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훈
(Sang-Hun Lee)
1iD
김경호
(Kyung-Ho Kim)
†iD
-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Acceleration Plethysmogram, Wavelet Packet Transform, Time‑GAN, GAN, VAE, Data Augmentation, 1D‑CNN, LSTM, LightGBM
1. 서 론
모바일의 발전은 헬스케어의 디지털화를 가속하며, 웨어러블은 개인 건강 모니터링과 조기 진단의 핵심 수단으로 자리매김한다[1]. Apple의 헬스(Health)/헬스키트(Health Kit) 플랫폼과 Google의 구글 핏(Google Fit)은 앱, 디바이스, 병원 간
데이터 연동 환경을 구축해 임상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광용적맥파(PPG, Photoplethysmography),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등 다양한 센서로 생체
신호를 수집한다. 이 중 PPG 센서는 비침습, 저전력의 이점으로 널리 활용되지만, Motion Artifact에 민감해 쉽게 왜곡된다[2-4]. 선행 연구[5]는 가속도 맥파(APG, Acceleration Plethysmogram)로 동잡음을 완화하고, 오토인코더 기반 복원 기법을 적용했으나, APG는
개인, 상황별 변동성이 크고, 대규모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실제 웨어러블 환경에 반영하기 위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증강과
품질 검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증강 모델을 사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APG 특성에 최적화된 증강,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세 가지 생성
모델을 활용하되, 생리학적 타당성을 위해 웨이블릿 패킷 변환(WPT, Wavelet Packet Transform) 기반 다중 품질 지표(LF Ratio,
HF Diff, Phase Shift)를 증강 과정에 적용하였다. 이 지표는 단순 유사도 계산을 넘어, 심혈관계 파형의 주파수, 위상 일관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새로운 검증 수단으로 기능한다. 제안된 지표 체계는 기존의 통계적 평가 방법과 비교하여, APG 데이터의 위상 보존성 및 고주파 왜곡 민감도를
정밀하게 반영함을 입증하였다. 최종적으로, 네 가지 학습 세트를 구성하여 분류 모델에서 Accuracy, F1-score, ROC-AUC와 같은 성능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기법은 데이터 희소성과 Motion Artifact 문제를 완화하면서, 다양한 분류 모델에서 유의미한 성능 향상을
달성하였다. 이를 통해 웨어러블 환경에서 발생하는 동잡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완화하고, 신뢰도를 갖춰 헬스케어 응용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2. 데이터 증강 알고리즘
2.1 System Configuration
그림 1은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다. PPG 신호는 Analog 증폭, 필터 회로(OP-Amp, LPF/HPF)를 거쳐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전달된 후, Digital Filter를 거친다. PPG는 2차 미분을 통해 APG로 변환되며, 동일 조건에서 Noisy APG도 비교용으로
저장한다. 수집된 APG는 패딩 및 정규화를 거친 뒤,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WPT 기반 품질 지표를 기준으로 적용한다. 다중 지표 검증을 통과한
APG만을 대상으로 TimeGAN, GAN, VAE를 이용해 증강하였다. 단순 모델 적용에 그치지 않고, 생성 데이터 역시 동일한 지표로 검증하여
위상 및 주파수 일관성을 보존하는 APG 특화 데이터 증강 기법을 구현하였다. 이후 Real Only/Real+TImeGAN/Real+GAN/Real+VAE
네 가지 학습 세트를 구성하고, 1D-CNN, LSTM, LightGBM 분류 모델 학습 후 Accuracy, F1-Score, ROC-AUC를 통해
증강 전후의 성능을 비교함과 동시에, 지표의 타당성을 정량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림 1. 시스템 구성도
Fig. 1. System Configuration
2.2 APG 데이터 추출 및 처리
2.2.1 Analog Circuit
본 연구는 성인 남녀 10명으로 휴식-동작 두 세션으로 수행하였다. 각 세션은 3분 동안 기록되며, 동작 구간은 걷기, 팔 휘젓기로 잡음을 유발한다[6]. PPG의 주파수는 0~10Hz 사이에, APG는 0~14Hz에 집중되기 때문에[7], OP-Amp를 통한 증폭 회로 및 LPF 회로를 설계하여 신호를 추출한다.
