유류, LNG)의 월별 열량단가, 발전량 및 SMP를 활용했다.

그림 6.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분석 순서도

Fig. 6. Analysis Flow Chart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6.png
(1)
$MAPE =\dfrac{100}{N}\times\sum\dfrac{\left | y_{i}-\hat{y_{i}}\right |}{y_{i}}$
(2)
$R MSE =\sqrt{\sum\dfrac{(\hat{y_{i}}-y_{i})^{2}}{N}}$

$N$ : 데이터 개수

$y_{i}$ : 실제값

$\hat{y_{i}}$ : 예측값

2005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월별 SMP를 머신러닝을 통해 재추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우수한 예측 성능이 확인되었다. 예측 오차 분석을 위해 평균제곱근오차(RMSE, Root Mean Squared Error)와 평균절대백분율오차(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이전 기간의 RMSE는 2.6, MAPE는 1.1%였으며, 도입 이후 기간의 RMSE는 5.4, MAPE는 2.7%로 나타나, 두 기간 모두 안정적인 예측 성능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머신러닝 기반의 SMP 재추정 모델이 높은 정밀도와 신뢰성을 갖추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그림 7. 머신러닝 시뮬레이션을 통한 SMP 재추정

Fig. 7. Re-Estimating SMP Through Machine Learning Simulation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7.png

표 3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연간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

Table 3 Results of Analysis of the Yearly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단위: 원/kWh]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2005

61.6

62.4

62.9

-0.5

2006

78.9

80.2

82.2

-2.0

2007

83.5

83.5

84.9

-1.4

2008

122.6

122.3

123.7

-1.5

2009

104.6

105.9

108.4

-2.5

2010

117.5

116.3

117.6

-1.3

2011

126.3

124.6

126.7

-2.2

2012

160.7

159.4

161.6

-2.3

2013

152.1

152.2

153.0

-0.8

2014

142.1

142.2

145.0

-2.8

2015

101.3

102.0

105.4

-3.4

2016

76.7

77.1

78.1

-1.0

2017

81.5

81.4

84.2

-2.8

2018

95.1

94.9

97.1

-2.3

2019

90.5

90.4

94.1

-3.7

2020

68.7

69.4

73.5

-4.0

2021

93.9

93.1

96.6

-3.4

2022

196.8

197.7

204.4

-6.7

2023

166.4

165.6

172.9

-7.3

평균

111.6

111.6

114.3

-2.7

표 4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2023년)

Table 4 Results of Analysis of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2023) [단위: 원/kWh]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1월

240.8

249.0

259.3

-10.3

2월

253.6

252.5

262.8

-10.3

3월

215.9

214.1

223.3

-9.3

4월

164.9

157.6

164.8

-7.3

5월

143.6

148.0

154.7

-6.7

6월

147.1

144.5

151.0

-6.4

7월

153.5

147.2

153.3

-6.1

8월

147.2

140.0

146.1

-6.1

9월

141.2

136.2

142.2

-6.1

10월

137.0

137.8

144.2

-6.4

11월

120.8

124.8

130.8

-5.9

12월

131.1

136.1

142.3

-6.2

평균

166.4

165.6

172.9

-7.3

3.2 PLEXOS

PLEXOS는 호주, 북미, 유럽 등 주요국에서 널리 활용되는 상용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발전기 특성의 현실적 모델링이 가능하며, 다양한 제약조건 구현을 통해 정확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합에너지 계획(Integrated Energy Planning) 모듈을 통해 발전기 기동·정지 계획과 경제급전 최적화 분석이 가능하다[8].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가진 PLEXOS를 활용하여 LNG 직수입이 국내 전력시장 SMP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월별 SMP를 재추정하고, LNG 직도입 여부에 따른 SMP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표 5 PLEXOS 시뮬레이션을 위한 입력 파라미터

