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Lap Winding, Concentric Winding, Concentrated Winding, Distributed Winding, Number of Slots per Phase per Pole(NSPP), Number of Turns per Phase per Pole(NTPP), THD, Full Pitch, Short Pitch, PMSM, Double Layer, Single Layer

1. 서 론

모터 설계 연구는 영구자석 및 강판의 재질, 모터 타입에 따른 토폴로지 그리고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한 형상 설계기법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또한 권선 방법에 대한 연구도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국내에서 동심권에 대한 연구는 권선법을 적용한 모델 비교로 진행되었으며, 동심권에 대한 권선 설계 연구는 없었다(1-2). 따라서 동심권을 이용한 권선 설계를 통해 기존의 권선법과 여러 가지 동심권이 비교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구자석 동기 전동기의 극/슬롯 조합에 따라 권선법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매극 매상 슬롯 수가 2인 4극 24슬롯, 매극 매상 슬롯 수가 3인 4극 36슬롯인 두 가지 모델을 선정하여 각각 중권 및 동심권을 적용하였다. 중권은 전절권에서 한 피치가 적은 단절권을 적용하였고, 각 코일의 턴 수를 동일하게 설계하였다. 동심권은 중권과 동일한 슬롯을 공유하는 조건에서 각 코일의 피치 수, 턴 수를 다르게 선택하여 코일별 턴 수 비율에 따라 가장 높은 권선계수를 갖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코일별 턴 수를 통해 동심권의 권선계수가 중권보다 높게 계산되는 경우, 동일 형상 및 사이즈 대비 역기전력이 높은 모터를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설계 모델의 권선계수와 역기전력 Total Harmonic Distortion(THD)을 계산할 수 있다(3-4). 설계된 중권 및 동심권 해석비교 모델에 따라 2D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계산된 권선계수와 함께 비교하였다.

2. 권선법과 권선계수

권선법은 각 코일의 조합으로 코일을 슬롯에 삽입하는 방법과 코일의 접속 방법 등을 총칭한 것이다. 고정자 권선법은 매극 매상 슬롯 수(Number of Slots per Phase per Pole)에 따라 치집중권, 집중권(Concentrated Winding), 분포권(Distributed Winding)으로 나눌 수 있다. 매극 매상 슬롯 수가 1보다 작은 경우 치집중권, 1인 경우 집중권, 1보다 큰 경우 분포권을 사용한다. 분포권은 매극 매상 슬롯 수에 따라 코일을 여러 개의 슬롯에 각각 필요한 턴 수로 분포하는 것이며, 전절권(Full Pitch Winding)과 단절권(Short Pitch Winding)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절권은 역기전력을 가장 정현적으로 만들 수 있고, 고조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분포권에서 상당 각 코일의 분포 및 피치를 통해 권선계수를 구할 수 있다. 권선계수는 공극에서 기자력을 결정하는 요소이며 역기전력의 기본파 크기에 비례하고 역기전력 THD에 영향을 준다(5). 또한, 매극 매상 슬롯 수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분포권은 중권(Lap Winding)과 동심권(Concentric Winding)으로도 분류할 수 있다. 중권은 동일 피치를 갖는 코일이 분포된 권선법이고, 동심권은 각 코일의 중심이 동일한 서로 다른 피치로 구성되는 권선법이다. 동일 슬롯을 기준으로 각 코일의 턴 수가 같고, 엔드턴 효과를 무시할 경우 2D 유한요소해석은 두 권선법의 결과가 동일하다. 중권은 각 코일의 턴 수를 서로 다르게 할 수 없는 반면 동심권 경우에는 각 코일의 턴 수의 차이가 발생하여도 역기전력 파형의 정현적인 형태는 유지가 된다. 이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경우로 동심권을 설계할 수 있다.

2.1 중권

그림 1과 같이 q가 2인 경우, 단절권인 한 상의 권선을 2개의 코일로 나누어 감으면 기자력 분포가 집중권보다 정현적인 파형으로 나타난다. 각 코일이 동일 피치 수로 구성된 중권은 분포된 각 코일이 동일 턴 수로 이루어져야 정현적인 파형을 유지할 수 있다. 중권에서 슬롯당 도체 수는 집중권 대비 1/q이지만 한 상 전체의 도체 수는 집중권과 같다.

고정자 권선법이 중권인 경우에는 구형파가 갖는 기본파 성분의 크기가 식 (2)와 권선계수를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분포계수와 단절계수의 곱을 권선계수라 하며 식 (1)과 같다.

그림. 1. 중권 한 상의 공극 기자력

Fig. 1. MMF of single phase lap windi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1.png

(1)
$k_{w1}=k_{d1}\times k_{p1}$

위 식에서 $k_{w1}$는 권선계수, $k_{d1}$는 분포계수, $k_{p1}$는 단절계수를 나타낸다. 다음 식 (4)는 역기전력 기본파와 권선계수의 관계에 대한 식이다.