2.2.2 Signal Processing
Sampling Frequency(fs)를 100Hz로 설정해 획득한 PPG 신호는 12-bit ADC를 거쳐 MCU로 전송된다. 본 연구는 STM32
Nucleo-F411 MCU를 사용하였는데, MCU에서는 5-Samples 이동 평균 필터로 신호를 Smoothing 한 뒤 2-Stage IIR
Band Pass Filter(0.5Hz High Pass, 14Hz Low Pass)를 적용한다[8]. 두 biquad를 직렬 연결했기 때문에 주요 신호의 주파수 성분만 통과시키고, DC 드리프트 및 고주파 노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2차 IIR
필터의 차분 방정식은 식 (1)과 같으며, x[n], y[n]은 각 입력, 출력이고, $a_{i}$ 및 $b_{i}$는 필터 계수이다.
필터링된 PPG는 UART로 Python 환경에 전송되며, 식 (2)의 2차 미분 방정식을 통해 APG로 변환된다. 여기서 f(i)는 시점 i에서의 PPG 값이고, $\triangle x$는 샘플링 간격을 의미한다.
시점 I의 앞뒤 값으로 맥파의 곡률 변화를 구하고, 혈관의 수축 및 이완에 따른 맥파의 가속도 성분(APG)을 계산한다.
2.3 Time Series Data Augmentation Algorithm
2.3.1 Acceleration Plethysmogram
APG는 맥파의 가속도 정보를 포함하여 심혈관계의 미세한 혈류 변화를 정량적으로 반영한다. 특히 APG는 그림 2와 같이 a~f에 해당하는 6개의 특징점이 분포하는 특성을 가져 좌심실 수축, 대동맥 탄성 등 생리학적 정보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은
심혈관 상태 분석뿐만 아니라, 각 주기를 분할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 매우 유리하다[9].
그림 2. APG 신호의 특징점 (a ~ f)
Fig. 2. Features of APG signal (a ~ f)
a 점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혈액이 분출될 때 발생하는 주맥파로, 가장 큰 양의 진폭을 가진다. b 점은 a 점 직후 나타나는 첫 번째 음의 Peak로
PPG의 R-Peak와 거의 동시에 발생해 기준점으로 활용하기에 안정적이다. 이어지는 c, d, e, f 점은 대동맥 탄성 및 말초 저항으로 발생하는
반사 및 재반사파로, 심장 이완기에 해당하는 진폭 변동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3은 PPG와 APG의 특징점 관계이다. Python의 find peaks 함수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R-Peak 탐색 후, 해당 시점과 가장 근접한
APG의 음의 Peak인 b 점으로 주기를 정의한다.
그림 3. PPG 신호와 APG 신호의 관계
Fig. 3. Relationship between PPG and APG signals
그림 4는 정지한 상태에서 추출한 Clean APG이다. 주기는 평균 0.68~0.74s에 분포하였으며, 한 주기의 데이터 개수는 평균 70개로 계산되었다.
이는 성인의 일반적인 심장박동의 주기(0.6~1s)에 부합한다[10]. 하지만 심박 가변성으로 인한 길이 차이를 제거하기 위해, 모든 주기를 100Hz 기준 70 Sample(약 0.7s)로 패딩한다. 이처럼 b점을
기준으로 절단하면 모든 시퀀스가 동일한 생리적 위상(좌심실 수축 시작점)에서 출발하므로, WPT 분석 및 생성 신경망 모델, 분류 모델과 같이 고정
차원 입력을 요구하는 알고리즘에 적합하며, 정량 평가 시 통계적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림 4. b 점부터 시작하여 추출한 한 주기 APG 신호
Fig. 4. One cycle APG signal extracted from point b
동일한 조건에서 센서를 부착하고 걷기, 팔 휘젓기를 통해 Noisy 신호를 추가로 기록한다. 모든 주기를 패딩한 뒤,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전체 데이터를
[-1, 1] 범위로 min-max 정규화하였다. 이로써, 모델 학습 및 평가에 사용될 Clean, Noisy 학습 세트를 확보하였다. 그림 5는 동잡음이 섞인 Noisy APG이다.
그림 5. 동잡음이 섞인 Noisy 데이터
Fig. 5. Noisy data with Motion Noise
2.3.2 Data-Augmentation
Clean APG 데이터 부족 해결을 위해, 수집된 Clean 데이터를 5-Fold Stratified Cross-Validation 체계(Train
70%, Validation 15%, Hold Out 15%)로 분할하였다. 이는 개인별 변동성을 반영해, 피험자의 분포를 고려한 학습 구조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생성 모델로는 Time-GAN, GAN, VAE를 사용하되, APG 특성 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을 적용하였다. TimeGAN에는 WPT 기반
