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mart Electrical and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2. (Smart Electrical and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Korea)



Pantograph-catenary system, Contact wire, Contact strip, Dynamic stagger, Deep neural network

1. 서 론

전차선 설치 상태 평가의 핵심은 전차선의 레일 기준면 설치된 높이와 궤도 중심면에서의 수평 거리인 편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전차선의 높이·편위는 온도변화, 풍량, 주행 속도 등의 다양한 조건을 토대로 기준이 결정되며 열차가 주행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측정한다. 보통 전차선의 높이·편위는 특정 개소에서 레이저 측정기, 편위자 등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측정하고 있는데 이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다.

이러한 측정을 자동화하기 위해 검측차, 트롤리, 드론 등을 활용해 전차선의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되고 상용화되고 있다. SelectraVision 사에서는 트롤리, 검측차 등에 고성능 레이저 검측기를 설치하여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는 제품을 상용화한 바 있으며, 연구 분야에서도 트롤리, 검측차 또는 드론을 활용하여 측정 요소를 분할하여 정적 상태의 전차선 높이와 편위를 측정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1)-(9).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에서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를 갖는 레이저 검측기를 활용해 높이·편위를 측정하고 있어 측정 결과는 검측기 성능에 의존적으로 결과가 결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의 주요한 내용은 레이저 검측기로 획득한 3차원 점구름 데이터에서 전차선, 조가선, 전주, 가동브래킷 등 전차선로의 구성 요소를 분할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한편, 열차 주행에 따른 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접촉 장면은 실제 열차 주행에서 발생되는 전차선 설치 상태 문제를 바로 알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전차선의 시공 오차 검측 과정이나 실제 운용 과정에 열차 상부에 팬터그래프를 바라보도록 카메라를 설치하면 전차선의 동높이·편위를 열차의 킬로미터 정(Kilometer Post) 정보와 연계시켜 측정할 수 있다. 카메라 기반 연구에서는 팬터그래프가 전차선과 접촉하여 미끄러지는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을 획득하는데, 이 영상에 대한 영상 처리를 통해 전차선의 동높이·편위를 구하거나 아크를 검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지 커널을 기반으로 지정된 전차선을 추적하거나 이미지 피처 매칭을 통하여 동편위를 구하는 방법, 윤곽선 검출 및 허프 변환 등 일반적인 이미지 처리를 이용한 전차선 이상 편위 검출 방법, 딥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팬터그래프 집전판 분할 및 전차선 윤곽선 검출을 통한 접촉 영역 검출 방법 등이 개발되었다(10)-(13).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명암비가 명확한 낮에 촬영된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만 다루고 있다. 초기 시설물 검증 과정에서는 열차를 운영하지 않는 야간에 영상 촬영이 이루어지기도 하는데 위의 방법들로는 전차선과 주변 환경과의 명암비가 낮은 야간에는 검출이 불용이 하고, 또한 음영이 생기는 터널 구간의 경우 그림자가 선으로 인식될 수 있다. 윤곽선 검출 방법 등의 방법은 사용자의 파라미터 설정에 따라 검출 성능 차이가 크고, 개체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림자와 전차선 등의 구분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야간 및 터널 환경에서 촬영된 명암비가 낮은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에서도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의 접촉점을 찾아 이상 편위 구간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딥러닝 방법 및 이미지 처리를 통해 전차선의 동편위를 구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이상 편위 구간을 결정하였다.

2. 전차선 동편위 측정 알고리즘

전차선의 동편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차선과 팬터그래프의 집전판이 닿는 접촉점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그림 1에서와 같이 ‘전차선 분할’, ‘팬터그래프 및 집전판 추적’, ‘접촉점 판단 및 이상 편위 검출’의 3가지 절차를 통해 이상 편위 구간을 검출한다. 전차선 인식 및 분할을 위하여 딥 뉴럴 네트워크를 활용하였고, 템플릿 매칭을 통하여 팬터그래프 및 집전판을 추적한다. 마지막으로는 이들 결과를 활용해 복잡한 수식 없이 이미지 상에서 집전판과 전차선의 접촉점을 구하여 동편위를 측정한다. 본 장에서는 이들 각 절차의 구체적인 방법론과 그 결과에 대해 다룬다.

