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윤
(Chaiyoon Lim)
1iD
허준서
(Junseo Heo)
2iD
좌동경
(Dongkyoung Chwa)
†iD
-
(Dep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Korea.)
-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Disturbance observer, Integral sliding mode control, Quadrotor systems, Robust control
1. 서 론
쿼드로터와 같은 비행 시스템은 모바일 로봇, 선박, 호버크래프트 등과 같이 지상 및 수면에서 움직이는 시스템과는 달리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1-6). 구동기가 동작하지 않고도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모바일 로봇(2,3)과는 달리 쿼드로터가 공중에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장착된 구동기가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일정한 추력을 생성해야 한다. 또한, 지면과 맞닿아 있어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일부 외란의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시스템과는 반대로 쿼드로터는 외부 외란이 감쇄되지 않고 시스템에 바로 영향을 준다. 이에 따라
쿼드로터 시스템의 보다 안정적이고 강인한 비행 성능을 위해 외부 외란에 강인한 제어 방법들이 연구되었다(5-14).
PID 제어기와 LQR을 사용한 제어 방법(5-7)으로 쿼드로터 시스템이 외부 외란에 강인하도록 연구되었다. 하지만 (5-7)은 대표적인 선형 시스템의 제어 방식으로, 선형화한 평형점 주변에서 벗어날수록 미처 고려하지 못했던 시스템의 강한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제어성능이
저하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쿼드로터가 가지는 비선형 동특성을 고려하여 보상하는 제어기도 연구되었다. 수학적인 능동 외란 제거 제어 기법(Active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 ADRC)(8,9), 궤환 선형 제어(10,11), 지능 제어에 속하는 퍼지 논리 제어(12-14) 등의 제어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강인 제어 방법들도 보상할 수 있는 외란이 제한되어 있거나, 통신 지연과 측정되는 노이즈로 인해 쿼드로터의
상태변수 측정이 되지 않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외란을 제거하거나 보상하는 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외란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 및
한계를 보상하기 위한 외란 관측 기반의 제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15-18).
Alberto Castillo(15)는 쿼터니안 방정식을 기반으로 코리올리력 항을 추정하고 보상하여 시스템에 높은 외란이 존재할 때 정확하고 공격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선형 PID
제어 기반 외란 관측기를 설계했다. 이러한 방법은 모터의 동역학을 고려하여 외란 관측기를 설계하여 외란을 관측하는 동시에 보상하도록 설계되었지만,
1차 모델로 설계하였기 때문에 외란 일치 조건이 유지되지 않고, 시스템 동역학의 비선형항을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점에 도달한다. When- Hua Chen(16)의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에서는 외란 및 불확실성 추정 및 감쇠를 기반으로 하는 외란 관측기 기반 제어 방법들을 소개한다. 외란 수용 제어 및 반외란
합성 계층 제어(18)는 다중의 외란을 갖는 시스템을 다루며 고전적인 제어 방법과 복합 계층적 방해 방지 제어 방법을 통해 외란 감쇠 및 제거를 다루었다. 하지만, 이러한
제어 기법들(16-18)에서도 외부의 외란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을뿐더러 외란을 추정하기 위한 상태변수 측정 센서 비용이 많이 들며, 외란이 가지는 보수성과 불확실성을 완화하지
못하는 한계점(18)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 및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식별 방법을 사용하여 쿼드로터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을 생성하고, 식별된 시스템의