Table 5 Input Parameters for PLEXOS Simulation

분석기간

2023년 1월 ~ 12월

모델

PLEXOS 활용 국내 전력계통 모사

권역 구분

수도권/비수도권

계통제약

수도권 비수도권 연계용량

육지-제주 HVDC 연계용량

수도권 전력수요 비중

약 35%

적용 전력수요

하루전 발전계획용 예측 수요

연료비

EPSIS 월별 열량단가 준용

표 6 PLEXOS 시뮬레이션을 통한 LNG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2023년)

Table 6 Results of Analysis on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PLEXOS (2023)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1월

240.8

241.0

256.0

-15.0

2월

253.6

253.0

268.0

-15.0

3월

215.9

215.0

228.0

-13.0

4월

164.9

166.0

176.0

-10.0

5월

143.6

146.0

155.0

-9.0

6월

147.1

149.0

158.0

-9.0

7월

153.5

151.0

161.0

-10.0

8월

147.2

144.0

153.0

-9.0

9월

141.2

140.0

149.0

-9.0

10월

137.0

138.0

146.0

-8.0

11월

120.8

123.0

131.0

-8.0

12월

131.1

132.0

138.0

-6.0

평균

166.4

166.5

176.6

-10.1

그림 8. PLEXOS 시뮬레이션 결과(2023년)

Fig. 8. PLEXOS Simulation Result(2023)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fig8.png

2023년 1월부터 12월까지 월별 SMP를 PLEXOS 시뮬레이터로 재추정한 결과, 예측 오차는 MAPE 2.0%, RMSE 3.2로 나타나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이에 따라 LNG 직수입이 없는 가상 시나리오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두 시나리오 간의 SMP 비교 결과는 표 6에 정리하였다.

3.3 통계모델

통계적 분석을 위해 다중선형회귀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기간을 기본 시장 모형(2005년 1월 ~ 2022년 8월)과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 모형(2022년 9월 ~ 2023년 12월)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변수로는 원별(LNG, 유류, 원자력, 석탄) 열량단가[EPSIS]와 발전량[한전통계월보]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적용한 다중선형회귀모형은 수식 (3)과 같다.

(3)
\begin{align*}SMP_{k,\: t}=\beta_{0}+\beta_{1}\bullet\ln G열량단가_{k,\: t}\\+\beta_{2}\bullet 유류열량단가_{k,\: t}\\+\beta_{3}\bullet 석탄열량단가_{k,\: t}\\+\beta_{5}\bullet 원자력열량단가_{k,\: t}\\+\beta_{6}\bullet\ln G발전량_{k,\: t}\\+\beta_{7}\bullet 유류발전량_{k,\: t}\\+\beta_{8}\bullet 석탄발전량_{k,\: t}\\+\beta_{10}\bullet 원자력발전량_{k,\: t}+\epsilon_{k,\: t}\end{align*}

$k$: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첨자

$t$: 년월을 나타내는 첨자

($k=1$: 2005년 1월 ~ 2022년 8월,

$k=2$: 2022년 9월 ~ 2023년 2월)

다중선형회귀모형을 통해 SMP를 가장 잘 설명하는 최적의 변수 조합을 탐색하였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수정결정계수(Adjusted R-squared)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직수입 가격과 물량을 포함한 입력변수 조합 중 수정결정계수가 최대가 되는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이전 기간의 수정결정계수는 0.9720, RMSE는 5.706원, MAPE는 4.15%로 나타났으며,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이후 기간에는 수정결정 계수가 0.9873, RMSE는 6.027원, MAPE는 2.46%로 나타났다. 두 모형 모두 LNG 열량단가와 LNG 발전량이 공통적인 유의변수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전·후 기간에 대한 모형의 적합성과 일반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도입 이전 모형의 설명력과 예측 성능을 개선하였다.

