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University of Suwon, Korea.)



Data Processing, Partial Discharge, CNN, Projection, Pattern Recognition

1. 서 론

급격한 기술발전과 전기수요의 증가에 따른 전력계통의 확장이 대두되는 시대에 지리적, 정치적인 이유로 독립된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우리나라는 발전, 송・변전소등의 전력설비 밀도가 현저하게 높아 새로운 전력설비를 추가로 건설하여 확장하기에 큰 무리가 따른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중국과 러시아 등의 나라들과의 계통연계 및 신기술 설비의 확대 등이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오래된 설비들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한 관리 및 유지이다. 이를 위해 육안검사, 진동, 열화상, 가스분석, 초음파, 부분방전 등을 이용한 진단기법들이 활용되고 있고 현재까지도 전기설비의 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유지보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 되고 있다(1-4). 이 중에서도 전기설비의 주된 고장 및 사고의 원인이 되는 절연열화, 절연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방전의 패턴을 분류 하고 이를 모니터링 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통해 장비의 고장진단 및 교체시기 예측 등을 가능 하도록 하는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은 근래에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절연내력이 우수한 SF6가스를 사용하는 가스 절연 개폐기(Gas Insulated Switchgear)의 경우 높은 안전성, 설치 면적의 축소, 저소음 등의 장점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사고대응이 부적절한 경우 대형 사고를 유발 할 수 있으며 육안으로는 결함을 발견할 수 없기에 UHF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을 통해 GIS 내부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추세이다(5,6). 또한 기존의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에서 부분방전 패턴분류의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 퍼지이론(Fuzzy Theory),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서포트 벡터머신(Support Vector Machine) 등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 및 최적화 하는 연구도 진행 되고 있다(7-9).

그러나 통신사, 군부대 레이더와 같은 주변 환경 노이즈 및 기존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한 학습 시간대비 패턴분류 성능이 높지 않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서 노이즈를 제거시키거나(10,11) 노이즈가 포함되더라도 정확하게 부분방전의 패턴을 분류하는 신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우수한 성능으로 새롭게 주목받는 DNN(Deep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등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존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대체하는 연구들 또한 진행 되고 있다(12). 그 중에서도 합성곱 신경망(CNN)은 1962년 고양이를 통한 시각 피질의 구조에 대한 연구(13)에서 시작되어 1998년 손 글씨 숫자를 인식하는데 사용된 CNN의 초기 모델 LeNet-5로 세상에 알려졌다(14). 최근 이미지 인식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CNN을 활용하여 얼굴인식, 자율주행 등 이미지, 영상관련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적용되고 있으며 부분방전 신호를 이미지화 하여 CNN기반 패턴분류기 모델에 적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 되고 있다(15,16).

CNN을 적용한 부분방전 패턴분류기에 입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부분방전 데이터는 1차원의 신호데이터에서 2차원의 이미지 데이터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현재 까지는 부분방전 신호를 크기, 위상, 시간(Cycle) 3개의 변수로 표현하는 방식의 PRPS(Phase-Resolved Pulse Sequence)방법과 이를 하나의 주기에 방전이 일어난 횟수로 적재 시키는 PRPD(Phase-Resolved Partial Discharge)방법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법을 적용한 CNN같은 경우도 노이즈에 의해 묻힌 방전신호를 잡아내는데 한계를 보인다. 특히 자유 도체 방전(free particle discharge)의 경우 PRPD, PRPS 기법이 적용된 이미지가 노이즈의 그것과 비슷하여 패턴 분류기의 분류 정확도가 내려가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방전신호와 노이즈신호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자 기존 부분방전 데이터의 처리방법에 사영(Projection)기법을 적용하였다. GIS 모의실험을 통하여 코로나, 절연체, 플로팅, 자유 도체 방전 총 4개의 부분방전과 실험 장소의 환경 노이즈 데이터를 얻고 각각 PRPS, PRPD, Projection 기법을 적용하여 총 3개의 이미지 데이터 셋을 CNN을 이용한 부분방전 패턴 분류기에 적용하였다.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Projection기법으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노이즈와 자유 도체 방전 데이터를 보다 높은 정확도로 분류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2. CNN기반 부분방전 패턴 분류기 및 데이터 처리

기존 패턴분류기에 사용되어오던 NN(Neural Network)이나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달리 이미지 데이터에 특화된 CNN의 경우 3개의 채널 RGB(Red, Green, Blue) 각각에 필터(kernel)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 보통이나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부분방전 이미지 데이터의 경우 1개의 채널로 이루어져있다.

2.1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

전반적인 CNN의 구조는 입력층, Convolution layer, Pooling layer, 일반적인 NN의 은닉 층에 해당하는 Fully connected layer 그리고 출력 층으로 구성되며 이중에서 합성곱 연산을 하는 Convolution layer와 Pooling layer는 CNN알고리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Convolution layer에서 필터는 지정한 칸만큼 이동하여 합성곱 연산을 통해 입력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함과 동시에 데이터의 차원을 축소시켜 특징 맵을 쌓는다. 이때 만들어진 특징 맵의 크기는 입력데이터의 크기, 필터의 크기, 패딩(Padding)의 유무 그리고 이동간격에 따라 달라지며 그에 관한 식은 아래와 같다.

(1)
$O =\dfrac{I-F+2P}{S}+1$

여기서 $O$는 특징 맵의 크기, $I$는 입력 이미지의 크기, $F$는 필터의 크기, $S$는 필터의 이동간격이고 $P$는 패딩의 크기로 패딩은 데이터의 정보손실을 막기 위해 입력데이터에 추가로 여분의 공간을 만들어주는 기법이다.