그림 1 이상 편위 검출을 위한 알고리즘 순서도

Fig. 1 Flowchart of the algorithms for detection of the irregularities on the dynamic stagger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1.png

2.1 딥러닝 기반 전차선 분할 네트워크

종래의 전차선을 분할하는 방법론 중 윤곽선 추출은 그 명암비가 뚜렷한 영상에서는 잘 작동할 수 있다(12)-(13). 그러나 관련 연구에서도 활용된, 일부 노이즈가 있어도 얇은 윤곽선을 잘 추출하는 Canny 윤곽선 검출도 명암비가 낮은 야간이나 고속선 영상에서와 같이 영상 블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림 2처럼 전차선의 윤곽선 추출이 실패할 수 있다(12). 임계값 설정을 통해 일부 윤곽선 추출이 가능할 수는 있으나 외부 조명구간, 아크 발생 등의 상황에서는 그때마다 다른 임계값 설정이 필요하다. 또, 터널 구간에서는 전차선의 그림자가 보이는데 이 경우 전차선만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예외처리 알고리즘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그림 2 Canny 윤곽선 검출 결과(임계값: 100)

Fig. 2 Results of the Canny edge detection (threshold value : 100)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2.png

한편 지도 학습 방식의 딥러닝 분할 방법은 학습 데이터와 정답 라벨링을 주워주고 이를 네트워크가 학습하여 분할 영역을 추론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분할에 대한 네트워크 설계 시에는 U-net과 같은 네트워크 구조를 활용한다(14). 이는 이미지를 저차원 형태로 압축하는 Encoder와 이미지를 복원하는 Decoder 형태에 Encoder의 축약 정보를 Decoder로 연결하여 복원상 손실될 수 있는 공간 정보를 보완하는 구조이다. 언급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이미지 내 전차선의 정확한 공간적 분할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차선 영역을 분할하기 위해 U-net 구조의 딥 뉴럴 네트워크를 활용하였다.

2.1.1 데이터셋 구축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셋 구축을 위해 720×480의 해상도에 25 FPS로 야간에 촬영된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 4개에 대하여 전차선 분할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그림 3과 같이 한 전차선 상에 두 좌표 정보를 저장하여 이미지 내 직선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건넘선, 오버랩 구간 등의 개소에서 전차선이 들어오고 나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한 장의 이미지 내에 다중의 직선 정보가 저장되도록 하였다.

한편, 학습 과정에서는 라벨링 된 좌표를 후처리하여 활용한다. 하나의 전차선 위의 두 점 $A(x_{1},\: y_{1})$, $B(x_{2},\: y_{2})$가 주어졌을 때 두 좌표를 이은 직선에서 이미지 좌표계의 높이가 0인 지점의 한 점 $(x_{0},\: y_{0})$와, 팬터그래프의 중심 높이 $h$에서의 점 $(x_{h},\: y_{h})$의 좌표는 식 (1), 식 (2)와 같다.

(1)
$x_{0}= - y_{2}(x_{1}- x_{2})/(y_{1}- y_{2})+ x_{2}{if}y_{0}=0$

(1)
$x_{h}=(h- y_{2})(x_{1}- x_{2})/(y_{1}- y_{2})+ x_{2}{if}y_{h}= h$

높이 $h$는 2.2의 ‘팬터그래프 및 집전판 추적’ 방법을 활용해 집전판을 추적한 이미지 좌표 $y$에 템플릿 높이의 절반을 더하여 구한다. 끝으로, 생성된 두 좌표를 이어 선분 이미지를 생성해 이를 학습 정답 데이터로 활용한다.

그림 3 전차선 상 두 이미지 좌표 정보를 이용한 라벨링

Fig. 3 Labeling of contact wires by using two image coordinates on the wires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3.png

영상 및 라벨링에 대한 정보는 표 1과 같다. 평균 23분 28초 (35,197장)의 영상에 대해 총 20,712장의 야간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에 대하여 라벨링이 진행되었고 한 영상당 최소 10장 이상의 연속한 프레임을 임의 구간에 대해 라벨링하였다.

표 1 전차선 분할을 위한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 및 라벨링 정보

Table 1 Information on pantograph sliding video clip and labeling for segmentation of the overhead lines

Index

Frame length

Number of labels

Video 1

35,627 (23’ 45”)

5,199

Video 2

35,208 (23’ 28”)

4,184

Video 3

34,631 (23’ 5”)

4,999

Video 4

35,320 (23’ 32”)

6,330

2.1.2 전차선 분할 학습 환경

전차선 분할을 위해 그림 4와 같은 U-net 구조를 구성하여 학습하였다. 입력 이미지의 크기는 288×192 사이즈로 리스케일링하였고, 색상 이미지를 흑백 이미지로 변환하였다.

하이퍼파라미터로서 learning rate = 0.0005, batch size = 2, Epoch = 100으로 설정하였고, early stopping을 적용하였다. 각 epoch 당 translation (x, y ±방향 10% 내외), rotation (±3도 내외), zoom (-10% 내외), vertical flip (30% 확률)을 적용하여 data augmentation으로 학습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켰다. 학습에 활용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환경 사양은 표 2와 같다.