모델을 기반으로 상태변수를 적분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로 관측하여 외란을 추정하고, 보상한다. 외란 관측기를 기반으로 적분 슬라이딩 모드 강인 제어기
설계를 제안하고, 제안한 제어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2. 쿼드로터 시스템 동역학 모델링
쿼드로터 시스템은 $[x,\:y,\:z,\:\phi ,\:\theta ,\:\psi]^{T}\in\vec{R}^{6}$의 상태를 가지며, $[x,\:y$$,\:z]^{T}\in\vec{R}^{3}$는
관성 좌표계를 기준으로 한 쿼드로터의 위치를 나타내고, $[\phi ,\:\theta ,\:\psi]^{T}\in\vec{R}^{3}$는 쿼드로터
좌표계의 축을 기준으로 한 쿼드로터의 회전 각도 롤, 피치, 요를 의미한다. 자세각 $\phi$, $\theta$는 $[-\pi /2,\:\pi /2]$의
범위에, $\psi$는 $[-\pi ,\:\pi]$의 범위에 속한다. 원심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19-21) 간략화한 쿼드로터 시스템의 동역학 방정식은
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I_{\phi}$, $I_{\theta}$, $I_{\psi}$는 각각 $\phi$, $\theta$, $\psi$
회전에 의한 관성 모멘트를, $m$은 쿼드로터 시스템의 총 질량을, $g$는 중력 가속도를 나타낸다. $l$을 쿼드로터 시스템에서 기체 중심으로부터
로터까지의 거리를, $b$는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항력 상수로 나타내면 $z$, $\phi$, $\theta$, $\psi$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은
각각 $u_{1}=T_{1}+T_{2}+T_{3}+T_{4}$, $u_{2}=l(T_{1}-T_{2}-T_{3}+T_{4}$$)$, $u_{3}=l(T_{1}+$$T_{2}-T_{3}-T_{4})$,
$u_{4}=-b(T_{1}-T_{2}+T_{3}-T_{4})$이다.
일반적으로 쿼드로터 시스템이 비행할 때 모델링 오차를 포함한 외부 외란이 존재한다. 따라서 쿼드로터 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앞서 정리한
쿼드로터의 동역학 방정식에 외란을 포함하여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림. 1. 쿼드로터 시스템
Fig. 1. Quadrotor system
쿼드로터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낸 식 (1)의 동역학 방정식에서 나타나는 각 상태변수의 외란 $[d_{x},\:d_{y},\:d_{z},\:d_{\phi},\:d_{\theta},\:d_{\psi}]^{T}\in\vec{R}^{6}$을
고려하여 이를 포함한 식은
로 표현된다(22).
3. 적분 슬라이딩 모드 외란 관측기 기반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
본 절에서는 상태변수 $\bar{\Omega}$를 모두 알고 있는 경우에 대해 적분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기반 적분 슬라이딩 모드 강인 제어기를 설계한다.
먼저 적분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23)를 간단히 소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기를 설계한다.
앞 절에서 다룬 쿼드로터 시스템의 동역학 식 (2)를
처럼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bar{\Omega}$는 측정 가능한 시스템의 상태변수, $\hat f$는 알아야 하는 비선형 함수이고, $\bar{d}_{\Omega}=[\bar{d}_{x},\:\bar{d}_{y},\:\bar{d}_{z},\:\bar{d}_{\phi},\:$$\bar{d}_{\theta},\:\bar{d}_{\psi}]^{T}$은
측정할 수 없는 외란이다. 식 (3)의 동역학 방정식에서 알 수 없는 값인 외란 $\bar{d}_{\Omega}$을 추정하는 것이 설계하는 적분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의 목표이다. 외란
$\bar{d}_{\Omega}$의 추정치 $\hat{\bar{d}}_{\Omega}$는
의 식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슬라이딩 평면은 $S_{e}=\dot s_{e}+ k s_{e}$, $s_{e}$$=e_{s}+e_{si}$, $\dot
e_{si}=\alpha\tanh(e_{s})$으로 설정하고, 여기서 $k$는 양의 상수이고, $k_{0}=2k$, $k_{1}=k^{2}$이며 외란
오차 $\tilde{\bar{d}}_{\Omega}:=\bar{d}_{\Omega}-\hat{\bar{d}}_{\Omega}$는 양의 상수 $\alpha$에
대하여 $\left\|\tilde{\bar{d}}_{\Omega}\right\|<\alpha$를 만족한다고 가정한다.
