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Photovoltaic System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3. (Colle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Degradation, Solar cell, Silicon, LID, LeTID, Removal method

1. 서 론

열화는 발전 효율 유지에 대해 제한적인 상황을 만들어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태양전지(셀)에서 발생하는 Degradation(열화)은 원인에 따라 분류되어 진다. 웨이퍼에서부터 모듈까지의 소재나 공정 과정의 차이에 의해서 발생하게 된다. 보론이 도핑된 셀에서 발견되는 열화에는 빛에 의해서 보론과 산소가 결합하게 되어 발전 손실을 일으키는 열화 현상이 발생하게 한다 (1), (2). BO defect를 통해 나타난 열화를 Light Induced Degradation(LID)이라 말한다. LID는 Minority- carrier recombination으로 인해 단락 전류와 개방전압의 값이 낮아져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2). 소수 캐리어 수명의 저하를 발생시켜 보통 1~2%의 셀 효율을 감소시킨다. 고효율 전지인 PERC 구조에서도 LID로 인한 영향으로 약 10%의 효율 감소를 보이기도 하였다 (3). 보통 첫해의 열화율은 2%대로 평균 연간 열화율 0.6%에 비해 약 3배 이상의 수치를 보여준다. 이는 LCOE의 증가로 나타내어져 결국 발전 단가를 올리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L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nduced degradation(LeTID)의 경우 LID와 유사하지만, 광이 없는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도 발생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모듈을 실제 Cyprus 지역에 설치하여 관찰한 결과, LeTID로 인해 PERC cell에서는 3년 동안 7%의 효율 감소를 보이기도 하였다 (4). LID는 갈륨이 도핑된 경우나 n-type 웨이퍼의 경우 발생하지 않지만 LeTID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5). LeTID가 p-type cell에서 dopant 별로 취약한 Degradation을 예방하고 복원하는 것이 발전 효율의 제한 상황을 뛰어넘을 수 있는 키포인트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형 셀에서 열화의 메커니즘을 확인하고, 측정 및 회복 방법의 가속화 방안을 제시한다.

2. 본 론

2.1 LID의 원인

LID는 태양전지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열화 현상으로 구리와 같은 금속과 보론의 결합으로 인해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림 1과 같이 굉장히 미미한 열화율을 보이며, 보론과 산소의 결합으로 인한 열화의 영향이 더욱 크며 LID의 대표적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1 LID의 요인 별 Lifetime 감소 그래프 (2), (6)

Fig. 1 Lifetime reduction graph by factor of LID (2), (6)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1.png

그림 2 LID로 인한 전압과 전류의 열화와 재생성 그래프

Fig. 2 Voltage and current of degradation and regeneration graph due to LID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2.png

보론과 산소의 결합으로 인하여 단락전류와 개방전압의 값이 낮아져 결국 효율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2). 그림 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전압과 전류 모두 감소하게 되는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다시 재생성이 되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

실제 상업용 셀에서도 최대 10%까지의 효율 저하를 보이는 문제이므로 원인을 파악하여 여러 가지 시도로 이러한 LID를 상쇄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1), (3)

여기서 DFT(Density Functional Theory)계산을 통해 보론과 산소의 결합 구조는 Squared와 Staggered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라고 확인되었다. 1단계에서는 안정적인 BO Complex의 Squared 구조가 광이 조사 되면서 전자를 얻게 된다. 그림 3을 통해 각각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2단계에서 0.17eV라는 낮은 에너지 장벽으로 쉽게 Staggered 구조로 넘어가게 된다. p-type 셀에는 정공이 다량으로 존재하므로 +의 staggered 구조로 변화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Squared 구조로 가기 전에 0.3eV의 또다시 낮은 에너지 장벽으로 쉽게 변화가 이루어진다. 결국, 이러한 단계가 반복되며 태양전지의 전자와 정공을 소모시켜 소수 캐리어 수명을 감소시키게 되고 태양전지의 출력을 저하시키게 된다 (8).