표 7 통계적 기법을 통한 직도입 영향 분석 순서도

Table 7 Algorithm of Analysis of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Statistical Method

완전모형

(Full Model)

예측인자 전체를 이용한 SMP 추정식 산출

• 4개 주요 원별 열량단가 및 원별 발전량에 대한 SMP 추정식

• 연간, 월간 효과를 추가 반영한 SMP 추정식

• 다항인자: 시간의 멱승<$t ^{2} ,`t ^{3}$>, 석탄 열량단가2, 유류 발전량2

※ SMP와 연관성이 높은 다항인자들을 선정

수정결정계수

최대화

과거 기간의 적합도가 높은 예측인자 전체를 이용한 SMP 추정식 산출

• 결정계수 : 예측인자가 많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좋은 값을 나타냄

• 수정결정계수 : 자료수와 예측인자의 개수를 고려하여 결정계수를 수정

※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이 존재하는 경우 수정결정계수가 적절

단계적 변수

선택법

기간이 짧은 “실계통하루전시장 적용 이후“에 대해 LNG 열량단가와 발전량에 의존

Mixture Model의 전체적인 오차(2개 구간의 오차를 종합적으로 고려)를 최소화하도록 함

• 유의미한 예측인자와의 관계식을 도출해야 함

• 고려 가능한 전체 예측인자들을 대상으로 단계적 변수선택법을 통해 최종 추정식을 결정

※ 수정결정계수 최대화

예측인자의 많은 조합이 도출될 수 있음(통계적 유의성이 낮은 인자도 포함될 수 있음)

표 8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전 유의인자

Table 8 Important Features Based on the Day-Ahead Market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Power System

Variable

Number

Vars In

Model

R-Squared

F Value

Pr > F

LNG 열량단가

1

0.9031

1958.04

<.0001

2

0.9269

68.06

<.0001

LNG 발전량

3

0.9478

83.26

<.0001

유류 열량단가

4

0.9619

76.71

<.0001

석탄 발전량

5

0.9676

36.34

<.0001

6

0.969

9.22

0.0027

석탄 열량단가

7

0.9704

9.24

0.0027

원자력 열량단가

8

0.9716

8.66

0.0036

유류 발전량

9

0.9726

7.37

0.0072

원자력 발전량

10

0.9733

5.33

0.022

표 9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 후 유의 인자

Table 9 Important Features Based on the Day-Ahead Marke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wer System

Number

Vars In

Model

R-Squared

F Value

Pr > F

1

0.9772

601.27

<.0001

3

0.9898

6.22

0.0283

2

0.9845

6.14

0.0278

표 10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 이전, 이후에서의 모델 평가

Table 10 Model 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ay-Ahead Market Based on the Power System

실계통기반 하루전시장 적용

적용 이전

(2005 ~ ‘22. 8)

적용 이후

(‘22. 9 ~ ‘23. 12)

DF

211

15

F Value

732.53

388.81

Pr > F

<.0001

<.0001

Root MSE

5.70592

6.02668

Coeff Variation

5.38667

3.22314

Adjusted R-squared

0.972

0.9873

• DF : 모형의 자유도 (N-변수개수-1)

• F Value : 분산분석의 F 통계량

• Pr > F : 유의확률 (0.0001 보다 작으므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

• Root MSE : 모형의 표준오차 (RMSE; Root Mean Square Error)

• Coeff. Variarion : 모형의 변동계수 (=100 * RMSE/ SMP 평균) <5% 내외로 모형의 신뢰성이 높음>

• Adjusted R-squared : 수정결정계수 <97% 이상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높음>

<적용이전 : 2005~2022.08>

(4)
\begin{align*}SMP_{k,\: t}= 4.9603 + 0.0017\bullet\ln G열량단가_{k,\: t}\\+0.0003\bullet 유류열량단가_{k,\: t}\\+0.0007\bullet 석탄열량단가_{k,\: t}\\-0.0075\bullet 원자력열량단가_{k,\: t}\\+0.0029\bullet\ln G발전량_{k,\: t}\\+0.0011\bullet 유류발전량_{k,\: t}\\-0.0011\bullet 석탄발전량_{k,\: t}\\-0.0008\bullet 원자력발전량_{k,\: t}\\+0.0000\bullet t^{3}\\+0\bullet 석탄열량단가^{2}\end{align*}