3.1 쿼드로터 시스템의 고도 강인 제어기
강인 고도 제어기는 쿼드로터 시스템의 고도를 나타내는 상태변수 $\bar{z}$가 원하는 값 $\bar{z}_{d}$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래 첨자
$d$를 포함한 $[\bar{x}_{d},\:\bar{y}_{d},\:\bar{z}_{d},\:{\bar{\phi}}_{d},\:{\bar{\theta}}_{d},\:{\bar{\psi}}_{d}]^{T}$의
값은 상태변수들이 도달해야 하는 원하는 값을 의미한다. 고도 추종 오차를 $e_{z}:=\bar{z}-$$\bar{z}_{d}$로 정의하고, 적분
슬라이딩 평면을
으로 설정한다. 위의 식에서 $k_{z 1}> 0$, $k_{z 2}>0$이다.
고도 제어를 위한 입력 $u_{1}^{*}$ 유도를 위해 식 (5)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이다. 식 (6)은 식 (2)를 통해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정리 1 : 식 (2)로 나타낸 고도 $z$의 동역학 방정식을 고려하여 이전 절의 고도 제어기와 비슷하게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으로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k_{z3}>\alpha$, $k_{z 4}> 0$이고, $sgn(\bullet)$은 부호 함수이다. 쿼드로터 시스템의
고도 추종 제어를 위해 식 (8)과 같은 제어입력을 사용하면 궁극적인 유계(ultimated bou- nded)를 가지는 추종 오차 $e_{z}$가 외란 추정 오차 $\widetilde{\bar{d}}_{z}$에
궁극적인 유계가 종속됨을 알 수 있다. 정리 1에 의해 외란 추정 오차 $\widetilde{\bar{d}}_{z}$가 $0$으로 수렴됨에 따라 고도
$z$ 제어기는 안정하고, 적분 슬라이딩 평면 식 (5)와 고도 추종 오차 $e_{z}$가 $0$으로 수렴된다.
증명 : 리아푸노프 함수 $V_{z}$를
으로 설정하고, 이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으로 나타난다. 리아푸노프 함수 $\dot V_{z}$가 식 (10)에 의해 음의 한정 함수가 되고, 식 (9)에 의해 함수 $V_{z}$가 양의 한정 함수가 되므로 슬라이딩 평면 $s_{z}$의 궁극 유계가 유한시간 내에 $0$으로 점진적으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서 $e_{z}$와 $\dot e_{z}$가 슬라이딩 평면에 유지되어 점진적으로 $0$으로 수렴됨에 따라, $\bar{z}$가
$\bar{z}_{d}$에 점진적으로 수렴하므로 고도 추종오차 $e_{z}$가 $0$으로 수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3.2 쿼드로터 시스템의 위치 제어를 위한 가상 자세각 생성기 및 자세각 강인 제어기
쿼드로터 시스템의 원하는 자세각 ${\bar{\psi}}_{d}$은 움직이는 명령에 의해 주어지지만, ${\bar{\phi}}_{d}$와 ${\bar{\theta}}_{d}$는
위치 제어를 위해 위치 및 자세각을 동시에 제어하기 위한 가상의 자세각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한 가상의 힘을
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a_{x}$, $a_{y}$, $a_{z}$, $b_{x}$, $b_{y}$, $b_{z}$는 양의 상수이다. 가상의 힘은
쿼드로터 시스템을 전방과 측면으로 이동시키는 힘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가상의 힘 식 (12)를 쿼드로터의 회전축을 따라 변환하여 표현하면
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가상의 힘 식 (11)을 통해 가상 자세각을
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식 (14)로 생성된 자세각 $\phi^{*}$, $\theta^{*}$을 각각 원하는 위치와 자세각으로 추종하기 위한 원하는 값 $\phi_{d}$, $\theta_{d}$으로
각각 사용될 수 있다(23).