그림 3 보론과 산소의 (a) Squared, (b) Staggered 결합 구조

Fig. 3 (A) Squared, (b) Staggered recombination structure of boron and oxygen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3.png

보론과 산소 결합의 형태는 annealed(초기), degraded(열화), regenerated(재생성)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내어진다. 상호 작용을 통해 완전순환구조를 보여주게 되는데, 예를 들어 태양전지에서 광만 조사가 된다면 광열화의 상태로 넘어가게 되지만 태양전지가 광과 높은 온도의 영향을 받게 될 경우, 광열화와 재생성의 상태가 동시에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보론과 산소의 결합은 광과 온도에 의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순환적인 불안정한 형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는 태양전지의 효율 유지에 있어서 부정적인 요인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게 된 것이다 (9).

2.2 LeTID의 원인

LID와 다르게 LeTID는 광이 없는 암 상태에서도 열에 의해서 성능 저하가 관찰되고 있다 (5). LID 현상은 1970년 무렵 발견되어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LeTID는 비교적 최근에 발견되었다. LID에서 겪고 있는 BO 혹은 FeB complex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10). 열화는 분 단위 혹은 며칠 사이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LeTID는 몇 년에 걸쳐 열화가 진행된다 (4), (11). 정확한 결함의 거동을 찾지 못했지만, 수많은 연구에서는 수소의 관여를 원인으로 가정하고 있다 (12). LeTID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LID와 분리하여야 하며, 온도에 따라 몇 주 동안의 테스트 시간이 필요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가속화가 가능하다. 그러나 75도 이상부터의 고온에서는 재생 또한 가속화가 되어 열화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없게 된다. LeTID 열화 정도가 소성 과정 중 벌크로 유입된 수소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 연구 결과가 있다. 수소의 양이 적을수록 LeTID 범위가 적게 관찰된다. 또한, LeTID의 열화 정도가 온도 상승과 함께 증가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많은 양의 수소가 대량으로 방출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12), (13).

금속 불순물과 수소의 결합이 원인이라는 관점도 있다. 금속-실리콘의 결합에서 빠져나온 일부 금속 불순물이 수소가 결합하여 활성화된다. 이러한 관점을 열화와의 연관성으로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태양전지와 모듈에서 흔히 사용되는 Co, Ni 및 Cu의 금속들이 실제로 상온에서 빠르게 냉각 후, 준안정상태의 침전물을 형성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림 4 Mi 원자와 불순물의 재조합 비활성 Mi-X 복합체 구조의 형성 과정

Fig. 4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recombination inactive Mi-X complex structure of Mi atoms and impurities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4.png

그림 4에서처럼 준 안정상태인 틈새 금속 침전물이 수소와 반응하여 새로운 복합체를 생성한다. 잠재 금속 침전물(Mp)이 고온(650℃ 이상)에서 소성하는 동안 틈새 금속 침전물(Mi)은 낮은 소성 온도에서 용해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급속한 담금질로 인해 이러한 Mi 원자는 불순물과 결합하여 재조합 비활성 Mi-X 복합체를 형성한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금속 불순물들의 매개 변수를 통해 열화의 회복 및 수명을 연관 지어 설명해볼 수도 있다 (14).

LeTID는 LID와 다르게 멀티크리스탈 라인 실리콘(mc-Si), 플로트존 실리콘(FZ-Si) 및 초크랄스키 실리콘 (Cz-Si) 모두에서 관찰된다 (8). 갈륨이 도핑된 p형 실리콘의 경우 BO-LID는 일어나지 않지만 위 같은 이유로 LeTID는 발생한다. B PERC 샘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갈륨 PERC 샘플에 30분 어두운 어닐링을 적용하면 광을 흡수할 때 LeTID와 유사한 열화 곡선이 유도되며, 이는 더 높은 어닐링 온도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어두운 어닐링이 그러한 LeTID 곡선을 유발하는 이유 또는 더 높은 어닐링 온도가 더 강한 분해 효과를 유발하는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갈륨 PERC 또한 LeTID에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2.3 LID 측정 방법