<적용이후: 2022.09 ~ 2023.12>

(5)
\begin{align*}SMP_{k,\: t}= 126.2457 + 0.0014\bullet\ln G열량단가_{k,\: t}\\+0\bullet 유류열량단가_{k,\: t}\\+0\bullet 석탄열량단가_{k,\: t}\\+0\bullet 원자력열량단가_{k,\: t}\\+0.0040\bullet\ln G발전량_{k,\: t}\\+0\bullet 유류발전량_{k,\: t}\\+0\bullet 석탄발전량_{k,\: t}\\+0\bullet 원자력발전량_{k,\: t}\\+0.0053\bullet t^{3}\\+0\bullet 석탄열량단가^{2}\end{align*}

표 11 통계적 기법을 통한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2021년)

Table 11 Results of Analysis of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Statistical Method(2021) [단위: 원/kWh]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1월

70.7

73.0

75.7

-2.7

2월

75.4

73.3

76.1

-2.9

3월

84.2

86.4

89.5

-3.1

4월

76.3

76.3

79.2

-2.9

5월

79.1

74.8

77.8

-3.0

6월

83.1

80.2

83.4

-3.2

7월

87.5

84.2

87.5

-3.3

8월

94.1

87.5

91.2

-3.6

9월

98.8

96.2

100.1

-3.9

10월

107.8

102.5

106.6

-4.1

11월

127.1

126.9

132.0

-5.1

12월

142.8

134.7

140.1

-5.5

평균

93.9

91.3

94.9

-3.6

표 12 통계적 기법을 통한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2022년)

Table 12 Results of Analysis of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Statistical Method(2022) [단위: 원/kWh]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1월

154.4

148.4

156.7

-8.3

2월

197.3

198.0

208.7

-10.7

3월

192.8

190.6

200.3

-9.7

4월

202.1

194.7

205.2

-10.6

5월

140.3

142.0

149.7

-7.7

6월

129.7

140.6

148.0

-7.4

7월

151.9

153.6

161.8

-8.2

8월

197.7

198.0

209.2

-11.2

9월

233.4

233.1

244.2

-11.0

10월

251.6

245.9

257.7

-11.8

11월

242.2

251.4

263.3

-12.0

12월

267.6

263.1

274.9

-11.8

평균

196.8

196.6

206.6

-10.0

표 13 통계적 기법을 통한 직도입 영향 분석 결과(2023년)

Table 13 Results of Analysis of the Impact of Direct LNG Import Using Statistical Method(2023) [단위: 원/kWh]

표기

②-③

항목

실적SMP

추정SMP

추정SMP

SMP영향

케이스

실적

직수입 有

직수입 無

1월

240.8

249.6

262.5

-12.9

2월

253.6

246.9

260.2

-13.3

3월

215.9

214.6

225.8

-11.3

4월

164.9

165.0

173.9

-8.9

5월

143.6

151.4

159.5

-8.2

6월

147.1

145.7

153.6

-7.9

7월

153.5

151.1

159.0

-7.9

8월

147.2

145.0

152.4

-7.4

9월

141.2

134.7

142.1

-7.4

10월

137.0

132.9

140.8

-7.8

11월

120.8

125.4

132.6

-7.2

12월

131.1

135.9

143.5

-7.6

평균

166.4

166.5

175.5

-9.0

4. 한국전력 전력구입비 감소효과 분석

본 장에서는 3장에서 머신러닝 기법과 PLEXOS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한 SMP 변화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감소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은 머신러닝 기법의 경우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이며, PLEXOS 시뮬레이션의 경우 2023년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4.1 분석 방안

본 논문에서는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감소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전력이 구매한 전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① 정산조정계수 적용 전력거래량 : 원자력 및 석탄 발전과 같이 정산조정계수를 적용받는 전력거래량으로, 한전자회사 발전량을 기준으로 산정하였다.

② 정산조정계수 미적용 전력거래랑 : LNG, 유류 발전 등과 같이 SMP와 발전량을 곱한 금액으로 정산받는 전력거래량이다.