자세각 제어기는 상태변수 $\bar{Q}=[{\bar{\phi}},\:{\bar{\theta}},\:{\bar{\psi}}]^{T}$가 각각 원하는
값 ${\bar{\phi}}_{d}:=\phi^{*}$, ${\bar{\theta}}_{d}:=\theta^{*}$, ${\bar{\psi}}_{d}$을
따라가도록 제어한다. 쿼드로터 시스템의 알 수 있는 상태값 $\bar{Q}$와 원하는 값 $\bar{Q}_{d}=[{\bar{\phi}}_{d},\:{\bar{\theta}}_{d},\:{\bar{\psi}}_{d}]^{T}$
사이의 추종 오차를 $e_{Q}:=\bar{Q}-\bar{Q}_{d}$로 정의한다. 시스템의 자세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u_{Q}:=[u_{2},\:u_{3},\:u_{4}]^{T}$을
유도하기 위해 적분 슬라이딩 평면을
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k_{Q 1}>0$, $k_{Q 2}>0$이다.
식 (15)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이다. 위의 식 (16)은 식 (2)를 통해
와 같이 표현할 수 있고, 여기서 $\bar{d}_{Q}=[\bar{d}_{\phi},\:\bar{d}_{\theta},\:\bar{d}_{\psi}]^{T}$이다.
정리 2 : 식 (2)에서 나타낸 자세각 방정식을 고려하여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와 같이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I_{Q}=[I_{\phi},\: I_{\theta},\: I_{\psi}]^{T}$, $f_{Q}=[f_{\phi},\:f_{\theta},\:f_{\psi}$$]^{T}$,
$f_{\phi}=(I_{\psi}-I_{\theta})\dot{\bar{\theta}}\dot{\bar{\psi}}/I_{\phi}$, $f_{\theta}=(I_{\phi}-I_{\psi})\dot{\bar{\phi}}\dot{\bar{\psi}}/I_{\theta}$,
$f_{\psi}=0$이다.
증명 : 자세각 제어기의 안정성과 목적을 증명하기 위해 리아푸노프 함수 $V_{Q}$를
으로 설정하고, 이를 시간에 대해 미분하면
이다. 식 (20)에서 $k_{Q3}=[k_{\phi 3},\:k_{\theta 3},\:k_{\psi 3}]^{T}>\alpha$, $k_{Q 4}=[k_{\phi
4},\:k_{\theta 4},\:k_{\psi 4}]^{T}$$>0$이므로 식 (18)의 제어기를 사용하면, 정리 1의 $s_{z}$와 같은 방법으로 $s_{Q}$는 유한한 시간에 $0$으로 수렴한다. $s_{Q}$가 점진적으로 $0$으로
수렴될 때, $\bar{Q}$는 점근적으로 $\bar{Q}_{d}$에 수렴하는 결과로부터 추종 오차 $e_{Q}$가 $0$으로 수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4. 모의실험
본 장에서는 제안하는 적분 슬라이딩 모드 기반 관측기 및 제어기의 제어 성능의 타당성을 MATLAB Simulink로 구축한 쿼드로터 시스템 실험환경에서
모의실험으로 검증한다. 쿼드로터 시스템 모델링 및 모델 식별, 매개변수 추정을 통해 실제 쿼드로터 시스템의 제어를 가정한 환경을 구성한다.
4.1 쿼드로터 시스템 식별 및 매개변수 추정
쿼드로터 시스템의 제어기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동역학 방정식에서 시스템에 존재하는 다양한 파라미터 값을 모두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 쿼드로터 시스템
모델 식별에 사용한 기체는 Parrot사의 Mambo이다. 기체의 무게는 $0.0709$kg, 기체의 중심으로부터 각 4개의 모터 및 프로펠러까지의
거리는 $0.0605$m로, 각각 실제 측정 파라미터인 $m$과 $l$로 사용한다. 시스템 식별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시스템에 마커를 부착하여
VICON 모션 캡쳐 장치와 MATLAB Simulink를 이용하여 식별하고자 하는 쿼드로터 시스템의 위치 및 각도 정보를 획득했다. 쿼드로터 시스템의
자세 및 위치 정보는 비행 후 실시간으로 PC에 저장되고, 획득한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해 시스템 식별 기법을 이용해 외란을 포함한 쿼드로터 모델 식을
획득했다. 시스템 식별을 통한 파라미터 추정은 비선형 최소 제곱 방법(Least squared method)과 신뢰 영역 반영 방법(Trust region
refelective method)을 이용하였고, 비용함수는 합계오차(Sum squared error)를 사용하였다.