그러나 필터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그 만큼 많은 특징 맵이 쌓이게 되고 이는 고차원의 파라미터를 요구하여 학습 속도 저하 및 과적합(over-fitting)문제를 초래 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 하고자 Pooling layer가 존재한다. Pooling은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영역 내에서 최댓값 하나를 추출하는 Max Pooling과 영역내의 평균값을 추출하는 Average Pooling이 있고 일반적으로 두 경우 모두 특징 맵의 크기를 반으로 줄이며 그 식은 아래와 같다.

(2)
$O =\dfrac{I-F_{P}}{S}+1$

여기서 $O$, $I$ 그리고 $S$의 의미는 식(1)에서와 동일하며 $F_{P}$는 [$F_{P}$ × $F_{P}$]로 표현 되는 Pooling 필터의 크기이며 보통 $F_{P}$와 $S$의 크기는 같게 설정한다.

그림. 1. CNN구조

Fig. 1. Architecture of CNN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png

본 논문에서는 2개의 Convolution layer와 Pooling layer로 구성된 CNN을 사용하였으며 그 구조는 그림 1과 같다.

Convolution layer 및 Fully connected layer의 활성함수로는 식(3)의 Relu함수를 사용하였다.

(3)
$R(x)=\begin{cases} x & x>0\\ 0 & x\le 0 \end{cases}$

Pooling layer의 경우 Max Pooling을 적용하였으며 식(4)의 softmax함수를 출력 층에 사용하였다.

(4)
$\hat Y_{k}=\dfrac{\exp(z_{k})}{\sum_{i=1}^{n}\exp(z_{i})}$

여기서 $n$은 출력 층의 노드수이며 $z_{k}$는 출력 층의 $k$번째 노드의 입력이며 손실함수로는 식(5)의 Cross-Entropy함수를 사용하였으며 학습은 Backpropagation을 통해 이루어졌다.

(5)
$CE=-\sum_{i=1}^{S}\sum_{k=1}^{n}t_{ik}\ln\hat Y_{ik}$

여기서 $S$는 전체 샘플 수를 의미하며 $t_{ik}$는 실제 클래스의 출력을 의미하고 $\hat Y_{ik}$는 패턴 분류기의 출력을 의미한다.

2.2 기존 부분방전 데이터 처리방법

부분방전 검출 시스템에서 신호 패턴분석을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에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신호를 한 주기마다 나누어 좌표 상에 겹겹이 쌓아 위상, 주기 그리고 진폭의 크기를 보여주는 PRPS(Phase Resolved Pulse Sequence)방법과 이렇게 만들어진 PRPS데이터를 바탕으로 방전크기 별 방전횟수 정보를 한 주기에 집약시켜 표현하는 PRPD(Phase Resolved Partial Discharge)방법이 있다. PRPS기법의 경우 부분방전신호 패턴을 시간정보와 함께 볼 수 있어 부분방전 신호가 간헐적으로 발생하는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지 알 수 있고 PRPD의 경우 방전신호의 Φ-q-n 패턴을 보는데 유리하다.

2.2.1 PRPS기법을 통한 부분방전 데이터 전처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한 교류전력의 신호는 직류전력의 신호와 다르게 위상과 주기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PRPS기법은 이 특성을 활용하여 교류전력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 데이터의 시간 축을 위상과 주기로 나누어 데이터를 재구성 하는 방법이며 그 과정은 아래의 그림 2에 나타난다.

그림 2의 (a)는 부분방전 실험을 통해 얻은 전체 부분방전 데이터 중 절연체 방전 데이터의 샘플 하나에 대한 이미지이며 y축은 방전크기를 x축은 시간을 의미한다. (b)는 단계 1의 개념이해를 돕기 위해 (a)의 부분적인 구간의 파형을 보여주고 (b)에 표시된 숫자는 위상별로 나누어진 주기를 의미한다. (c)는 단계 2를 통해 만들어지는 PRPS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며 (b)에서 나누어진 주기가 1부터 6까지 순서대로 (c)의 주기 축에 1, 2, 3, 4, 5, 6의 파형이 쌓여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2. 하나의 샘플 파형에 대한 PRPS기법 적용 과정

Fig. 2. Process for applying PRPS to one sample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2.png

그림. 3. 부분방전 패턴에 따른 PRPS데이터의 2차원 입력 이미지

Fig. 3. Two-dimensional input image of PRPS data according to partial discharge pattern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3.png

본 논문에서는 한 샘플 당 60Hz의 교류 전원으로 10초 동안 실험을 진행하여 얻은 부분방전 신호를 사용하였기에 600개의 주기를 가지며 PRPS기법을 통해 만들어진 데이터는 [600×128]의 2차원 행렬로 표현되고 이때 600은 전체 주기를 128은 위상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림 3은 전체 부분방전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그림 2의 PRPS기법을 적용하여 얻어진 PRPS데이터의 2차원의 이미지를 부분방전 패턴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그림 3에서 각 이미지의 세로축은 주기를 가로축은 위상을 의미하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값은 방전크기의 값을 의미한다.