셀은 광 없이 고온으로 올라갈 경우, 초기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셀의 BO complex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10~30분 동안 200℃에서 광 없이 암 상태로 어닐링 한다. 초기 상태로 돌아온 셀을 140℃의 열판 위에 고정시킨다. 다양한 기간의 광의 조사 시간을 정한 후, 셀은 광 흡수 스테이션에서 제거되고 표준 테스트 조건 (STC, 25℃, 1000W/m$^{2}$)에서 태양광 시뮬레이터를 통해 테스트한다. 두 매개 변수 전압, 전류가 동일한 경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처음에는 매개 변수값이 점차 감소하고, 적절하게 15분 동안 광을 조사시킨 후, 재생 프로세스가 발생하고 반대로 추세가 설정되고 값이 증가한다 (1). 두 매개 변수 모두 LID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지만 단락 전류의 더욱 높은 변동을 보인다.

2.4 LeTID 측정 방법

LID와 분리하기 위해 일주일 동안 ICID = 9A의 전류를 주입하여 25℃에서 전처리를 수행해야 한다. LeTID 테스트는 현재 ICID = ISC – IMPP를 유도하여 75℃에서 일주일 동안 암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LeTID 측정을 가속화 하기 위하여 온도를 올려 측정할 수도 있다. 다른 두 제품의 모듈을 75℃ 이상으로 가속화 하였을 때, 온도가 높은 쪽이 더욱 가파른 열화를 일으킨다. 다만, 빠르게 열화가 일어난 모듈은 완전한 열화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속화 측정을 위해 무조건적으로 온도를 올릴 수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15), (16). 프로세스 후, 단락 전류(Isc)와 개방 회로 전압(Voc), 충전율(FF) 및 효율을 측정하여 열화 정도를 확인해 볼 수 있다.

2.5 LID 제거 방법

그림 5 시간에 따른 온도별 열화의 비율과 재생성 그래프

Fig. 5 Ratio and regeneration graph of degradation by temperature over time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5.png

200℃의 온도에서 약 10분간 어닐링을 시키면 초기의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 이는, BO defect의 결합을 분해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12). 하지만 다시 광이 유입 될 경우에 열화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어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되지 못한다. 재생성 상태에서 EVA 필름 공정 진행 시 200℃ 부근에서 진공 제작되어 이 과정을 통해 초기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그럼 다시 불안정한 상태로 전환되어 LID의 과정이 반복되게 될 수 있다. 그림 5와 같이 온도를 조절하여 재생성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온도에 따라 열화율과 회복 속도가 달라 과하게 온도를 올리거나 낮출 수 없다. 온도가 올라가면 열화와 재생성은 빠르게 일어나지만, 열화가 완벽하게 일어나지 않아 추후 다시 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반대로 온도를 낮춰 열화를 시키면 열화율은 크게 나타나지만, 시간이 길게는 300분까지도 소요될 수 있다 (1).

보론과 산소의 농도를 감소시켜 조절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보론 도핑농도를 감소시키면 벌크 내에 직렬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산소는 공정 단계에서 완전 제거가 어려워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되지 못한다. 플로트존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것도 산소 농도를 줄이는 방법이 될 수 있으나 고가로 제조되어 가격 경쟁력에서 떨어지게 된다 (17).

전류 주입 방식으로 열화의 정도를 낮출 수 있다. 3A의 전류, 약 200℃ 온도, 15에서 20분 정도의 과정을 거쳐주면 10%가 넘는 열화율에서 1%의 열화율로 빠르고 낮은 열화율을 보이며 회복이 되었다 (18). 결론적으로 광의 세기 및 온도를 조절하거나 전류주입을 통해서 회복을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캐리어가 유입되면서 회복이 가능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재열화가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므로 궁극적 제거 방안이 될 수 없다.