쿼드로터 시스템에서 측정한 파라미터와 획득한 비행 데이터를 바탕으로 추정한 쿼드로터 시스템의 파라미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쿼드로터 시스템의 매개변수
Table 1. Parameters of quadrotor system
식 (2)의 추정한 파라미터(관성 모멘트)
|
$I_{\phi}= 0.0153$, $I_{\theta}= 0.0250$, $I_{\psi}= 0.0208$.
|
4.2 모의실험
모의실험의 동역학 모델은 식 (2)와 같고, 4.1절에서 얻은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모의실험 환경을 구성하였다. 보다 실질적인 형태를 고려하여 (25-27)에서와 같이 복잡한 형태의 외란을 가해주었다. 각 상태변수에 가해준 외란은 $d_{x}=0.0975\sin(t)$$+0.075\sin(0.7t)+0.0045\sin(0.3t)+0.03\sin(2t)+0.105\sin$$(0.1t)$,
$d_{y}$$=0.096\sin(t)+0.06\sin(0.9t)+0.0048\sin(0.2t)+$
$0.0024\sin(4t)+0.036\sin(0.1t)$, $d_{z}=0.1\sin(2t)+0.05\sin$
$(0.7t)+0.003\sin(0.3t)+0.02\sin(2t)+0.07\sin(0.1t)$,
$d_{\phi}=[\pi /120]\sin(10t)$, $d_{\theta}=[\pi /1$$20]\cos(10t)$,
$d_{\psi}=$$[\pi /180]\sin(20t)$이다. 모의실험의 시나리오는 그림 2의 3차원 그래프와 같이 사각형 궤적을 추종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3차원의 공간에서 쿼드로터 시스템의 초기 위치 ($x$, $y$, $z$)를 ($0$,
$0$, $0$)으로 설정하였다. 모의실험 시나리오는 고도가 $1$m의 값을 유지하도록 설정하여, $0$초부터 $15$초까지 ($0.3$, $0.3$,
$1$)의 위치로 이동하고 $15$초에는 ($0.3$, $-0.3$, $1$)의 위치로, $30$초에는 ($-0.3$, $-0.3$, $1$)의 위치로,
$45$초에는 ($-0.3$, $0.3$, $1$)의 위치로 이동하는 시나리오이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에서는 부호 함수를 사용하여 설계하지만, 슬라이딩 평면에 도달한 상태에서 채터링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슬라이딩 평면상에서의 채터링 현상 제거를 위해 식 (8), (18)에서 부호 함수 대신에 연속함수 hyperbolic tangent를 사용한다. 모의실험에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외란 관측기 설계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alpha$=$0.2000$, $k$=$0.5$이고,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 설계에 사용된 파라미터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제어기 설계 매개변수
Table 2. Controller design parameters
제어기 설계 매개변수
|
$a_{x}= a_{y}= a_{z}= 3.3$, $b_{x}= b_{y}= b_{z}= 3$,
$k_{z 1}= 4$, $k_{z 2}= k_{z 3}= 2$, $k_{z 4}= 10$,
$k_{Q1}=[10,\:10,\:4.5]^{T}$, $k_{Q2}=[10,\:10,\:2]^{T}$,
$k_{Q3}=[10,\:10,\:2]^{T}$, $k_{Q4}=[20,\:20,\:1]^{T}$
|
제안하는 강인 제어 방법의 제어성능 비교를 위해 제안하는 제어기에서 외란 관측기를 제외한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만을 사용한 제어 기법과 시스템의
외란 관측을 위해 흔히 쓰이는 비선형 외란 관측기(24) 기반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모의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 2에서 검은색 점선은 원하는 위치 및 자세각의 값이 생성되는 것이고, 파란색 실선은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만을 사용한 제어 결과이고, 빨간색 실선은
비선형 외란 관측기 기반 적분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의 제어 결과이고, 검은색 실선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의 제어 결과로, 비교한 다른 제어
방법들과 대조하여 제안하는 외란 관측기의 성능과 제어기의 성능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림 2에서는 $xyz$평면에서 시스템이 사각형 궤적의 시나리오를 추종했을 때의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낸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그림 3는 각각 위치 $x$, $y$, $z$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그래프로 확연히 관찰할 수 있는데, 제안한 방법이 비교한 다른 제어 방법보다 $x$,