그림 4 전차선 분할을 위하나 U-net 구조

Fig. 4 U-net architecture for segmentation of the contact wires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4.png

표 2 학습 환경

Table 2 Learning Environments

Configuration

Specification

Hardware

CPU

13$^\text{th}$ Gen Intel(R) Core(TM) i9-13900K

GPU

Geforce RTX 4090

RAM

64 GB

Software

OS

Windows 10 (64 bit)

Python

3.9.7

Tensorflow

2.10.1

2.1.3 학습 결과

학습에는 Video 1~3을, Video 4를 검증에 사용하여 식 (3)의 Dice coefficient를 활용하여 전차선 분할에 대한 네트워크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Dice coefficient는 서로 trade-off 관계에 있는 precision과 recall의 조화평균으로 편향되지 않은 성능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성능 지표를 반영하여 식 (4)의 Dice loss를 네트워크의 손실함수로 활용하였다. 학습에 의한 성능 지표는 그림 5와 같으며 검증 데이터에 대한 Dice coefficient는 0.72 경계에서 수렴하였다.

(3)
$Dice \enspace coefficient =\dfrac{2\times TP}{(TP + FP)+(TP + FN)}$

(4)
$Dice \enspace loss = 1 - Dice \enspace coefficient$

그림 5 네트워크 훈련에 따른 모델 성능 지표(dice coefficient)

Fig. 5 Model performance metrics (dice coefficient) according to training of the network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5.png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추론을 수행한 결과는 그림 6과 같다. 일부의 결과에서는 분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이는 아크에 의한 섬광 발생, 고속 주행에 따른 모션 블러 발생에 기인하고 있다.

그림 6 네트워크 추론을 통한 전차선 분할 결과(위에서부터 개활지, 터널, 건넘선, 모션블러, 아크의 경우)

Fig. 6 Segmentation results of the contact wires from network inference (From top to bottom, field, tunnel, crossover, motion blur and, arc cases are sampled.)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6.png

2.2 팬터그래프 및 집전판 추적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에서 팬터그래프의 움직임은 상하 모션, 전차선 접촉에 따른 스프링에 의한 집전판의 미소한 기울임 등이 관측된다. 미소한 기울임에 의한 영향을 제외한다면 팬터그래프는 상하 강체 운동을 하는 것으로 근사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 하에, 팬터그래프와 집전판 영역은 템플릿 매칭을 활용해 추적될 수 있다.

촬영된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의 초기에는 열차가 주행하지 않으므로 정지 영상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팬터그래프를 추적하기 위하여 정지 영상의 한 프레임에서 팬터그래프 영역을 수작업으로 마스킹하여 팬터그래프와 집전판 영역에 대한 템플릿 윈도우를 생성하였다. 이후 프레임에서는 팬터그래프 영역에 대하여 식 (5)를 통하여 템플릿 매칭 계수 $R$을 구하고 해당 값이 최대가 되는 이미지 좌표 $(x,\: y)$를 구한다. 그리고 추적된 팬터그래프 템플릿 윈도우 내에서 집전판 영역에 대해 동일한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집전판을 추적한다. 그림 7과 같이 열차가 정지된 화면 상에서 청록색의 팬터그래프 템플릿 윈도우를 생성하였고, 그 안에 붉은색의 집전판 템플릿 윈도우를 생성하였다. 추적 결과는 그림 7의 오른쪽 화면과 같이 $R$ 값과 함께 추적된 윈도우가 표기된다.

(5)
\begin{align*} R(x,\: y)=\dfrac{\sum_{x',\: y'}(T'(x',\: y')I'(x + x',\: y + y'))}{\sqrt{\sum_{x',\: y'}T'(x',\: y')^{2}\sum_{x',\: y'}I'(x + x',\: y + y')^{2}}}\\ \\ where\\ T'(x',\: y')= T(x',\: y')-\dfrac{1}{w\times h}\sum_{x'',\: y''}T(x'',\: y'')\\ I'(x + x',\: y + y')= I(x + x',\: y + y')\\ -\dfrac{1}{w\times h}\sum_{x'',\: y''}I(x + x'',\: y + y'') \end{align*}

한편, 식 (5)는 템플릿과 원본에 픽셀 평균 값을 제외한 곱의 전체 합으로 매칭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방법은 차이값의 제곱합 방법이나 상관관계만으로 구하는 방식에 비하여 템플릿과 원본의 밝기 차이에 강건하게 작동하며 정규화로 –1 ~ 1 사이 값으로 계산되어 매칭의 일치성을 나타내어 준다. 야간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에서는 외부 조명, 아크 등에 따라 밝기 변화가 발생하기에 위의 방법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그림 7 팬터그래프와 집전판의 템플릿 윈도우(좌)와 이의 추적 결과(우)