그림 3의 (a)를 통하여 확인한 코로나 방전의 PRPS이미지 특징은 위상의 앞쪽과 뒤쪽에 방전신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전체적으로 ‘ㅡ’자 모양의 선 여러 개가 적재된 형태의 모양을 보여준다. (b)와 (c)는 플로팅 방전과 절연체 방전의 이미지로 두 방전의 이미지가 ‘ㅣ’자 모양의 선 2개가 평행한 모양으로 서로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모양은 어느 주기에서나 동일한 위상에서 방전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 (b)의 플로팅 방전의 경우 그 넓이가 (c)의 절연체 방전에 비해 좁으나 그 선이 보다 선명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d)와 (e)는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의 이미지로 이전의 방전들과는 다르게 이미지 상에서 각 클래스 별로 유의미한 특징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2.2.2 PRPS기법을 통한 부분방전 데이터 전처리

PRPS기법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가 시간정보를 기반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분석한다면 PRPD기법의 경우 방전이 일어난 횟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부분방전 신호를 분석한다. PRPD기법은 전체 주기 동안 발생한 방전신호의 크기별로 신호가 발생한 횟수를 하나의 주기에 집약시켜 저장하는 방식으로 그 과정은 그림 4에 나타내었다.

그림. 4. 하나의 샘플 파형에 대한 PRPD기법 적용 과정

Fig. 4. Process for applying PRPD to one sample waveform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4.png

그림 4의 (a)는 실험을 통하여 얻은 부분방전 데이터 중 플로팅 방전 데이터의 샘플 하나에 대한 이미지 이며 (b)는 (a)에서 단계 1을 적용하여 얻어진 PRPS데이터이다. (c)는 단계 2를 통해 얻어진 한 주기에 방전크기의 횟수에 대한 정보가 집약된 PRPS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 한 것이다. (d)는 단계 3을 통해 얻어진 PRPD데이터의 이미지로 노이즈 신호가 (c)의 하단부에 횟수 정보가 밀집되어 있는 만큼 (d)의 하단부에 선명하게 나타나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항시 존재하는 노이즈 신호와는 반대로 그 빈도수가 적은 방전신호는 (d)의 상단에 희미하게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5. 부분방전 패턴에 따른 PRPD데이터의 필터링 된 2차원 이미지

Fig. 5. Filtered two-dimensional image of PRPD data according to partial discharge pattern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5.png

그림 5는 전체 부분방전 신호데이터에 대하여 그림 4의 PRPD기법이 적용되어 얻어진 PRPD데이터에서 픽셀 값이 0인 부분을 필터링한 2차원의 이미지를 부분방전의 패턴 별로 보여준다. 각 이미지의 가로축은 위상(0°~128°)을 세로축은 방전 크기(0~255dBm)를 그리고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의 값은 방전신호가 일어난 횟수에 대한 값이다. 이때 방전신호의 횟수에 대한 정보는 0에서 600까지의 숫자로 표현되고 여기서 600은 전체 주기의 수를 의미한다.

그림 5의 (a)를 통하여 코로나 방전의 경우 부분방전 신호가 대체로 0~50, 90~128의 위상에서 두르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b)를 통하여 플로팅 방전의 경우 대략 9~13, 75~80의 좁은 위상에서 150~240dBm의 크기의 방전신호가 발생 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c)를 통하여 절연체 방전과 함께 비교해볼 경우 절연체 방전은 플로팅 방전보다는 넓은 범위의 위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80~200dBm 크기의 방전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림 5의 (d)와 (e)는 각각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에 대한 PRPD데이터의 2차원 이미지이며 육안으로는 두 클래스만의 특징을 찾기가 어려운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 제안된 부분방전 데이터 처리방법

그림 3, 5를 통하여 보인바와 같이 PRPS와 PRPD기법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는 육안으로 노이즈와 자유 도체 방전의 구분이 쉽지가 않다. PRPD데이터의 경우 희미하지만 PRPS데이터와는 다르게 어느 정도 두 클래스 사이의 차이를 확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CNN기반 패턴분류기에서 PRPS기법을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 보다 PRPD기법을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였을 때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의 구분에 대한 정확도가 높았다. 하지만 다른 방전들과 비교한다면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 이 두 개의 클래스를 분류하는데 있어서 낮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PRPD기법을 통해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CNN기반 패턴분류기에 입력으로 넣었을 때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으로 실제 방전신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수로 일어나는 노이즈 신호가 이미지 상에서 부각되어 방전신호에 대한 정보를 CNN에서 잡아내지 못한다고 가정 하였다.

../../Resources/kiee/KIEE.2021.70.3.515/pro1.png

그림. 6. 하나의 샘플에 대한 Projection 기법의 step별 순서도

Fig. 6. Flowchart by step of a projection technique for one sample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6.png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해 보고자 부분방전 데이터의 전처리 방식에 사영기법을 적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우선 기본적인 사영의 개념은 어떠한 물체에 쏘는 빛에 의해 생기는 그 물체의 그림자를 의미하며 이를 활용하여 복잡한 고차원의 문제를 저차원으로의 변환을 통해 해석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런 사영 기법 중 정사영기법은 특정 물체에 빛을 비추었을 때 그 빛과 수직인 평면에 생기는 그림자를 뜻한다. 제안된 사영기법은 정사영기법을 바탕으로 진행 되며 방전신호의 횟수를 픽셀 값으로 저장하는 PRPD기법 대신 방전신호의 크기를 그대로 사영되는 평면의 픽셀 값으로 저장하여 이미지 상에서 방전신호에 대한 정보보존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영기법을 이용한 부분방전 데이터 전처리에 대한 자세한 과정은 아래에 각 단계별로 정리되어있다.