$y$ 추종에서 외란을 잘 보상하여 원하는 목표값으로 도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에서는 각 제어기법의 각 위치의 추종 오차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제안하는 제어기법의 안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각 $\phi$, $\theta$,
$\psi$의 변수에 주어진 외란과 이를 추정한 값을 그림 5에 나타내었다. 각 그림에 나타난 것으로 외란 및 상태에 대한 관측이 우수하여 시스템의 외란을 잘 보상하고, 이에 따라 제어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결 론
외부 외란이 감쇄되지 않고 시스템에 바로 영향을 주어 상태변수에 그대로 외란이 나타나는 쿼드로터 시스템의 안정적이고 강인한 제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적분 슬라이딩 모드 관측 및 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외란 관측기를 설계하여 각 변수에 가해지는 외란을 추정하였고, 이를 제어기에서 보상하여 원하는
값을 잘 따라가는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제어기는 외란을 관측하여 이를 보상할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증명하였으며, 또한 모의실험을 통해 관측기
및 제어기의 추정 성능 및 제어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본 논문을 통해 제안된 기법을 다른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그림. 2. 사각형 궤적 시나리오 모의실험 결과 –$xyz$평면(검은색 점선: 원하는 값, 파란색 실선: ISMC, 빨간색 실선: 비선형 외란 관측기
기반 ISMC, 검은색 실선: 제안된 기법)
Fig. 2. Simulation result of the square trajectory scenario –$xyz$ plane (black dotted:
reference, blue solid: ISMC, red solid: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based ISMC,
black solid: proposed method)
그림. 3. 사각형 궤적 추종 모의실험 $x$, $y$, $z$ 위치 결과(검은색 점선: 원하는 값, 파란색 실선: ISMC, 빨간색 실선: 비선형
외란 관측기 기반 ISMC, 검은색 실선: 제안된 기법)
Fig. 3. $x$, $y$, $z$ position results of the square trajectory tracking simulation
(black dotted: reference, blue solid: ISMC, red solid: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based ISMC, black solid: proposed method)
그림. 4. 사각형 궤적에서 $x$, $y$, $z$ 위치 추종 오차(파란색 실선: ISMC, 빨간색 실선: 비선형 외란 관측기 기반 ISMC, 검은색
실선: 제안된 기법)
Fig. 4. $x$, $y$, $z$ position tracking error in the square scenario (blue solid:
ISMC, red solid: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based ISMC, black solid: proposed
method)
그림. 5. 사각형 궤적에서 추정된 $\phi$, $\theta $, $\psi$ 외란(검은색 점선: 추정해야 하는 외란값, 빨간색 실선: 비선형
외란 관측기, 검은색 실선: 제안하는 외란 관측기)
Fig. 5. Estimated $\phi$, $\theta $, $\psi$ disturbances in the sqaure scenario (black
dotted: disturbances value to be estimated, red solid: nonlinear disturbance observer,
black solid: proposed disturbance observer)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2020R1A2C101226111).
References
J-H. Li, Mar 2016, Path tracking of underactuated ships with general form of dynamics,
Int. J. Control, Vol. 89, No. 3, pp. 506-517
A. Khanpoor, A. K. Khalaji, S. A. A. Moosavian, May 2014, Dynamics modeling and control
of a wheeled mobile robot with omni-directional trailer, Iranian Conf. Elect. Eng.