Fig. 7 Template windows for pantograph and contact strip (left) and their tracking results (right)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7.png

2.3 접촉점 및 이상 편위 판단

본 연구에서는 전차선과 집전판의 접촉점을 구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서 분할된 전차선 영역을 세선화한 전차선의 중심선과 추적된 집전판의 높이 정보를 활용한다. 추적된 집전판 윈도우의 좌상단의 모서리 픽셀 높이를 $h_{0}$라 한다면, 그림 8과 같이 해당 높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스캔 라인 픽셀 탐색을 수행한다. 세선화된 전차선은 1픽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하나의 전차선에 대하여 하나의 점만이 검출된다. 스캔된 이미지 상의 $x$좌표를 접촉한 전차선의 개수에 따라 이미지상 좌측부터 $i = 0,\: 1,\: 2,\: ... ,\: n-1$로 인덱싱하여 $x_{h_{0,\: i}}$로 표기하면 접촉점의 좌표는 $(x_{h_{0,\: i}},\: y_{h_{0}})$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림 8 스캔 라인 탐색을 통한 접촉점 판단

Fig. 8 Contact points detection through scan line search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8.png

일반적으로 전차선의 편위는 레일면 기준 $+-$200mm 이내로 들어오도록 설계가 되고 있고, 허용가능한 편위는 $+-$250mm로 설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집전판의 중심 지점과, 허용가능 편위 범위, 집전판의 면적 범위인 $+-$300mm를 하얀 마커로 표기한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을 활용하였다. $+-$250mm인 지점의 $x$좌표 $x_{-250}$, $x_{+250}$와 중심점인 $x_{c}$사이의 픽셀 거리를 계산하여 실제 거리를 식 (6), 식 (7)과 같이 1픽셀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였고, 마커의 표시 정확도를 고려해 집전판 중심점 기준 좌, 우 환산값을 각각 계산하였다. 팬터그래프의 기울어짐은 미소하다고 가정하여 전체 프레임에 대하여 동일한 허용 편위 범위를 사용하였고, 이에 따른 접촉점의 환산 거리는 식 (8)과 같이 계산된다. 이를 이용해 측정한 동편위 결과는 그림 9와 같다.

(6)
$D_{l}=\dfrac{250}{x_{-250}- x_{c}}[mm]$

(7)
$D_{r}=\dfrac{250}{x_{250}- x_{c}}[mm]$

(8)
\begin{align*} (x_{h_{0,\: i}}- x_{c})\times d_{l}{if}x_{h_{0,\: i}}< x_{c}\\ (x_{h_{0,\: i}}- x_{c})\times d_{r}otherwise. \end{align*}

그림 9 전차선 동편위 계산 결과

Fig. 9 Results of calculation of the dynamic stagger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fig9.png

한편, 단순 환산 거리만을 이용하면 제대로 된 이상 편위 검출이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넘선이나 오버랩 구간 등의 특이개소에서는 전차선이 팬터그래프에 빠져나가거나 들어오기도 하며 여러 개의 전차선이 동시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기 위하여 이상 편위 검출은 전차선이 하나인 프레임, 즉 접촉점이 하나인 프레임에 대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일부 구간에서는 모션 블러나 아크 등에 의해 복수의 전차선이 검출되어야 하나 제대로 검출되지 않는 구간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예외 경우를 처리하기 위하여, 전후 프레임에서 나타난 접촉점 수의 개수를 판단하여 프레임이 넘어감에 따라 접촉점이 단순 증가하는지 혹은 단순 감소하는지를 판단하여 접촉점이 복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Video 4에서 이상 편위가 발생하는 프레임을 수작업으로 라벨링하였고, 알고리즘 상에서 이상 편위가 발생하는 프레임을 체크하였다. 이상 편위가 발생하는 프레임의 수는 615개였으며, 알고리즘은 551개를 맞추어 89.6%의 정확도를 보였다. 예측하지 못한 64 프레임 또한 예측 프레임의 전후 프레임 상에서 아크나 모션 블러 등으로 제대로 검측되지 못한 프레임이었고, 오검측을 한 프레임은 4 프레임에 불과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야간 팬터그래프 습동 영상으로부터 동편위를 측정하여 이상 편위 구간을 검출하였다. U-net을 활용하여 전차선을 분할하여 세선화하였으며, 템플릿 매칭 기법을 통해 팬터그래프 영역 및 그 속의 집전판 영역을 특정하여 추적하였다. 집전판과 전차선의 접촉점을 수평 방향 스캔 라인 픽셀 검출을 통해 찾아내었고, 이를 실제 거리로 환산하여 이상 편위 범위 판단 알고리즘을 통해 이상 편위 구간을 검출하였다. 89.6 %의 정확도로 이상 편위 구간을 검출함으로써 개발한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전차선의 시공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전차선의 편위를 확인하고 이를 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R&D Program (A study on operation efficiency improvement of railway electricity utilizing smart composite sensors based geometric information system, PK2303E2) of the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References