그림 6은 하나의 샘플에 대해서 제안된 Projection 기법이 적용되는 과정을 step에 따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그림 6의 (a)는 부분방전 데이터가 정사영 될 공간으로 그 크기는 PRPD와 동일한 [256×128]크기의 가로축은 위상, 세로축은 방전신호의 크기로 구성된다. (b)는 부분방전 중 플로팅 방전에 대한 신호 데이터이며 (c)는 step 2를 통해 얻어진 주기별 파형 이미지를 보여준다. (d)는 (c)의 첫 번째 주기의 파형이며 (e)는 1차로 정사영이 완료된 이미지로 step 3에 따라 (d)가 (a)의 평면상에 위상별로 정사영 된 결과를 나타낸다. (f)는 (c)의 600번째 주기의 파형에 대한 이미지로 (h)는 (f)가 step 4에 따라 599차로 정사영이 완료된 평면(g)에 위상별로 정사영 된 결과를 나타내며 최종적으로 Projection기법을 통한 전처리가 끝나 얻게 되는 한 샘플에 대한 데이터이다.

그림. 7. 부분방전 패턴에 따른 Projection데이터의 필터링 된 2차원 이미지

Fig. 7. Filtered two-dimensional image of Projection data according to partial discharge pattern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7.png

그림 7그림 6의 Projection기법을 통해 얻어진 Projection데이터에서 픽셀의 값이 0인 부분을 필터링한 2차원의 이미지를 부분방전 패턴에 따라 나타낸다. 각 이미지의 가로축과 세로축은 PRPD데이터와 동일하나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은 그와 다른 방전신호의 크기 값이며 그림 3,5,7에 사용되는 각 패턴의 이미지들은 모두 동일한 샘플에서 획득한 것이다.

표 1. 입력 이미지를 통한 각 전처리 기법의 비교

Table 1. Comparison of each preprocessing technique through input image

../../Resources/kiee/KIEE.2021.70.3.515/table1.png

그림 7의 (a)를 통하여 그림 5의 (a)에서 확인 하지 못했던 코로나 방전의 특징으로 150dBm 부근의 신호를 확인 할 수 있으며 그림 5의 (a)의 하단 부에서 밝게 집중되던 노이즈에 대한 정보가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7의 (b)는 플로팅 방전으로 방전신호가 발생한 위상의 범위는 PRPD데이터와 비슷하나 그 크기의 범위가 80~240dBm로 넓어 졌으며 (c)의 절연체 방전 또한 그림 5의 (c)보다 조금 더 선명해 진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앞선 세 방전 패턴보다 더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자유 도체 방전의 이미지이다. 그림 5의 (d)에서는 선명하게 확인 할 수 없었던 방전 신호를 그림 7의 (d)에서는 보다 확실하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노이즈의 경우 그림 5의 (e)가 이미지의 하단부가 강조된 것과 비교하였을 때 그림 7의 (e)는 이미지의 상단부가 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1은 CNN기반 패턴 분류기의 입력 단이 읽어 들이는 각 전처리 기법별 이미지를 방전의 종류에 따라 시각화한 비교표이다. 표 1을 통해 PRPS데이터와 PRPD데이터의 경우 다른 방전에 비해 자유 도체 방전의 특징이 이미지에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RPD데이터의 전체적인 특성을 보면 하단부에 노이즈 신호가 강하게 표현 되는 것을 알 수 있고 플로팅 방전과 절연체 방전에서 희미하게 방전신호를 볼 수 있으나 나머지 패턴에 대해서는 확인하기가 어렵다. Projection데이터의 경우 PRPD데이터와는 반대로 각 방전들의 노이즈 층은 약하게 방전신호는 강하게 표현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전 그림 5그림 7에서 필터링 된 이미지를 사용한 이유는 위와 같이 픽셀의 값이 0인 부분을 필터링 하지 않게 되면 특정 방전들에 대한 이미지들의 그 특성을 육안으로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4. 시뮬레이션 및 결과

GIS에서 발생하는 부분방전의 경우 제조공정, 노화, 절연열화 또는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생긴 불순물, 공극 등의 이유로 도체간의 절연상태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등의 형태로 발생할 수 있다. 실제 운행되고 있는 GIS에서 현장 데이터를 습득하는데 무리가 있기에 본 논문에서는 GIS모의실험을 진행한다. 전처리에 따라 모델을 설계 한 뒤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에 대한 CNN 각 층의 특징 맵(Feature Map)과 전체 결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된 전처리 기법을 통한 패턴 분류기의 분류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한다. 패턴분류기 모델은 Python 3.8에서 TensorFlow 2.3.1버전으로 설계되어 NVIDIA TITAN Xp의 GPU로 구동된다.

4.1 GIS 모의실험 및 방전 데이터 구성

본 논문에서는 환경 노이즈가 포함된 상태에서 부분방전과 노이즈의 데이터를 그림 9와 같이 GIS 모의실험과 UHF(Ultra High Frequency)센서를 통해 얻는다. 실험 환경은 표 2와 같이 단상 3kV에서 한 샘플 당 총 10초 동안 7680Hz의 샘플링 주파수로 샘플링 된다. 이때 UHF센서의 대역 대는 0.5~1.5GHz 이며 코로나, 플로팅, 절연체, 자유 도체 총 4개의 부분방전 시험기를 사용한다. 노이즈 데이터는 환경 노이즈를 제거하지 않고 정상상태인 경우의 신호를 수집하여 얻는다.