Teheran Iran, pp. 1254-1259
Z. Li, J. Deng, R. Lu, Y. Xu, J. Bai, C.-Y. Su, Jun 2016, Trajec- tory-tracking control
of mobile robot systems incorporating neural-dynamic optimized model predictive approach,
IEEE Trans. Syst. Man Cybern. Syst., Vol. 46, No. 6, pp. 740-749
M. Jiang, Jul 2021, Binocular Stereo Vision Intelligent Control Frame- work for the
Landing Position of Quadrotor UAV Based on Fuzzy Control, Int. Conf. Commun. and Electron.
Syst. (ICCES), Vol. coimbatre, No. india, pp. 1348-1352
C. Chen, N. Duan, S. Li, Z. Xu, May 2021, Attitude control for quadrotor UAV with
dead zone and external disturbance, Youth Academic Annu. Conf. Chinese Assoc. of Automat.
(YAC), Vol. nanchang china, pp. 871-875
S. You, K. Kim, J. Moon, W. Kim, Sep 2020, Extended State Observer Based Robust Position
Tracking Control Using Nonlinear Damping Gain for Quadrotors With External Disturbance,
IEEE Access, Vol. 8, pp. 174558-174567
J. Li, Y. Li, Aug 2011, Dynamic analysis and PID control for a quadrotor, IEEE Int.
Conf. Mechatron. and Automat. Beijing China, pp. 573-578
M. Toyota, R. Tanaka, Sep 2021, A Design Approach to Linear Active Disturbance Rejection
Controller Based on Linear Quadratic Regulator Method for Quadrotor Attitude Control,
Annu. Conf. the Soc. of Inst. and Control Eng. of Japan (SICE) Tokyo Japan, pp. 1202-1208
S. Bouabdallah, A. Noth, R. Siegwart, Sep/Oct 2004, PID vs LQ control techniques applied
to an indoor micro quadrotor, IEEE/RSJ Int. Conf. Intell. Robots and Syst. (IROS)
Sendai Japan, Vol. 3, pp. 2451-2456
K. Zhao, J. Zhang, D. Ma, Y. Xia, Aug 2020, Composite Distur- bance Rejection Attitude
Control for Quadrotor With Un- known Disturbance,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7, No. 8, pp. 6894-6903
H. Yang, L. Cheng, Y. Xia, Y. Yuan, Jul 2018, Active Distur- bance Rejection Attitude
Control for a Dual Closed-Loop Quadrotor Under Gust Wind, IEEE Trans. Control Syst.
Technol., Vol. 26, No. 4, pp. 1400-1405
T. Huang, D. Huang, Z. Wang, N. Qin, A. Shah, Jul 2020, Robust control for a quadrotor
UAV based on linear quadratic regulator, Chinese Control Conf. (CCC) Shenyang China,