또한, BO complex와 수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수소가 패시베이션 역할을 하여 BO complex를 용해를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수소 농도가 높은 샘플의 결함 농도가 낮았으며, 이는 보론과 수소의 결합이 활성화되어 BO complex의 결합을 방지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19). 즉, LID의 측면에서는 수소 농도를 상승시킬 경우, LID 현상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다른 dopant를 이용하여 보론을 대체하려는 시도도 있다. 갈륨을 도핑시켰을 경우, 라이프타임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며, 보론만 도핑된 경우와 갈륨과 보론이 같이 도핑된 경우 모두에서 열화가 확인되었다 (20). 이는 보론이 LID의 주요 원인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LID의 경우, BO defect이 90% 이상을 차지하는 열화 요인이므로 보론을 대신하여 갈륨을 도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게 된다.

2.6 LeTID 제거 방법

LeTID를 완화 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바이어스를 걸어주거나 강한 광과 함께 높은 온도에서 어닐링 시켰을 때 열화를 줄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16). 단, 보론과 산소의 결합으로 인한 LID에는 효과적이나 반응이 다소 느린 LeTID에는 완벽하게 적용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소성 피크 온도를 낮추거나, 소성 후 냉각 속도를 낮출 경우에 열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소성 온도를 700℃에서 850℃ 사이에서 비교해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소성 온도에서는 금속 불순물이 균일하게 분배가 되지 않아 오히려 열화의 영향이 덜 가해질 수 있다. 결함 농도가 온도가 높은 쪽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소성 후에 냉각 속도가 느리면 불순물의 침전 형성이 더 커지게 되고, 이는 후에 불순물과 결합의 결함 농도를 감소시켜 열화가 억제될 수 있다 (21). 스크린 프린팅에서 은과 같은 paste는 800℃의 온도에서 공정이 이뤄지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이 적용되지 못할 수 있다 (22). 또한, 더 얇은 웨이퍼와 금속 불순물에 대한 게터링 단계가 LeTID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3). 소성과 비슷한 공정으로 진행이 되나, POCl3 게터링의 경우 도핑 단계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열화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다. 게터링 사이트를 확보하여 금속 불순물을 후면에 축적 시킬 수 있지만, 소성 공정과 비슷하게 고온으로 진행할 경우 불순물의 분배가 더욱 활발해질 수 있어 열화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24). 금속 불순물은 캐리어 수명에 영향을 끼치고 열화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실제 연구 결과로 불순물 농도가 높은 쪽의 LeTID 농도가 높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금속 불순물 제거가 셀 성능과 이어질 수 있음을 뜻한다 (25). 갈륨 셀 또한 회복을 시킬 수 있지만, 75℃로 열화와 재생을 동시에 진행하면 회복까지 1000시간 이상이 소모되어 보론 도핑 셀보다는 반응이 느리게 확인된다. 다만, 게터링 및 안정화가 된 보론 도핑 셀과 안정화가 되지 않는 갈륨 도핑 셀의 수명이 비슷하게 관찰된다. 갈륨 도핑 셀에 안정화가 수행된다면 보론 도핑 셀보다 더 긴 effective 라이프타임을 기대해 볼 수 있다 (5). 다른 방법으로는 140℃에서 레이저(44.8kW/m$^{2}$)를 쬐어주면 열화를 빠르게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시간이 지난 후 회복까지 살펴볼 수 있다 (26).

그림 6 소재 별로 일어나는 라이프타임 감소 비율 그래프 (5), (15), (16), (26)-(31).

Fig. 6 Lifetime reduction rate graph for each material (5), (14), (15), (26)-(31).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6.png

결론적으로 주요 요인으로 수소의 관여로 설정하여 수소를 조절함으로써 열화를 해결하려는 방안도 있다. 그러나 수소는 셀의 제조과정에 곳곳에 포함되어 있어 조절을 하는데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LeTID는 dopant에 무관하게 나타났고, 그림 6과 같이 p형 실리콘, n형 실리콘, Cz 실리콘과 다결정 실리콘 모두에서 발견되고 있다. 원인의 메커니즘과 같이 수소 농도를 제어하거나 금속 불순물을 제어함으로써 LeTID의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소재와 공정과 달리하여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열화 현상이 나타나므로 공통된 요인을 찾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계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3. 결 론