표 2. GIS 모의실험 환경

Table 2. List of parameters of GIS simulation

실험장비 구성 및 환경

UHF센서

0.5~1.5GHz 대역, 샘플링 주기(1/7680s)

전원

변압기를 통한 단상 교류 3kV로 승압

부분방전 시험기

코로나, 플로팅, 절연체, 자유 도체

그림. 9. 부분방전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

Fig. 9. Conceptual diagram of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 system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9.png

4.2 입력 데이터 구성 및 CNN모델 구조

본 논문에서 사용된 입력 데이터의 경우 실험을 통해 코로나 방전, 플로팅 방전, 절연체 방전, 자유 도체 방전, 노이즈 전체 5개의 클래스로 구분되는 부분방전 신호 데이터 집합을 PRPS, PRPD, Projection 총 3개의 전처리 기법을 통해 처리하여 3개의 각기 다른 이미지 데이터 집합을 획득하였다. 입력데이터 구성 및 사용된 CNN 구조의 추가적인 정보는 아래와 같다.

표 3. 입력 데이터 구성

Table 3. Configuration of input data

Parameters

Values

No. of Class

5

1

2

3

4

5

150

150

150

150

200

No. of data

800

Data Set

PRPS

PRPD

Projection

Size of image

PRPS

[600 × 128]

PRPD

[256 × 128]

Projection

[256 × 128]

K-fold

3

(train : test)

640 : 160

640 : 160

640 : 160

1: 코로나 방전, 2: 플로팅 방전, 3: 절연체 방전, 4: 자유 도체 방전, 5: 노이즈

표 3은 입력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표이다. 부분방전 발생 시험을 통해 얻은 전체 데이터는 800개로 코로나, 플로팅, 절연체, 자유 도체 방전이 각각 150개, 노이즈 200개로 구성되어있으며 전처리 기법에 따라 PRPS, PRPD, Projection 총 3개의 이미지 데이터 세트로 변환되며 PRPS 이미지의 경우[600×128], PRPD 이미지의 경우 [256×128], Projection 이미지의 경우 [256×128]의 크기로 나타내어지며 각 이미지 세트 별로 3번의 교차검증(k-fold)을 통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표 4. 패턴분류기 파라미터 환경

Table 4. list of parameters of pattern classifier

Parameters

Value

Size of filter

All convolution layer

5×5

Pooling layer

2×2

No. of filters

1st convolution layer

32

2nd convolution layer

16

Stride

All convolution layer

1

Pooling layer

2

Learning rate

0.001

Size of batch

10

epoch

500

표 4는 사용된 CNN의 구조를 나타낸 표로 본 논문에서는 모델의 구조가 아닌 전처리방법에 대한 비교를 중점으로 하고 학습시간을 고려하여 복잡하지 않은 CNN모델을 사용한다. 패턴 분류기의 학습은 PRPS, PRPD, Projection의 순서대로 총 3번 진행 하며 설계된 CNN패턴 분류기의 구조는 1개의 Input layer, 2개의 Convolutional layer, 2개의 Pooling layer, 1개의 Fully connected layer 그리고 1개의 Output layer로 구성 되어있고 그 중에서 첫 번째 Convolutional layer에서는 [5×5]크기의 필터가 32개, 두 번째 Convolutional layer에서는 같은 크기의 필터가 16개 있으며 Pooling layer의 경우 첫 번째, 두 번째 층 모두 [2×2]크기의 필터를 사용하며 필터의 이동 간격(Stride)은 Convolutional layer에서 1칸씩 Pooling layer에서는 2칸씩 움직이고 학습률은 0.001, 한 번에 학습되는 샘플 수(Size of batch)는 10개이며 전체 학습 샘플에 대한 학습(epoch)은 500번 반복된다. 즉, 1-fold 당 640개의 학습 데이터를 10개씩 나누어 64번 학습된 경우가 1epoch 이며 이를 500번 반복하여 전체 iteration은 32000회 이다.

4.3 전처리 방법에 따른 특징 맵 분석 및 결과 비교

CNN기반 패턴 분류기 내부에서 필터를 통해 추출하는 특징 맵을 바탕으로 제안하는 Projection기법과 PRPD기법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들의 차이를 확인한다. 그림 15와 같이 CNN구조의 학습이 완료된 상태에서 테스트 이미지를 입력으로 넣어 각층에서 만들어진 특징 맵들 중 하나를 나타내어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CNN의 구조상 첫 번째 컨볼루션 층에서 32개, 첫 번째 풀링 층에서 32개, 두 번째 컨볼루션 층에서 512개, 두 번째 풀링 층에서 512개씩 특징 맵이 추출되며 각 층마다 추출된 특징 맵은 각각 [252×124], [126×62], [122×58], [61×29]의 크기를 가지는 이미지이다.

그림. 15. 자유 도체 방전에 대한 PRPD 데이터의 입력 이미지 및 각 층별 특징 맵 추출 과정

Fig. 15. Process for extracting input images and feature map of each layer of PRPD data of free particle discharge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5.png

그림. 16. 노이즈에 대한 PRPD 데이터의 입력 이미지 및 각 층별 특징 맵

Fig. 16. Input image of PRPD data of noise and feature map of each layer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6.png

그림 15는 PRPD 이미지 세트의 학습 데이터로 학습을 완료한 CNN패턴 분류기에 자유 도체 방전의 테스트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각 층별로 특징 맵을 추출하는 과정 및 추출 된 이미지에 대한 그림이고 (f)는 CNN패턴 분류기의 입력, 컨볼루션, 풀링층에 대한 구조이다. 그림 16은 노이즈에 대한 PRPD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였을 때 그림 15의 (f)의 각 층별로 추출한 특징 맵을 입력이미지와 함께 나타낸다.