(2)
$E_{1th,\:pk}=\dfrac{pk_{w1}N_{ph}\Phi_{m1}}{\sqrt{2}}\omega_{m}$ $[V_{rms}]$

이 식에서 $E_{1th,\:pk}$는 상역기전력의 기본파의 크기, $k_{w1}$는 1차 권선계수, $N_{ph}$는 상당 직렬 턴 수, $\Phi_{m1}$는 영구자석에 의한 쇄교자속의 기본파, $\omega_{m}$은 회전속도[rad/sec]를 나타낸다. 식 (2)와 같이 권선계수는 역기전력의 기본파 크기에 비례한다(6).

집중권이 아닌 분포권의 경우 분포계수가 발생하며 분포권과 집중권의 역기전력 기본파 크기의 비와 같고 역기전력 기본파 크기의 감소는 분포계수만큼 감소한다. 다음의 식 (3)은 분포계수에 대한 식이다.

(3)
$k_{d1}=\dfrac{\sin(\alpha /2)}{q\sin(\alpha /2q)}$

(4)
$\alpha =\dfrac{\pi}{slots/po\le}$

여기서 $q$는 매극 매상 슬롯 수를 나타내고, $\alpha$는 식 (4)과 같이 나타낸다.

전절권이 아닌 단절권의 경우 단절계수가 발생하며 단절권과 전절권의 역기전력 기본파 크기의 비와 같고 역기전력 기본파 크기의 감소는 단절계수만큼 감소한다. 다음의 식 (5)는 단절계수에 대한 식이다.

(5)
$k_{p1}=\cos\dfrac{(1-\beta)\pi}{2}$

위의 $\beta$는 극 피치와 코일 피치의 비율이다(5). 극 피치는 전기각 반주기인 $180^{\circ}$에 해당하며 전절권의 경우 $\beta =1$이 되므로, 단절계수는 1이 된다. 분포권의 경우, 단절권은 전절권에 비해 고조파 제거 및 기자력의 파형 개선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2 동심권

그림 2(a)와 같이 q가 2인 경우 2개의 코일의 중심이 같아지도록 구성하는 권선법이 동심권이다. 중권과 비교하여 동심권은 각 코일이 서로 다른 피치 수로 구성되며, 각 코일의 턴 수가 같은 경우 중권과 동일한 기자력 분포를 갖게 된다. 또한, 동심권의 특성상 각 코일의 턴 수가 같지 않은 경우에도 기자력의 정현적인 파형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의 그림 3은 각 코일의 턴 수가 $N_{coil 1}$, $N_{coil 2}$이며 단절계수가 $k_{p1}$, $k'_{p1}$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동심권 한 상의 공극 기자력

Fig. 2. MMF of single phase concentric windi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2.png

그림. 3. 서로 다른 턴 수인 동심권 한 상의 공극 기자력

Fig. 3. MMF of single phase concentric windi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3.png

(6)
$k_{w1}=\dfrac{N_{coil 1}}{N_{s}}\times k_{p1}+\dfrac{N_{coil 2}}{N_{s}}\times k'_{p1}$

중권에서는 각 코일의 피치 수와 턴 수가 같아 식 (1)과 같이 권선계수를 계산하는 반면, 동심권은 코일마다 턴 분포와 단절계수를 고려한 계산 수식이 필요하며 식 (6)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코일이 지나는 슬롯과 $N_{s}$가 일정한 경우에도 각 코일의 턴 비율을 조절하며 권선계수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N_{s}$가 높을수록 경우의 수는 많아지며, 다양한 권선 설계가 가능하다(7).

3. 권선법에 따른 2D 유한요소해석

본 논문에서 사용된 두 모델의 설계 사양은 표 1과 같다. 모델의 형상은 그림 4로 동일하며 매극 매상 슬롯 수가 2인 Double Layer의 4극 24슬롯 SPMSM 모델과 매극 매상 슬롯 수가 3인 Single Lyaer의 4극 36슬롯 SPMSM 모델로 15.3Nm, 2500rpm의 동일한 운전점과 사이즈에서 권선법에 따른 설계를 하였다.

3.1 해석모델

그림. 4. 매극 매상 슬롯 수에 따른 설계 모델 (a) 모델 A, (b) 모델 B

Fig. 4. Design Model by NSPP (a) Model A, (b) Model B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4.png

표 1. 정격 및 설계 사양

Table 1. Performance requirement and design specification

Model A

Model B

Power [$k W$]

4

Rated Speed [$rpm$]

2500

Rated Torque [$Nm$]

15.3

Stator OD [$mm$]

80

Pole / Slots

4 / 24

4 / 36

Stack Length [$mm$]

90

NTPP

10

9

극당 상당 코일의 턴 수가 동일한 기준으로 권선계수를 비교하였다. 중권은 각 코일의 턴 수가 같으므로 모델 A는 매극 매상 슬롯 수는 2이므로 각 코일에 5턴, 모델 B는 매극 매상 슬롯 수가 3이므로 각 코일에 3턴씩 배치된다. 그리고 동심권은 가능한 모든 경우를 비교하여 유한요소 해석에 사용된 권선 모델을 선정한다.