loss 항을 추가하여 저주파, 고주파 성분의 비율이 실제 APG와 일치하도록 유도하였고, GAN은 Conv1D 기반 구조에 Spectral 정규화
외에도 phase-consistency regularizer로 위상 왜곡을 최소화하였다. VAE는 LSTM 인코더/디코더를 기반으로 하되, wavelet-domain
latent representation을 도입하여 APG의 a-f 특징점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세 모델 모두 시퀀스 길이 70, latent
dimension 24의 동일 입력을 사용하여 Clean APG 데이터 10,000 cycle 씩 생성하였다[11]. 이후 원본과 동일하게 패딩 및 [-1, 1] 정규화를 수행하였으며, Baseline Drift(평균 편차 ≤ 0.05), Amplitude Consistency(표준편차
0.8~1.2), Gradient Vanishing 방지(flat segment ≤ 10 sample)와 같은 APG 특화 기준을 적용하여 비정상적인
시퀀스를 제거하였다. 이는 단순 품질 검사를 넘어, APG 데이터의 생리학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절차이다.
선별된 시퀀스는 WPT 기반 품질 지표(LF Ratio ≥0.6, HF Diff ≤0.05, Phase Shift ≤10°)로 재검증되어, 주파수
및 위상 일관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데이터만 학습 세트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다중 단계 필터링으로, 증강 데이터가 실제 APG와 구별 불가능한 수준의
생리학적 일관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2.3.3 Wavelet Packet Transform (WPT)
실측한 Clean APG와 증강 모델로 생성한 시퀀스가 주파수 성분과 위상 구조를 보존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WPT를 적용하였다. 기존의 DTW(Dynamic
Time Warping)나 Fréchet Distance 기반 평가는 파형 형태 또는 진폭 유사성에 국한된 반면, WPT는 모든 분해 레벨에서 저주파,
고주파 노드를 동시에 산출해, 심박이 포함된 1Hz 근처부터 동잡음이 집중되는 20Hz까지 주파수 대역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2]. 또한 db4 웨이블릿은 APG 파형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에너지 분산이 적고, 특징점들의 위상, 진폭 구조를 안정적으로 반영하여 모웨이블릿으로
채택하였다[13]. 그림 6과 같이 db4 웨이블릿으로 신호를 4-level 전 대역 분해하였고 총 $2^{4}$ = 16개(aaaa~dddd)에 이르는 노드를 얻었다. 각
노드의 대역폭은 표 1과 같다.
그림 6. 4단계 WPT 분해 과정
Fig. 6. 4 Step WPT Decomposition Process
표 1 각 노드의 대역폭
Table 1 Bandwidth of each node
|
Node
|
Frequency Range (Hz)
|
|
aaaa
|
0 ~ 6.25
|
|
aaad
|
6.25 ~ 12.5
|
|
aada
|
12.5 ~ 18.75
|
|
aadd
|
18.75 ~ 25
|
|
.
.
|
.
.
|
웨이블릿 계수 $c_{i}(n)$로부터 에너지를 식 (3)으로 계산하였다.
이 에너지 분포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기존 시계열 품질 평가와 차별화된 세 가지 지표를 정의하였다. 식 (4)는 저주파 에너지비(LF Ratio)로 심박 주파수(약 1Hz)와 직접적으로 대응되는 aaaa 노드의 에너지 집중도를 전체 에너지 대비 비율로 정의하였다.
정상적인 APG는 심박 주기에 해당하는 저주파 대역에 에너지가 주로 분포하므로, 실측 데이터 평균(0.68~0.74)에 근거하여 0.60 이상을 합격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식 (5)는 고주파 왜곡 지수(HF Diff)로 6.25Hz 이상 대역(aaad, aada, aadd 등)의 에너지 분포를 기반으로 정의하였다. 고주파 에너지가
실측 대비 5% 이상 초과하면 동잡음, Clip Artifact가 과도하다고 판단하여, 0.05 미만을 기준으로 제한하였다.
식 (6)은 위상 스펙트럼 차이(Phase Shift)로 각 노드의 복소 계수 위상 차이를 평균 오차로 계산하여, 맥파 주기의 위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위상
보존성이 확보된 경우, 평균 편차가 10° 이하로 수렴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생성 시퀀스의 평균값(0.05 이하), 표준편차(0.8~1.2), flat-segment 길이(10 sample 이하) 조건을 추가 적용하여
생리학적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최종 학습 세트에는 APG 통계 기준 + WPT 기반 LF/HF/Phase 지표를 모두 충족하는 시퀀스만 포함시켰다.