그림 15그림 16의 (a)는 각각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에 대한 PRPD 테스트 입력 이미지이고 (b)는 첫 번째 컨볼루션 층의 12번째 특징 맵(C1), (c)는 첫 번째 풀링 층의 12번째 특징 맵(P1), (d)는 두 번째 컨볼루션 층의 14번째 특징 맵(C2), (e)는 두 번째 풀링 층의 14번째 특징 맵(P2)이다. 각 이미지들에 대하여 1대1 대응으로 비교할 경우 (a), (b), (c)에서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를 구분하기가 어려우나 (d)와 (e)에서는 이전 층과는 다르게 자유 도체 방전이미지에서 숨겨졌던 방전신호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 어느 정도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그림 15의 (d)와 (e)에서 방전신호 보다는 노이즈 신호에 그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며 이는 본 논문에서 지적한 것처럼 이미지의 픽셀 값이 상대적으로 노이즈 신호에 집중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그림. 17. 자유 도체 방전에 대한 Projection 데이터의 입력 이미지 및 각 층별 특징 맵

Fig. 17. Input image of PRPD data of free particle discharge and feature map of each layer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7.png

그림. 18. 노이즈에 대한 Projection 데이터의 입력 이미지 및 각 층별 특징 맵

Fig. 18. Input image of PRPD data of noise and feature map of each layer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8.png

그림 17은 Projection 이미지 세트의 학습 데이터로 학습 된 CNN패턴 분류기에 자유 도체 방전의 테스트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각 층별 특징 맵을 그림 15와 같은 방식으로 추출하여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8은 같은 방식으로 노이즈의 테스트 Projection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여 얻은 이미지를 각 층별로 나열한 그림이다.

그림 17그림 18의 (a)는 각각 Projection 이미지 세트의 테스트 데이터 중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에 대한 입력 이미지이다. 그림 1718의 (b), (c)는 각각 첫 번째 컨볼루션(C1), 풀링(P1) 층의 1번째 특징 맵이고 (d), (e)는 각각 두 번째 컨볼루션(C2), 풀링(P2) 층의 2번째 특징 맵이다. 그림 17그림 18의 (a), (b), (c), (d), (e)별로 이미지를 비교해보면 (a)의 경우 자유 도체 방전에서는 어느 한곳이 집중적으로 부각되어지는 곳이 없고 중앙부에 방전신호가 대체적으로 넓게 분포 되어있으나 매우 작은 점으로 표현되어 단번에 알아보기는 어렵다. 노이즈에서는 자유 도체 방전과는 다르게 방전신호가 보이지 않고 신호의 아래쪽 보다 위쪽이 부각되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b)를 통하여 자유 도체 방전의 경우 (a)에서 작게 표현되던 방전신호를 보다 크게 표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노이즈의 경우 자유 도체 방전과 마찬가지로 위쪽의 신호를 집중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c)를 통하여 보다 분명하게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를 육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d)와 (e)를 통하여 CNN의 두 번째 컨볼루션, 풀링 층에서 각 클래스의 특징을 보다 분명하게 잡아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림 16의 (e)그림 18의(e)의 비교를 통해 노이즈데이터의 경우 최종적으로 PRPD와 Projection 이미지 모두 이미지 하단부에 ‘ㅡ’의 모양이 나타나는 비슷한 특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5그림 17의 구도로 (b), (c)를 비교해보면 Projection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가 PRPD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보다 보다 빠르게 방전신호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d), (e)를 통한 비교로 기존 PRPD기법으로 만들어진 이미지 데이터의 문제인 노이즈는 강하게, 방전신호는 약하게 표현되는 것을 제안된 Projection기법을 통해 어느 정도 개선하였다고 볼 수 있다.

표 5의 (a), (b), (c)는 각각 PRPS, PRPD, Projection기법을 통해 만들어진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대해 3-fold로 평가한 분류 성능을 각 클래스 별로 확인하기 위한 혼돈행렬(Confusion Matrix)(18)이다. 이때 각 세트마다 적용되는 테스트 데이터 수는 160씩 3번으로 총 480개로 같으나 그것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에 대한 차이가 있다.

(a)를 통하여 PRPS 이미지 데이터 세트의 경우 플로팅 방전과 절연체 방전에 대해서는 100%로 분류하며 코로나 방전에 대해서는 전체 88개중 1개를 노이즈로 잘못 분류하여 98.9%의 분류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자유 도체 방전을 분류하는 데에 있어서 전체 62개의 데이터를 1개는 절연체 방전으로 20개는 노이즈로 잘못 분류 하여 66.1%의 분류 성능을 보여준다. 전체 146개의 노이즈 데이터 중 59개를 자유도체로 잘못 분류 하여 노이즈에 대한 분류 정확도가 59.6%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PRPS 이미지의 전반적인 분류 성능은 83.3%로 높은 듯 보이지만 실제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의 분류에 있어서는 좋지 못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b)를 통해 PRPD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대한 전반적인 분류 성능이 96.4%로 높게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각 패턴에 따른 성능을 확인 해보면 코로나 방전과 플로팅 방전이 100%로 분류되고 절연체 방전의 경우 전체 86개의 데이터 중에서 3개를 자유 도체 방전으로 잘못 분류하여 96.5%의 정확도를 보여준다. 자유 도체 방전의 경우 전체 94개의 데이터 중에서 2개를 절연체 방전, 3개를 노이즈로 잘못 분류하여 94.7%의 성능을 보여준다. 노이즈의 경우 전체 113개의 데이터 중에서 1개를 플로팅 방전, 8개를 자유 도체 방전으로 잘못 분류하여 92.0%의 성능을 보여준다. PRPD데이터 세트의 경우 PRPS데이터 세트에 비하여 절연체 방전에 대한 분류성능은 떨어지나 월등히 높아진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에 대한 분류 성능과 더불어 모델의 전반적인 성능 향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c)를 통하여 Projection 이미지 데이터 세트의 전반적인 분류 성능을 확인 해보면 99.8%로 기존 두 개의 전처리 기법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부분방전 패턴별로 코로나 방전 87개, 플로팅 방전 101개, 절연체 방전 85개 그리고 자유 도체 방전 99개를 100%의 확률로 분류하나 전체 108개의 노이즈데이터 중에서 1개를 자유 도체 방전으로 잘못 분류하여 99.1%의 분류 성능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9. 전처리기법에 따른 학습수렴 비교