3.2 모델 A 권선 설계

그림. 5. 4극 24슬롯 a상 권선도 (a) 중권, (b) 동심권

Fig. 5. 4 Pole 24 Slot a-Phase Winding Pattern Diagram (a) Lap Winding A, (b) Concentric Windi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5.png

동심권에서 각 코일에 대한 단절계수를 구하면, coil 1은 전절권으로 $k_{p1}=1$, coil 2는 단절권으로 $k'_{p1}=\cos(\dfrac{\pi}{6})$이다.

단절계수를 각 코일 턴 분포에 따라 권선계수를 계산하면 표 2와 같다.

표 2. 권선 패턴 및 권선계수, q=2

Table 2. Winding Patterns and Winding Factor, q=2

Winding Patterns

$N_{s}$

$N_{coil 1}$

$N_{coil 2}$

$K_{w1}$

Lap Winding

10

5

5

0.9330

Concentric Winding

10

9

1

0.9866

8

2

0.9732

7

3

0.9598

6

4

0.9464

5

5

0.9330

4

6

0.9196

3

7

0.9062

2

8

0.8928

1

9

0.8794

매극 매상 슬롯 수가 2, $N_{s}=10$인 동심권에서 $N_{coil 1}$은 9, $N_{coil 2}$은 1일 때, 가장 높은 권선계수로 계산된다. 따라서 해당 모델을 중권과 비교할 해석모델로 선정하였다.

3.3 모델 A의 2D 유한요소해석 결과

표 3의 모델 A의 무부하 해석 결과에서 역기전력 THD는 중권이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역기전력 기본파의 크기는 권선계수에 비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모델 A의 무부하 해석

Table 3. No Load Analysis of model A

Lap Winding

Concentric Winding

Winding Factor

0.9330

0.9866

$E_{1th,\:pk}$ [$V_{peak}$]

88.17

93.25

BEMF THD [%]

1.06

1.67

3.4 모델 B 권선 설계

그림. 6. 4극 36슬롯 a상 권선도 (a) 중권, (b) 동심권

Fig. 6. 4 Pole 36 Slot a-Phase Winding Pattern Diagram (a) Lap Winding A, (b) Concentric Windi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fig6.png

동심권에서 각 코일에 대한 단절계수를 구하면, coil 1은 단절권으로 $k'_{p1}=\cos(\dfrac{\pi}{9})$, coil 2는 전절권으로 $k'_{p1}=1$이며 coil 3은 단절권으로 $k''_{p1}=\cos(\dfrac{\pi}{9})$이다. 단절계수를 각 코일 턴 분포에 따라 권선계수를 계산하면 표 3과 같다.

표 4. 권선 패턴 및 권선계수, q=3

Table 4. Winding Patterns and Winding Factor, q=3

Winding Patterns

$N_{s}$

$N_{coil 1}$

$N_{coil 2}$

$N_{coil 3}$

$K_{w1}$

Lap Winding

9

3

3

3

0.9598

Concentric Winding

9

1

7

1

0.9866

1

6

2

0.9799

1

5

3

0.9732

1

4

4

0.9665

1

3

5

0.9598

1

2

6

0.9531

1

1

7

0.9464

2

1

6

0.9799

2

2

5

0.9732

2

3

4

0.9665

2

4

3

0.9598

2

5

2

0.9531

2

6

1

0.9464

3

1

5

0.9732

3

2

4

0.9665

3

3

3

0.9598

3

4

2

0.9531

3

5

1

0.9464

4

1

4

0.9665

4

2

3

0.9598

4

3

2

0.9531

4

4

1

0.9464

5

1

3

0.9598

5

2

2

0.9531

5

3

1

0.9464

6

1

2

0.9531

6

2

1

0.9464

7

1

1

0.9464

매극 매상 슬롯 수가 3, $N_{s}=9$인 동심권에서 $N_{coil 1}$은 1, $N_{coil 2}$는 7, $N_{coil 3}$이 1일 때, 가장 높은 권선계수로 계산된다. 따라서 해당 모델을 중권과 비교할 해석모델로 선정하였다.