pp. 6893-6898
A. Ermeydan, A. Kaba, Oct 2021, Feedback linearization control of a quadrotor, Int.
Sym. on Multidiscip. Stud. and Innov. Technol. (ISMSIT) Ankara Turkey, pp. 287-290
D. Chwa, Oct 2015, Fuzzy Adaptive Output Feedback Tracking Control of VTOL Aircraft
With Uncertain Input Coupling and Input-Dependent Disturbances, IEEE Trans. Fuzzy
Syst., Vol. 23, No. 5, pp. 1505-1518
E. Kayacan, R. Maslim, Feb 2017, Type-2 Fuzzy Logic Trajec- tory Tracking Control
of Quadrotor VTOL Aircraft With Elliptic Membership Functions, IEEE/ASME Trans. Mech.,
Vol. 22, No. 1, pp. 339-348
M. R. Mehranpour, A. Mohammad Shahri, O. Emamgholi, M. Farrokhi, Aug 2013, A new fuzzy
adaptive control for a Quadrotor flying robot, Iranian Conf. Fuzzy Syst. (IFSC) Qazvin,
Vol. iran, pp. 1-5
A. Castillo, R. Sanz, P. Garcia, W. Qiu, H. Wang, C. Xu, Jan 2019, Disturbance observer-based
quadrotor attitude tracking control for aggressive maneuvers, Control Eng. Practice,
Vol. 82, pp. 14-23
W. Chen, J. Yang, L. Guo, S. Li, Feb 2016, Disturbance-Obser- ver-Based Control and
Related Methods — An Overview, IEEE Trans. Ind. Electron., Vol. 63, No. 2, pp. 1083-1095
K. Ohishi, M. Nakao, K. Ohnishi, K. Miyachi, Feb 1987, Micro- processor-Controlled
DC Motor for Load- Insensitive Position Servo System, IEEE Trans. Ind. Electron.,
Vol. IE-34, No. 1, pp. 44-49
L. Guo, S. Cao, Jul 2014, Anti-disturbance control theory for systems with multiple
disturbances: A survey, ISA Trans., Vol. 53, pp. 846-849
P. Dey, S. R. Kurode, R. Ramachandran, Sep 2016, Robust attitude control of quadrotor
using sliding mode, Int. Conf. Auto- mat. Control and Dyn. Opt. Tech. (ICACDOT) Pune
India, pp. 268-272
D. Kucherov, A. Kozub, Oct 2020, Backstepping Algorithm for Controlling of Quadrotor,
IEEE Int. Conf. Methods and Syst. of Navigation and Motion Control (MSNMC) Kyiv Ukraine,
pp. 51-55
S. Lee, D. K. Giri, H. Son, Jun/Jul 2017, Modeling and control of quadrotor UAV subject
to variations in center of gravity and mass, Int. Conf. UBQ. Robots and Ambient Intell.
(URAI) Jeju South Korea, pp. 85-90
Z. He, Y. Fan, J. Cao, G. Wang, Jul 2019, Disturbance Observer based Nonlinear Control
for a Quadrotor Trajectory Trac- king, Chinese Control Conf. (CCC) Guangzhou China,
pp. 581-587
J. Heo, D. Chwa, Sep 2021, Robust Tracking Control using Integral Sliding Mode Observer
for Quadrotors Considering Motor and Propeller Dynamics and Disturbances, J. of Elect.
Eng. Technol., Vol. 16, pp. 3247-3260
G. Hu, D. Aiken, S. Gupta, W. E. Dixon, Aug 2008, Lyapunov- Based Range Identification
For Paracatadioptric Systems, IEEE Trans. Automat. Control, Vol. 53, No. 7, pp. 1775-1781
D. Shi, Z. Wu, W. Chou, May 2018, Generalized Extended State Observer Based High Precision
Attitude Control of Quadrotor Vehicles Subject to Wind Disturbance, IEEE Access, Vol.
6, pp. 32349-32359
N. Fethalla, M. Saad, H. Michalska, J. Ghommam, Aug 2018, Robust Observer-Based Dynamic
Sliding Mode Controller for a Quadrotor UAV, IEEE Access, Vol. 6, pp. 45846-45859
M. Bisheban, T. Lee, Jul 2021, Geometric Adaptive Control With Neural Networks for
a Quadrotor in Wind Fields, IEEE Trans. on Control Syst. Technol., Vol. 29, No. 4,
pp. 1533-1548
저자소개
Chaiyoon Lim received the B.S. degree in the department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8 respectively, where s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the M.S. degree.
Tel: 031-219-2489
Fax: 031-212-9531
E-mail : chaiy827@ajou.ac.kr
Junseo Heo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the department electrical and computer
engi- neering from Ajou University, Suwon, Korea, in 2017 and 2019, respectively,
where he is currently pursuing the Ph.D. degree. Since 2021, he has been with the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Sache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n Engineers.
Tel: 031-219-2489
Fax: 031-212-9531
E-mail : hjs1994@ajou.ac.kr
Dongkyoung Chwa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in control and instrumentation
engi- neering and the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5, 1997, and 2001, respectively. Since 2005,
he has been with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Ajou University,
Suwon, Korea,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Tel: 031-219-1815
Fax: 031-212-9531
E-mail : dkchwa@ajou.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