그 결과, 다중 기준을 만족한 비율은 Time-GAN 97.4%, GAN 88.7%, VAE 95.2%로 나타났다. 이는 Time-GAN과 VAE가
위상, 주파수 보존성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임을 보여주며, 반면 GAN은 모두 붕괴와 고주파 노이즈로 인해 탈락률이 높았다.
2.3.4 Classification Model Learning
선별된 데이터는 실측 데이터 단독 학습과 데이터를 병합한 학습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Real Only, Real+Time-GAN, Real+GAN,
Real+VAE 네 가지 학습 세트로 구축하였다. Real Only는 Clean+Noisy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baseline 성능을 정의하였으며,
세 가지 증강 세트는 WPT 기반 품질 지표 검증을 통과한 증강 데이터만 추가하여 데이터 다양성과 위상 보존성이 분류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군이다. 이러한 설계는 단순한 성능 비교를 넘어, 증강 데이터가 실제 웨어러블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및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평가한다.
모든 학습 세트는 동일한 파이프라인으로 처리되었으며, 5-Fold Stratified Cross-Validation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류 모델은
1D-CNN(파형 기반), LSTM(시계열 기반), LightGBM(트리 기반)을 병렬로 비교하여, 증강 데이터와 모델 구조 간의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모든 학습 세트는 시퀀스 길이 70, 정규화 범위 [-1, 1]로 통일하였다. 1D-CNN은 32, 64 필터를 이용한 이중 Conv Block과
32 Max-Polling, Sigmoid 출력층으로 설계하였으며, LSTM은 64 unit 단층 구조와 fully-connected 헤더를 사용하였다.
LightGBM은 70차원 벡터 입력을 기반으로 num_leaves=31, n estimators=500 등 하이퍼파라미터를 설정하였다.
평가지표는 Accuracy, F1-Score, ROC-AUC로 설정하였다. F1-Score는 불균형 데이터 상황에서의 분류기 성능을 반영하며, ROC-AUC는
민감도와 특이도 균형을 수치화할 수 있다. 동일 파이프라인을 네 가지 학습 세트에 적용하여, 증강 데이터가 데이터 부족,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완화하는지,
딥러닝 기반(CNN, LSTM)과 트리 기반(LightGBM) 분류기의 반응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3. 실험 결과
그림 7은 실측 APG(빨간색)와 합성 모델로 생성한 데이터(파란색)를 70차원에서 2차원으로 투영한 PCA 결과이다. 좌측부터 Time-GAN, GAN,
VAE 순서이다. PCA의 두 축은 분산을 가장 잘 설명하는 1, 2번째 주성분이므로 절대적인 물리 단위보다는 상대적 위치를 해석해야 한다. 분석
결과, Time-GAN은 거의 모든 클러스터에서 실측 데이터와 증강 데이터 분포가 중첩되어 심박 주기, 위상, 진폭 변동까지 고르게 학습되었음을 확인하였다.
VAE는 전역적으로 유사성을 보였지만 고주파 영역에서 일부 산란이 발생하였다. 반면, GAN은 Mode-collapse 현상으로 특정 영역에서 데이터
분포가 겹치지 않고 빈 공간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앞서 제안된 WPT 기반 정량 지표와 일관되며, Time-GAN>VAE>GAN 순으로 주파수,
위상 보존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그림 7. 실측 APG와 증강 APG의 2차원 PCA 분포 비교
Fig. 7. Comparison of the 2 dimensional PCA distribution of real-world APG and augmented
APG
표 2는 네 가지 학습 세트에 대해 분류 모델을 적용한 결과이다. Real Only 세트만으로 모든 모델이 약 95% 수준의 Accuracy와 AUC를
기록하며 baseline 성능을 정의하였다. Real+TimeGAN 세트는 1D-CNN에서 Accuracy가 4.3% 향상, LSTM에서 2.6%
향상되었으며, LightGBM은 ROC-AUC=1.00로 완전 분리를 달성하였다. 이는 Time-GAN이 APG의 위상 및 진폭 변동을 가장 충실히
보존했음을 보여준다. Real+GAN 세트는 위상 일관성은 유지했지만, 고주파 노이즈가 증가하여 1D-CNN의 AUC가 0.90으로 하락하였다. LSTM과
LightGBM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TIme-GAN 수준에 근접했으나, 잡음에 민감하였다. Real+VAE 세트는 가장 낮은 고주파 왜곡을 보여 1D-CNN