3.5 모델 B의 2D 유한요소해석 결과

표 5의 모델 B의 무부하 해석 결과에서 역기전력 THD는 중권이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 역기전력 기본파의 크기는 권선계수의 비에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5. 권선법에 따른 모델 B의 무부하 해석

Table 5. No Load Analysis of model B

Lap Winding

Concentric Winding

Winding Factor

0.9598

0.9866

$BEMF_{1th,\:pk}$ [$V_{peak}$]

40.72

41.85

BEMF THD [%]

0.30

0.85

4.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사이즈의 SPMSM 형상에서 매극 매상 슬롯 수별 고정자 권선법에 따른 권선계수 및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비교해보았다. 이는 4극 24슬롯(NSPP=2), Double Layer인 모델 A, 4극 36슬롯(NSPP=3) Single Layer인 모델 B에 대해 각각 분포권, 단절권 특성을 갖는 중권, 가장 높은 권선계수를 갖는 동심권을 동일 슬롯 및 매극 매상 턴 수를 기준으로 비교하였다. 동심권의 경우 각 코일이 동일한 턴 수로 구성될 경우, 중권과 권선계수가 같지만 동심권 중 전절권을 갖는 코일의 턴 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더 높은 권선계수를 갖는 동심권을 설계할 수 있다. 무부하 해석 결과에서 역기전력 기본파 크기는 권선계수와 비례함에 따라 동심권이 더 높았다. 이에 따라 동일 운전점에서 부하 해석 시에 동심권의 전류밀도가 저감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점을 고려하여 중권과 동일 전류밀도에서 다운사이징의 가능성도 존재한다.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분포된 공극의 기자력을 정현적으로 유지하면서 권선계수를 높게 설계하는 코일의 구성 방법에 따라 성능이 개선되는 것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개선되는 성능에 반하여, 역기전력 THD와 같은 기타성능의 악화로 적절한 모델의 선정이 요구된다. 또한, 본 논문은 전자계적 해석에 치중한 결과이며, 동심권의 각 코일이 갖는 턴 수로 인하여 발생하는 점적률 및 각 코일 선경의 차이 등 실제 제작에 관련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이는 모터를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Acknowledgements

이 논문 2019학년도 동의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Jungsoo Yang, Hyun-Woo Jun, Ki-Doek Lee, Ju Lee, 2015, A Study on comparison Full-pitch and Concentric Winding 3D model of PMSM for Fan-Load,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Summer Conference, pp. 715-716Google Search
2 
Dong-Seok Ryu, Min-Gyu Kim, Hong-Hyun Kim, Seung- Ha Jeon, Ki-Chan KIM, 2012, A Study on Concentric and Distributed Winding of BLAC using FEM for EV(Electric Vehicl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Fall Conference, pp. 39-41Google Search
3 
Wen Ouyang, A. El-Antably, Surong Huang, T. A. Lipo, 2005, Analysis of optimal stator concentric winding patterns design,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and Systems, nanjing, Vol. 1, pp. 94-98DOI
4 
T. A. Lipo, 2004, Introduction to AC Machine Design, University of Wisconsin, pp. 53-82Google Search
5 
M. M. Liwschitz, Oct 1943, Distribution Factors and Pitch Factors of the Harmonics of a Fractional-Slot Winding, in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62, No. 10, pp. 664-666DOI
6 
J. R. Hendershot, T. J. E. Miller, 2010, Design of Brushless Permanent-Magnet Machines, Magna Physics Publishing & Oxford University Press, pp. 180-181Google Search
7 
G. R. Slemon, A. Straughen, 1980, Electric Machines, University of Toronto, pp. 369-383Google Search

저자소개

김형우 (Hyung-Woo Kim)
../../Resources/kiee/KIEE.2021.70.2.324/au1.png

2020년 명지대학교 전기공학과 학사졸업, 2020년~현재 성균관대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31-299-4918

E-mail : E-mail: kmhngw95@g.skku.edu

강도현 (Do Hyun Ka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au2.png

2013년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학사졸업, 2013년~2017년 현대중공업. 2017년~현재 성균관대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31-299-4918

E-mail : dhkang87@g.skku.edu

이승창 (SungChang Lee)
../../Resources/kiee/KIEE.2021.70.2.324/au3.png

2019년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학사졸업, 2019년~현재 성균관대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석박통합과정

Tel: 031-299-4918

E-mail : jjanggu99@g.skku.edu

정상용 (Sang-Yong Jung)
../../Resources/kiee/KIEE.2021.70.2.324/au4.png

200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 공학박사, 2003년~2006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선임연구원, 2006년~2011년 동아대학교 전기공학과 조교수, 2011년~현재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Tel: 031-299-4952

E-mail : syjung@skku.edu

이향범 (Hyang-beom Lee)
../../Resources/kiee/KIEE.2021.70.2.324/au5.png

1998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공학과 졸업, 공학박사, 1999년~현재 동의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

Tel: 051-890-1672

E-mail : cglee@de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