Fig. 19. Comparison of learning convergence according to preprocessing techniques

../../Resources/kiee/KIEE.2021.70.3.515/fig19.png

표 5의 (a), (b), (c)를 통해 PRPS세트를 사용한 경우 보다 PRPD세트를 사용한 경우에 자유 도체 방전 및 노이즈에 대한 분류성능이 67.2%, 59.6%에서 94.7%, 92.0%로 각각 27.5%, 32.4%만큼 증가하였으며 Projection세트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면 100%, 99.1%로 각각 32.8%, 39.5%만큼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표 5. 전처리기법에 따른 분류율

Table 5. Classification rate by preprocessing methods

기존 전처리 방법

제안된 전처리 방법

PRPS

PRPD

Projection

CA_TR

99.84±0.22

98.96±0.53

99.79±0.19

CA_TE

83.33±0.59

96.42±0.23

99.79±0.29

CA_TR: Classification Accuracy of Training data, CA_TE: Classifi- cation Accuracy of Test data

그림 19는 부분방전 전처리 기법에 따라 만들어진 CNN기반 패턴분류기 모델의 분류율의 평균을 epoch에 따라 나타낸 그림이다. (a), (b), (c)는 각각 PRPS, PRPD, Projection 이미지 데이터로 학습된 모델의 결과를 보여주며 각 그림에서 파란색 선과 주황색 선은 학습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표 5는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의 최종 분류성능을 부분방전 데이터 전처리 기법별로 나타낸 표이다. 그림 19의 (a), (b), (c)의 epoch가 500인 지점에서의 결과와 그 값이 동일하다.

표 5그림 19를 통하여 PRPS 이미지 데이터 세트의 경우 대략 30epoch의 짧은 시간에 학습데이터는 99.84%로 테스트 데이터는 83.33%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RPD의 경우 10~150epoch의 구간에서는 테스트 데이터에 대한 성능이 높게 나오나 그 이후로 학습데이터의 성능이 더 높아지며 학습데이터의 경우 약 400epoch에서 테스트 데이터는 약 300epoch 부근에서 각각 98.96%, 96.42%로 수렴한다. Projection의 경우 PRPS와 비슷한 속도로 약 50epoch 부근에서 학습 데이터와 테스트 데이터가 모두 99.79%로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PRPD세트의 경우 PRPS세트에 비해 13.09%높은 분류 성능을 보인다. Projection 세트의 경우 PRPS세트에 비해 16.46%, PRPD세트에 비해 3.37%높은 분류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PRPD의 경우 다른 기법들에 비해 학습 수렴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해 그림 17의 (b)처럼 첫 번째 컨볼루션 층에서 특징이 잡히는 Projection세트와 다르게 그림 15의 (b)처럼 첫 번째 컨볼루션 층에서 특징이 빠르게 잡히지 못하는 PRPD 이미지의 특성에 원인이 있다고 판단한다.

5. 결 론

본 논문에서는 기존 전처리 기법을 활용하여 1차원의 부분방전 데이터를 2차원 이미지로의 변환하여 CNN기반 패턴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노이즈신호에 의해 묻히는 방전신호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rojection기법을 적용한 부분방전 데이터의 전처리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전처리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PRPS, PRPD기법을 추가하여 PRPS, PRPD, Projection 총 3가지의 부분방전 데이터 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3개의 이미지 세트를 통해 모델을 학습시켜 각 방법에 따른 패턴 분류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PRPS 이미지 세트로 구축한 모델의 경우 빠른 학습 수렴 속도를 보이고 전체적인 분류 정확도는 83.33%이지만 자유 도체 방전은 67.2%의 정확도를 노이즈(기본상태)는 59.6%의 정확도를 가지며 특히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 두 경우를 서로 오분류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RPD 이미지를 사용했을 때 전반적으로 96.42%의 정확도를 보이며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는 각각 94.7%, 92.0%로 PRPS 이미지에 비하여 27.5%, 32.4%정도 증가하였으나 전반적인 학습 수렴 속도는 느린 것을 확인하였다. Projection 이미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빠른 학습 수렴속도를 보이고 전체적인 분류 정확도는 PRPD의 경우보다 3.37%증가한 99.79%의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자유 도체 방전과 노이즈는 각각 100%, 99.1%의 정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는 설계된 부분방전 패턴 분류기 모델에서 제안된 Projection 기법을 통해 얻은 이미지 데이터가 노이즈와 유사한 패턴을 가지는 부분방전을 분류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Projection 기법의 경우 이미지 픽셀의 값이 노이즈 쪽에 큰 값을 부여하는 PRPD 이미지와 다르게 이미지 픽셀의 노이즈 쪽에 작은 값을 부여하고 부분방전 신호에 큰 값을 부여함으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줄이고 방전신호의 정보를 부각시켜 이미지 처리에 있어서 발생하는 PRPD기법의 문제를 다소 개선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Projection 기법의 경우 다른 부분방전 데이터 처리 기법과는 다르게 방전 크기의 값이 같은 경우에 대한 데이터의 정보가 손실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고자 향후연구 방향으로는 Projection 이미지에 방전 횟수의 정보를 보존 할 수 있도록 픽셀의 방전 크기를 방전 횟수로 나누어 평균값이 되도록 데이터를 처리 하여 진행 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Grant number : R19XO01-18)