③ 신재생 전력거래량 : 사전계약 가격으로 정산받는 신재생 발전량으로, 현물시장에 참여하는 신재생 발전량은 본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3)
$-\Delta\cos t_{purchase}=\Delta SMP\times[P_{all}-P_{2}-P_{3}]$

$\Delta\cos t_{purchase}$ : 전력구입비 감소량

$\Delta SMP$ : SMP 감소량

$P_{all}$ : 전체 발전량

$P_{2}$ : 한전 자회사 발전량

$P_{3}$ : 신재생 전력거래량

4.2 분석 결과

먼저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의 SMP 영향과 그로 인한 전력구입비 변화는 표 14와 같다.

표 14 머신러닝 기법을 통한 연간 전력구입비 변화 추정

Table 14 Estimating Changes in Yearly Electricity Purchase Cost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구분

SMP영향

한전자회사

발전비중

전력구입비

변화

Year

원/kWh

%

억 원

2005

-0.5

99%

-3

2006

-2.0

98%

-62

2007

-1.4

97%

-85

2008

-1.5

96%

-161

2009

-2.5

96%

-276

2010

-1.3

95%

-181

2011

-2.2

92%

-532

2012

-2.3

91%

-683

2013

-0.8

89%

-298

2014

-2.8

86%

-1,468

2015

-3.4

83%

-2,278

2016

-1.0

82%

-722

2017

-2.8

78%

-2,549

2018

-2.3

74%

-2,576

2019

-3.7

73%

-4,413

2020

-4.0

73%

-4,712

2021

-3.4

71%

-4,441

2022

-6.7

70%

-9,003

2023

-7.3

68%

-10,198

평균

-2.7

85%

-2,350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의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결과, LNG 직수입은 분석 기간 동안 평균 2.7원/kWh의 SMP 인하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LNG 직수입 물량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SMP 인하 효과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이러한 SMP 하락은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절감으로 이어져, 2021년에는 4,441억 원, 2022년에는 9,003억 원, 2023년에는 10,198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표 15 PLEXOS 시뮬레이션을 통한 전력구입비 변화 추정(2023년)

Table 15 Estimation of Electricity Purchase Cost Changes Through PLEXOS Simulation (2023)

구분

직수입발전기 영향

[원/kWh]

한전 전력구매량

[TWh]

한전자회사

발전비중

[%]

23년 연간

-10.1

544

68%

구분

신재생 전력거래량

[TWh]

한국전력 전력구입비

[억 원]

23년 연간

34

-14,179

한편, PLEXOS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2023년 전력시장 분석 결과, LNG 직수입으로 인한 SMP 인하 효과는 약 10원/kWh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절감효과는 약 14,179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표 16 통계적 기법을 통한 전력구입비 변화 추정(2021년)

Table 16 Estimation of Electricity Purchase Cost Changes Through Statistical Simulation (2021)

구분

직수입발전기 영향

[원/kWh]

한전 전력구매량

[TWh]

한전자회사

발전비중

[%]

21년 연간

-3.6

536

71%

구분

신재생 전력거래량

[TWh]

한국전력 전력구입비

[억 원]

21년 연간

26

-4,653

표 17 통계적 기법을 통한 전력구입비 변화 추정(2022년)

Table 17 Estimation of Electricity Purchase Cost Changes Through Statistical Method (2022)

구분

직수입발전기 영향

[원/kWh]

한전 전력구매량

[TWh]

한전자회사

발전비중

[%]

22년 연간

-10.0

551

70%

구분

신재생 전력거래량

[TWh]

한국전력 전력구입비

[억 원]

22년 연간

31

-13,410

표 18 통계적 기법을 통한 전력구입비 변화 추정(2023년)

Table 18 Estimation of Electricity Purchase Cost Changes Through Statistical Method (2023)

구분

직수입발전기 영향

[원/kWh]

한전 전력구매량

[TWh]

한전자회사

발전비중

[%]

23년 연간

-9.0

544

68%

구분

신재생 전력거래량

[TWh]

한국전력 전력구입비

[억 원]