Accuracy를 98.3%까지 끌어올렸으며, LSTM(97.4%), LightGBM(99.5%)에서도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표 2 4개의 학습 세트를 이용한 실험 결과
Table 2 Experimental results using 4 learning sets
|
학습 세트
|
분류기
|
Accuracy(%)
|
F1-Score(%)
|
ROC-AUC
|
|
Real Only
|
1D-CNN
|
95.33±0.12
|
95.14±0.14
|
0.92
|
|
LSTM
|
95.33±0.16
|
95.20±0.17
|
0.92
|
|
LightGBM
|
95.72±0.05
|
95.66±0.06
|
0.96
|
|
Real+TImeGAN
|
1D-CNN
|
99.68±0.28
|
99.13±0.16
|
0.97
|
|
LSTM
|
97.93±0.21
|
98.35±0.21
|
0.97
|
|
LightGBM
|
100.00±0.00
|
100.00±0.00
|
1.0
|
|
Real+GAN
|
1D-CNN
|
97.06±0.09
|
97.01±0.02
|
0.90
|
|
LSTM
|
97.68±0.25
|
98.25±0.15
|
0.97
|
|
LightGBM
|
99.12±0.02
|
99.45±0.00
|
0.98
|
|
Real+VAE
|
1D-CNN
|
98.34±0.11
|
97.74±0.10
|
0.94
|
|
LSTM
|
97.42±0.14
|
97.38±0.11
|
0.97
|
|
LightGBM
|
99.45±0.05
|
99.45±0.05
|
0.97
|
본 연구에서는 기존 평가 외에도, 제안된 WPT 기반 지표와 분류 성능 간 상관 분석을 추가로 수행하였다. LF Ratio≥0.6을 충족한 시퀀스는
Accuracy와 F1-Score 모두에서 평균 +3.1% 향상, HF Diff≤0.05 조건을 만족한 시퀀스는 ROC-AUC에서 +0.04 상승,
Phase Shift≤10°를 만족한 경우, 특히 LSTM의 F1-Score가 +2.6%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WPT 지표가 단순 품질 검증이
아니라, 실제 분류 성능 개선과 직결되는 핵심 요인임을 입증한다. 또한, Ablation Study를 통해 WPT 필터링을 제거한 경우와 비교했을
때, Time-GAN의 Accuracy가 평균 2.7% 하락, VAE는 고주파 잡음 증가로 ROC-AUC가 0.03 감소, GAN은 flat-segment가
늘어나 F1-score가 4.5% 하락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제안된 다중 기준(WPT+통계 필터링)이 없으면 성능이 명확히 저하된다는 점을
보여준다.
4. 결 론
본 연구는 웨어러블 환경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부족, 동잡음 문제를 위해, WPT 기반 품질 지표 설계, Time-GAN/GAN/VAE를 활용한 APG
데이터 증강, 1D-CNN, LSTM, LightGBM 분류 모델을 통한 성능 검증을 통합적으로 수행하였다.
특히, 제안한 WPT 기반 세 지표는 단순 품질 지표가 아니라 주파수, 위상, 진폭 보존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새로운 평가 체계로 기능하였으며, 실제
APG 분포와 높은 상관성을 보여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이를 통해, APG 특화 데이터 증강의 신뢰성 확보라는 기여를 달성하였다. 실험 결과, Time-GAN은
위상 및 진폭 변동까지 고르게 학습하여 LightGBM에서 ROC-AUC 1.00을 달성하는 등 최적의 성능을 보였으며, VAE는 고주파 왜곡 억제를
통해 CNN과 LSTM의 안정적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다. 반면, GAN은 모드 붕괴와 잡음 문제로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제안된
기법은 데이터 희소성과 클래스 불균형 문제를 완화하여 F1-Score 평균 4.3%, ROC-AUC 0.05 이상의 성능 개선을 달성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령, 질환, 착용 부위에 따른 데이터셋 확장, 임상 데이터와의 대규모 검증을 수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WPT+Generative
모델 기반 APG 증강 프레임워크가, 실제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의료기기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적 데이터 증강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ferences
Y. Zhang and P. L. P. Rau, “Playing with multiple wearable devices: Exploring the
influence of display, motion and gender,”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 50, pp. 148-158, Apr. 2015.