LID와 LeTID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광 조사 시간이 다소 오래 소요된다. 이러한 측정 및 회복을 가속시키기 위하여 온도를 높여줄 수 있지만, 과도하게 온도 및 광의 조사량(Sun)을 증가시킬 경우, 제대로 된 열화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p-type wafer의 관점에서 보론은 LID에 상대적으로 높은 출력 저하를 보여 효율 유지에 있어 불리한 점을 보였다. 갈륨의 경우에는 보론에 비해 LID에서는 유리한 점을 보이지만, LeTID 열화의 정확한 원인 규명이 없고, 열화 측정이 다소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두 dopant 모두 열화가 발생하나 갈륨은 재생 시간이 늦게 시작되며 회복에도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산업적인 측면에서는 갈륨이 LCOE를 낮출 수 있는 핵심이 될 수 있지만, 공정 과정에서의 낮은 편석 계수로 제조가 어려워 이러한 측면으로 해결 방안이 필요하다.

그림 7 수소와 LID, LeTID의 반응 구조 (X는 수소와 반응하는 임의의 물질)

Fig. 7 Reaction structure of hydrogen, LID, and LeTID (X is any substance that reacts with hydrogen)

../../Resources/kiee/KIEE.2021.70.8.1181/fig7.png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LID와 LeTID는 모두 수소와 관련이 있다는 관점이 있다. 그림 7처럼 수소가 대량으로 유입될 경우, 보론과 수소가 쌍으로 형성되어 산소와의 결합을 방지한다. 이 경우 LeTID는 수소와 반응하는 임의의 물질에 의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즉, 두 가지 열화가 상충하게 된다 (2), (32). 따라서 수소 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p형 셀에서 열화를 한 번에 제어할 수 있는 핵심일 수 있다.

현재까지 열화의 측정을 가속시키는 방법이 표준화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을 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각각 dopant 별 열화의 메커니즘과 측정 및 복원 방법의 표준 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국전력공사의 2021년 선정 기초연구개발 과제연구비에 의해 지원되었음(과제번호 : R21XO01-22)