23년 연간

34

-12,601

통계적 분석기법을 이용한 2021년, 2022년, 2023년의 전력시장 시뮬레이션 결과, LNG 직수입으로 인한 SMP 인하 효과는 각각 약 3.6원/kWh, 10원/kWh, 9원/kWh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른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절감효과는 2021년 4,653억 원, 2022년 13,410억 원, 2023년 12,601억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본 연구는 LNG 직도입 물량의 연도별 증가가 국내 전력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머신러닝 기반의 예측모형, PLEXOS 시뮬레이터, 통계적 분석기법 등 세 가지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먼저 머신러닝 기법에서는 Pycaret을 이용하여 최적의 예측모델을 선정하였으며, 2005년부터 2023년까지의 월별 SMP를 재추정하여 LNG 직도입에 따른 SMP 인하 효과 및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 절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PLEXOS 시뮬레이션은 2023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LNG 직도입에 따른 SMP 및 전력구입비 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기법의 경우, 다중선형회귀모형과 유의변수 선정을 통해 SMP 및 전력구입비 변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2023년 기준 분석 결과를 비교하면, 머신러닝 기법은 LNG 직도입으로 SMP가 평균 7.3원/kWh 하락하여 한국전력의 전력구입비가 10,198억 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LEXOS 시뮬레이션 결과는 SMP가 10.1원/kWh 하락하고 전력구입비는 14,179억 원이 감소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MP가 9원/kWh 하락하고 전력구입비가 12,601억 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 세 가지 방법론의 결과는 서로 유사하며, LNG 직도입이 SMP와 전력구입비를 낮춰 전력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뒷받침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과거 실적 기반 분석을 넘어, 미래의 전력시장 변화 시나리오와 LNG 직도입 물량 변화 시나리오를 결합하여 LNG 직도입이 전력시장에 미칠 잠재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계획이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5년도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RS-2025-02422969)

본 연구는 민간LNG산업협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과제입니다.

References

1 
Private LNG Industry Association, “Introduction to the Direct LNG Import System,” 2025.URL
2 
EPSIS, “Power Generation Capacity,” 2025.URL
3 
EPSIS, “Power Trading Volume,” 2025.URL
4 
Private LNG Industry Association, “Process of Direct LNG Import,” 2025.URL
5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The 15th Long-term Natural Gas Supply and Demand Plan(2023~2036),” 2023.URL
6 
Private LNG Industry Association, “Status of LNG Direct Importers and Direct Import Statistics in 2024,” 2025.URL
7 
Private LNG Industry Association, “Domestic LNG Import Price by Year,” 2025.URL
8 
Energy Exemplar, “Plantform(PLEXOS),” 2025.URL

저자소개

김태현(Tai Hyun Kim)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1.png

He receive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in 2023,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심상우(Sangwoo Shim)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2.png

He received B.S. degree and M.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nkuk University in 2022 and 2023, respectively,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박종배(Jong-Bae Park)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3.png

He received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87, 1989, and 1998, respectively. Currently, he is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at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이성희(Sung-Hee Lee)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4.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conomics from Mokwon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92, the M.S. degree in statistics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in 1994, and the Ph.D. degree in environmental and mathematical science from Okayama University, Okayama, Japan, in 1999. He is currently a Managing Director of BRFrame Inc.

정연제(Yeonjei Jung)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5.png

He received his Ph.D. in Economics from Michigan State University in 2014. Currently he is an assistant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Energy Polic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is research focuses on topics in microeconomics, energy economics and energy policy.

조성봉(Sung Bong Cho)
../../Resources/kiee/KIEE.2025.74.11.1791/au6.png

Sung Bong Cho is a visiting professor of the Graduate School at Soongsil University. He serves currently as the President of the Society for Electricity Industry Studies. He earned a Ph.D. in Economics from The Ohio State University in 1991. He was with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during 1994-2001 and Kore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during 2001-2011. Between 2012 and 2024, he was a faculty member in the Department of Economics. Among his research interests are Energy Economics, Industrial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Econ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