1 
SelectraVision, measuring Catenary, selectravision.com. Accessed: Sept. 26, 2023. [Online.] Available: http://www.selectravision. com/catenary.php.Google Search
2 
L. Chen, C. Xu, S. Lin, S. Li, X. Tu, 2020, A deep learning- based method for overhead contact system component recognition using mobile 2D LiDAR, Sensors, Vol. 20, No. 8, pp. 2224DOI
3 
A. Gutiérrez-Fernández, C. Fernández-Llamas, V. Matellán- Olivera, A. Suárez-González, 2020, Automatic extraction of power cables location in railways using surface lidar systems, Sensors, Vol. 20, No. 21, pp. 6222DOI
4 
X. Tu, C. Xu, S. Liu, S. Lin, L. Chen, G. Xie, R. Li, 2020, LiDAR point cloud recognition and visualization with deep Learning for overhead contact inspection, Sensors, Vol. 20, No. 21, pp. 6387DOI
5 
S. Lin, C. Xu, L. Chen, S. Li, X. Tu, 2020, LiDAR point cloud recognition of overhead catenary system with deep learning, Sensors, Vol. 20, No. 8, pp. 2212DOI
6 
X. Chen, Z. Chen, G. Liu, K. Chen, L. Wang, W. Xiang, R. Zhang, 2021, Railway overhead contact system point cloud classification, Sensors, Vol. 21, No. 15, pp. 4961DOI
7 
Y. Geng, F. Pan, L. Jia, Z. Wang, Y. Qin, L. Tong, S. Li, 2021, UAV-LiDAR-based measuring framework for height and stagger of high-speed railway contact wire, IEEE Tra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23, No. 7, pp. 7587-7600DOI
8 
L. Zhang, J. Wang, Y. Shen, J. Liang, Y. Chen, L. Chen, M. Zhou, 2022, A Deep Learning Based Method for Railway Overhead Wire Reconstruc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Remote Sensing, Vol. 14, No. 20, pp. 5272DOI
9 
A. Sánchez-Rodríguez, M. Soilán, M. Cabaleiro, P. Arias, 2019, Automated inspection of railway tunnels’ power line using LiDAR point clouds, Remote Sensing, Vol. 11, No. 21, pp. 2567DOI
10 
I. Aydin, M. Karakose, E. Akin, 2015, Anomaly detection using a modified kernel-based tracking in the pantograph–catenary system,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Vol. 42, No. 2, pp. 938-948DOI
11 
C. J. Cho, H. Ko, pp 1294-1304 2014, Video-based dynamic stagger measurement of railway overhead power lines using rotation- invariant feature matching, IEEE Tra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16DOI
12 
E. Karakose, M. T. Gencoglu, M. Karakose, I. Aydin, E. Akin, pp 635-643 2016, A new experimental approach using image processing-based tracking for an efficient fault diagnosis in pantograph–catenary systems, IEEE Trans. on Industrial Informatics, Vol. 13DOI
13 
D. Zhang, S. Gao, L. Yu, G. Kang, D. Zhan, X. Wei, 2019, A robust pantograph–catenary interaction condition monitoring method based on deep convolutional network, IEEE Trans. on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Vol. 69, No. 5, pp. 1920-1929DOI
14 
O. Ronneberger, P. Fischer, T. Brox, 2015,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Assisted Intervention Conf., pp. 234-241DOI

저자소개

김동규 (Dongkue Kim)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au1.png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mechanical engineering at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21.

He is currently a senior researcher with the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s OCS maintenance an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cluding deep learning.

박철민 (Chulmin Park)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au2.png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Transportation Systems Engineering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in 2016.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the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OCS maintenance and monitoring system.

이기원 (Kiwon Lee)
../../Resources/kiee/KIEE.2023.72.10.1285/au3.png

He received a Ph.D. degree from mechanical engineering at Sungkyunkwan University in 2009.

He is currently a principal researcher with the Smart Electrical & Signaling Division,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Uiwang, South Korea.

His research interests are OCS design/maintenance and pantograph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