References

1 
C. Lin, M. Glaeser, E. Malguth, S. Uredat, N. Bernhard, D. Lausch, pp 978-982 2017, Accelerated light-induced degradation test for industrial application, In: 33rd European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erence and ExhibitionGoogle Search
2 
J. Lindroos, H. Savin, April 2016, Review of light-induced degradation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147, pp. 115-126DOI
3 
S. Kim, S. Jung, Y. Kim, J. Kim, December 2019, Anti-LID Process with a Remote Direct Heating Method Using a Half-Bridge Resonance Circuit for a PERC Solar Cell Module, Energies, Vol. 13, No. 1, pp. 110Google Search
4 
F. Kerstena, F. Fertiga, K. Pettera, B. Klötera, E. Herzoga, M. Strobela, J. Heitmannb, J. Müller, September 2017, System performance loss due to LeTID, Energy Procedia, Vol. 124, pp. 540-546DOI
5 
N. Grant, J. Scowcroft, A. Ponton, M. Al-Amin, P. Altermatt, J. Murphy, November 2020, Lifetime instabilities in gallium doped monocrystalline PERC silicon solar cells,, Vol. 206 , No. 110299DOI
6 
A. Inglese, A. Focareta, F. Schindler, J. Schön, J. Lindroos, M. C. Schubert, H. Savin, 2016, Light-induced degradation in multicrystalline silicon: The role of copper, Energy Procedia, Vol. 92, pp. 808-814DOI
7 
C. Lin, M. Glaeser, E. Malguth, S. Uredat, N. Bernhard, D. Lausch, 2017, Accelerated light-induced degradation test for industrial application, In 33rd European Photovoltaic Solar Energy Conference and Exhibition, pp. 978-982Google Search
8 
Vaqueiro-Contreras, Michelle, April 2019,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boron oxygen light induced degradation in silicon photovoltaic cells,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125, No. 18DOI
9 
T. Niewelt, J. Schön, W. Warta, S. Glunz, C. Schubert, October 2016, Degradation of crystalline silicon due to boron–oxygen defects, Vol. 7, No. 1, pp. 383-398Google Search
10 
F. Kersten, P. Engelhart, H. Ploigt, A. Stekolnikov, T. Lindner, F. Stenzel, M. Bartzsch, A. Szpeth, K. Petter, J. Heitmann, J. Müller, June 2015, A new mc-Si degradation effect called LeTID, IEEE, pp. 1-5DOI
11 
C. Vargas, K. Kim, G. Coletti, D. Payne, C. Chan, S. Wenham, Z. Hameiri, 2018, Carrier-induced degradation in multicrystalline silicon: Dependence on the silicon nitride passivation layer and hydrogen released during firing,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8, No. 2, pp. 413-420DOI
12 
C. Sen, C. Chan, P. Hamer, M. Wright, U. Varshney, S. Liu, D. Chen, A. Samadi, A. Ciesla, C. Chong, B. Hallam, M. Abbott, May 2019, Annealing prior to contact firing: A potential new approach to suppress LeTID,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200DOI
13 
U. Varshney, M. Abbott, A. Ciesla, D. Chen, S. Liu, C. Sen, M. Kim, S. Wenham, B. Hoex, C. Chan, 2019, Evaluating the impact of SiNx thickness on lifetime degradation in silicon,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9, No. 3, pp. 601-607DOI
14 
C. Daniel, April 2020, Elucidating the Mechanics Behind L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nduced Degradation in Silicon Solar CellsDOI
15 
D. Chen, P. Hamer, M. Kim, C. Chan, A. Wenham, F. Rougieux, Y. Zhang, M. Abbott, B. Hallam, December 2019, Hydrogen-induced degradation: Explaining the mechanism behind light-and elevated temperature-induced degradation in n-and p-type silicon,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207, No. 110353DOI
16 
H. Sio, H. Wang, Q. Wang, C. Sun, W. Chen, H. Jin and D. Macdonald, March 2018, L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nduced degradation in p-type and n-type cast-grown multicrystalline and mono-like silicon,, vol. 182, pp. 98-104DOI
17 
B. Hallam, A. Herguth, P. Hamer, N. Nampalli, Wilking, M. Abbott, S. Wenham, G. Hahn, December 2017, Eliminating light-induced degradation in commercial p-type Czochralski silicon solar cells, Applied Sciences, Vol. 8, No. 1DOI
18 
Q. Wei, F. Miao, W. Lian, H. Qian, Z. Ni, August 2018, Optimization of light induced degradation regeneration of p-type mono PERC solar cell by electrical injection method, In AIP Conference Proceedings, Vol. 1999, No. 1, pp. 110008DOI
19 
R. Eberle, W. Kwapil, F. Schindler, S. W. Glunz, M. C. Schubert, September 2017, Firing temperature profile impact on light induced degradation in multicrystalline silicon, Energy Procedia, Vol. 124, pp. 712-717DOI
20 
S. Wilking, A. Herguth, G. Hahn, May 2013, Influence of hydrogen on the regeneration of boron-oxygen related defects in crystalline silicon,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113, No. 19DOI
21 
M. Forster, E. Fourmond, F. E. Rougieux, A. Cuevas, R. Gotoh, K. Fujiwara, S. Uda, M. Lemiti, January 2012, Boron-oxygen defect in Czochralski-silicon co-doped with gallium and boron, Applied Physics Letters, Vol. 100, No. 4DOI