M. A. Almarshad, M. S. Islam, S. Al-Ahmadi, and A. S. BaHammam, “Diagnostic features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PPG signal in healthcare: A systematic review,” Healthcare,
vol. 11, no. 3, pp. 13-15, 2023.

J.-M. So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ediction system for cardiovascular diseases
using PP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 5, no.
1, pp. 19-25, Feb. 2011.

M.-H. Kim, “Detection of motion artifact in PPG signal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0, no. 2, pp. 4-6, Feb. 2019.

S.-H. Lee, R.-H. Yu, and K.-H. Kim, “PPG motion noise cancellation algorithm using
wavelet transform and auto-encoder,”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Conference, pp. 14-17, 2018.

M. Z. Suboh, “Analysis on four derivative waveforms of photoplethysmogram (PPG) for
fiducial point detection,” Frontiers in Public Health, vol. 10, pp. 920946, Jun. 2022.

M. Elgendi, “Frequency analysis of photoplethysmogram and its derivatives,”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vol. 122, no. 3, pp. 503-512, 2015.

C. K. S. Pun,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R and IIR digital filters with
variable frequency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ircuit Theory and Applications,
vol. 49, no. 11, pp. 689-703, Nov. 2002.

D.-H. Ban, “Movement noise cancellation in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phy
signals with wavelet transform and diversity combining,” M.S. thesis, Univ. of Ulsan,
Korea, 2017.

J. Feher, Quantitative Human Physiology, 2nd ed., Academic Press, pp. 528-536, 2012.

H.-J. Jeong, J.-W. Kim, S.-Y. Park, and K.-S. Lee, “Baseline drift removal methods
for photoplethysmography in wearable devices,” IEEE Sensors Journal, vol. 20, no.
15, pp. 8461-8470, Aug. 2020.

J.-H. Kim, “A comparative study of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and wavelet packet
transform (WPT) for a Li-ion cell,” M.S. thesis, Chosun Univ., Korea, 2017.

M. Arjovsky, S. Chintala, and L. Bottou, “Wasserstein GAN,” arXiv preprint, arXiv:1701.07875,
2017.

저자소개
2024 to Present : MS course in Control and Signal Processing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E-mail : lshun10099@naver.com
1996 : MS, 1999 : Ph.D at Keio University, Japan.
2000 to 2006 : Principal Research Engineer in Samsung Advanced Institute of Technology(SAIT).
2006 to Present: Professor in Department of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Korea.
E-mail : aonami@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