References

1 
M. Yulong, Y. Qiang, W. Siying, Z. Fuping, T. Ju, Z. Ning, 2018, A New Method for Fault Diagnosis of SF6In- sulation Equipment Based on Decomposed Components Analysis, 2018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CMD), Vol. perth, No. wa, pp. 1-4DOI
2 
S. Li, J. Li, 6 2017,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of power equipment: review and prospective, in High Voltage, Vol. 2, No. 2, pp. 82-91DOI
3 
M. Iorgulescu, R. Beloiu, M. O. Popescu, 2010, Vibration monitoring for diagnosis of electrical equipment’s faults, 2010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miza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Vol. basov, No. , pp. 493-499DOI
4 
M. Haider, A. Doegar, R. K. Verma, 2018, Fault Identifi- cation in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rmal Image Pro- cessing,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ing, Pow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GUCON), Greater Noida, Uttar Pradesh, India, pp. 853-858DOI
5 
A. Bargigia, W. Koltunowicz, A. Pigini, July 1992, Detection of parallel discharges in gas insulated substation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Delivery, Vol. 7, No. 3, pp. 1239-1249DOI
6 
Li et al. Xiuwei, 2012, Partial discharge monitoring system for PD characteristics of typical defects in GIS using UHF method,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igh Voltage Engineering and Application, Vol. shanghai, pp. 625-628DOI
7 
L. Hao, P. L. Lewin, February 2010, Partial discharge source discri- mination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in IEEE Tran- 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7, No. 1, pp. 189-197DOI
8 
K. J. Park, G. S. Kim, S. K. Oh, W. Choi, J. T. Kim, 200812, A Study on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Using Neuro-Fuzzy Technique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Vol. 57, No. 12, pp. 2313-2321Google Search
9 
A. Contin, A. Cavallini, G. C. Montanari, G. Pasini, F. Puletti, June 2002, Digital detection and fuzzy classification of partial discharge signals, i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9, No. 3, pp. 335-348DOI
10 
B. Raghavendra, M. Krishna Chaitanya, 2017, Comparative analysis and optimal wavelet selection of partial discharge de-noising methods in Gas-insulated Substation, 2017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s in Electrical, Electronic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Bio-Informatics (AEEICB), Chennai, pp. 1-5DOI
11 
J. Li, T. Jiang, S. Grzybowski, C. Cheng, Dec 2010, Scale dependent wavelet selection for de-noising o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i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17, No. 6, pp. 1705-1714DOI
12 
Q. Zhang, J. Lin, H. Song, G. Sheng, 2018, Fault Identifi- cation Based on PD Ultrasonic Signal Using RNN, DNN and CNN, 2018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CMD), Vol. perth, No. wa, pp. 1-6DOI
13 
D. H. HUBEL, T. N. WIESEL, 1962, Receptive fields, binocular interaction and functional architecture in the cat's visual cortex., The Journal of physiology, Vol. 160, No. 1 (1962): 106-54DOI
14 
Y. Lecun, L. Bottou, Y. Bengio, P. Haffner, , Gradient- based learning applied to document recognition, in Proceedings of the IEEE, Vol. 86, No. 11, pp. 2278-2324DOI
15 
F. -C. Gu, 2020, Identification of Partial Discharge Defects in Gas-Insulated Switchgears by Using a Deep Learning Method, in IEEE AccessDOI
16 
H. Song, J. Dai, G. Sheng, X. Jiang, April 2018, GIS partial discharge pattern recognition via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nder complex data source, in IEEE Transactions on Dielectrics and Electrical Insulation, Vol. 25, No. 2, pp. 678-685DOI
17 
M. A. Mercioni, S. Holban, 2020, The Most Used Activation Functions: Classic Versus Current,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ystems (DAS), Vol. suceava, No. Romania, pp. 141-145DOI
18 
N. D. Marom, L. Rokach, A. Shmilovici, 2010, Using the confusion matrix for improving ensemble classifiers, 2010 IEEE 26-th Conven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n Israel, Vol. eliat, pp. 000555-000559DOI

저자소개

박준용(Jun-Yong Park)
../../Resources/kiee/KIEE.2021.70.3.515/au1.png

2019년: 수원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

2019년~현재: 동 대학원 석사과정

관심분야: Fuzzy Inference System, Data Pre- proces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Generative Adversaral Networks etc.

Phone: +82-10-2372-8756

E-mail : pjy8756@naver.com

오성권(Sung-Kwun Oh)
../../Resources/kiee/KIEE.2021.70.3.515/au2.png

1981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사

1983년~1989년: 금성산전연구소(선임연구원)

1993년: 연세대학교 전기공학과 공학박사

1996년~1997년: 캐나다 Manitoba 대학 전기 및 컴퓨터 공학과 Post-Doc

1993년~2004년: 원광대학교 전기전자 및 정보공학부 교수

2005년~현재: 수원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2002년~현재: 대한전기학회 및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편집위원

2013년~현재: Information Sciences 편집위원

관심분야: 퍼지 시스템, 퍼지-뉴럴 네트워크, 자동화 시스템, 고급 Computational Intelligence, 지능제어 등.

Phone: +82-31-229-8162

E-mail : ohsk@suw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