22 
C. Chan, D. Payne, D. B. J. Hallam, M.D Abbott, T. H. Fung, A. M. Wenham, B. S. Tjahjono, S. R. Wenham, November 2016, Rapid stabilization of high-performance multicrystalline p-type silicon PERC cells,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6, No. 6, pp. 1473-1479DOI
23 
D. Skorka, A. Zuschlag, G. Hahn, 2018, Firing and gettering dependence of effective defect density in material exhibiting LeTID, AIP Publishing LLC, vol. 1999, Vol. no. 1, No. pp. 130015, pp. augustDOI
24 
A. Zuschlag, D. Skorka, G. Hahn, June 2016, Degradation and regeneration analysis in mc-Si, In 2016 IEEE 43rd Photovoltaic Specialists Conference (PVSC), pp. 1051-1054DOI
25 
S. Chakraborty, Y. Huang, M. Wilson, A. G. Aberle, J. B. Li, July 2018, Mitigating l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nduced degradation in multicrystalline silicon wafers and PERC solar cells using phosphorus diffusion gettering, physica status solidi, Vol. 215, No. 13DOI
26 
D. N. R. Payne, C. E. Chan, B. J. Hallam, B. Hoex, M. D. Abbott, S. R. Wenham, D. M. Bagnall, January 2016, Acceleration and mitigation of carrier‐induced degradation in p‐type multi‐crystalline silicon, physica status solidi RRL, Vol. 10, No. 3, pp. 237-241DOI
27 
C. Sen, C. Chan, D. Chen, M. Wright, U. Varshney, M. Kim, A. Samadi, S. Liu, A. Ciesla, C. Chong, B. Hallam, M. Abbott, 2020, Different extent and behaviour of LeTID in the past and current PERC silicon solar cells, In Asia‐Pacific sol Res Conf, Vol. 2, pp. 3-6Google Search
28 
J. Schmidt, D. Bredemeier, D. C. Walter, 2019, On the defect physics behind light and elevated temperature- induced degradation (LeTID) of multi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Vol. 9, No. 6, pp. 1497-1503DOI
29 
D. Chen, P. G. Hamer, M. Kim, T. H. Fung, G. Bourret-Sicotte, S. Liu, C. E. Chan, A. Ciesla, R. Chen, M. D. Abbott, B. J. Hallam, S. R. Wenham, 2018, Hydrogen induced degradation: A possible mechanism for light-and elevated temperature-induced degradation in n-type silicon,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185, pp. 174-182DOI
30 
M. Winter, D. C. Walter, J. Schmidt, 2021, Carrier Lifetime Degradation and Regeneration in Gallium-and Boron-Doped Monocrystalline Silicon Materials, IEEE Journal of Photovoltaics, pp. 1-7DOI
31 
W. Kwapil, J. Dalke, R. Post, T. Niewelt, March 2021, Influence of Dopant Elements on Degradation Phenomena in B‐and Ga‐Doped Czochralski‐Grown Silicon, Solar RRL, Vol. 5, No. 5, pp. 2100147DOI
32 
H. Li, X. Wang, F. Lv, Y. Wang, S. Cheng, C. Zhou, W. Wang, November 2020,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LID and LeTID in Czochralski-Grown Monocrystalline Silicon, Energies, Vol. 13, No. 22DOI

저자소개

차예원(Yewon Cha)
../../Resources/kiee/KIEE.2021.70.8.1181/au1.png

S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lectric engineering from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S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ss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er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lar cells and energy.

정성진(Sungjin Jeong)
../../Resources/kiee/KIEE.2021.70.8.1181/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Energy and Mechanical Engineering fro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ongyeong, Korea.

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ss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lar cells and energy

김성헌(Sungheon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181/au3.png

He received the B.S. degrees in College of Engineering 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for Information & Electronics from Kyunghee University, Yongin, Korea.

He is currently pursuing a M.S. degress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lar cells and energy.

김영국 (Youngkuk Kim)
../../Resources/kiee/KIEE.2021.70.8.1181/au4.png

He received B.S. and M.S. degrees in Physics from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He is Ph.D. degree in Photovoltaic System Engi- 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research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Photo- voltaic and renewable energy.

이준신 (Junsin Yi)
../../Resources/kiee/KIEE.2021.70.8.1181/au5.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in 1989.

He received the M.S and Ph. D.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University at Buffalo, U.S.A. in 1991 and 1994,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as a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Suwon,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solar cells and Thin Film Transis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