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민우
(Min-Woo Ji)
1iD
박해찬
(Hae-Chan Park)
2iD
김래영
(Rae-Young Kim)
†iD
-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
(Dept.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Totem-Pole PFC, CrM Control, Harmonics, Harmonic control, Harmonic regulation, Harmonic feedback control algorithm, Harmonic injection, EN61000-3-2
1. Introduction
역률 보정(PFC, Power Factor Correction) 회로는 일반적으로 EV 충전기 , LED 드라이버(1), 가전제품 등 여러 시스템에서 고조파 규율(EN61000-3-2)을 만족하고, 높은 역률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DC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컨버터로
사용되고 있다.
현대 전력전자 산업에서 안정적인 전력 변환을 위한 PFC 컨버터의 고효율 달성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여러 가지 PFC 컨버터 토폴로지 중, Totem-Pole
PFC는 다이오드 정류 브릿지를 제거한 토폴로지로써, 다이오드의 전도 손실 감소로 인해 더 높은 효율을 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 방법으로는 크게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 제어,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제어, CrM(Critical
conduction Mode) 제어 3가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 중 CrM 제어 방법은 전류 리플의 크기를 입력 전류 크기 의 2배 크기로 늘려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달성한다. 이로 인해, 보다 작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인덕터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전력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
스위칭이 가능하고, 다이오드 역회복 현상으로 인한 손실이 없기 때문에 고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PFC 컨버터의 고효율 및 고밀도 달성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CrM 제어의 경우, 경부하 운전 시 스위칭 주파수가 매우 빨라지기 때문에 스위칭
손실이 매우 커진다. 그리고 안정적인 DC전압 공급을 위해 용량이 큰 출력 커패시터가 요구되어 전력밀도를 감소시키고, 스위칭 주파수의 변동 범위가
넓어서 EMI필터 설계에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류 지령에 고조파를 주입하는 제어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2)-(6). 참고 논문 (2)-(3)은 성능 개선을 위해 3차 고조파를 전류지령에 주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제안한 방법은 주입하는 3차 고조파의 크기를 결정할 때, 오직 역률만
고려했을 뿐, 고조파 규율(EN61000-3-2)을 고려하면서 주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규율을 초과할 수 있는 크기의 고조파가 주입될 수도 있다는
한계점이 있다.
참고 논문 (4)에서는 고조파 규율(EN61000-3-2)을 기준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전력에 따른 고조파 크기의 제한을 고려하여 3차 고조파를 주입하였다. 그러나
오직 3차 고조파 주입만 고려했기 때문에 성능 개선에 있어서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참고논문 (5)에서는 3차 고조파 뿐만 아니라, 5차 고조파도 주입하여, 커패시터 용량을 감소시켜서 전력밀도를 개선했다. 참고 논문 (6)에서도 역시 3차 고조파 뿐만 아니라, 5차, 7차 고조파도 고려하여 주입하는 Fixed Switching Frequency Control 기법을
제안하여, 고정된 스위칭 주파수를 달성하였다. 참고 논문(5), (6)에서 제안한 방법들은 고조파를 주입할 때 성능 개선을 위해 필요한 고조파 크기를 계산하여 개루프 방식으로 주입시켰다. 개루프 방식으로 고조파를 주입하게
되면 간단하게 고조파를 주입하여 쉽게 성능 개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고조파의 크기를 피드백하여 제어할 수 있는 폐루프 제어 알고리즘이 없기 때문에,
동작 중 입력 단에 고조파 관련 외란이 발생하거나, 부하의 크기가 변동됐을 때 PFC 컨버터가 반드시 준수해야 하는 총 고조파 규율(EN61000-3-2)을
초과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CrM제어 PFC 컨버터에서 성능 개선의 이점을 가져가면서, 동작 중 입력 외란 및 부하 크기 변동이 발생해도 고조파 규율을 준수할
수 있게 하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푸리에 급수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각 차수의 고조파의 크기를 센싱할 수 있도록 하였고,
동시에 입력 전력의 크기도 센싱하여, 부하 변동 시, 각 전력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각 차수의 고조파의 크기가 계산되어 주입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차수의 고조파 제어 시, 센싱 값과 지령 값을 비교하여 센싱 값이 지령 값에 도달하도록 증감하는 P&O(Perturbation & Observation)
알고리즘을 적용시켰다. 그리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350W급 Totem-Pole PFC 컨버터에 적용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2. CrM Totem-pole PFC Converter details
2.1 Power Factor Correction
PFC 컨버터는 AC 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해주며, 역률을 보상하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이다. 역률이란 교류회로에서 유효전력의 크기를 피상전력의
크기로 나눈 값으로 식 (1)을 통해 계산된다. 교류회로에서는 직류회로와 다르게 전압의 위상(θv)과 전류의 위상(θi)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존재한다. 전압과 전류 간에
위상차가 적을수록 역률이 좋아진다.
AC전압을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해 다이오드 정류기를 사용하면, 복잡한 제어 과정 필요 없이 전력변환이 가능하지만, 출력부의 전압이 입력전압부의
크기보다 작을 때만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동안 크기가 큰 펄스성 전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전류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고조파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때, 같은 전력을 전달하더라도, 다이오드의 정격, 와이어의 굵기 등 모두 증가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문제도 발생한다. 그리고 전류의 진폭의 크기
때문에 고조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고조파 규율(EN61000-3-2)를 준수하지 못하게 된다. 고조파 왜곡 성분은 과열 및 화재 위험, 고전압
및 순환 전류, 장비 오작동 및 부품 고장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고조파 성분이 크면, 식 (2)의 관계에 따라 역률도 악화된다.
그림. 1. 토템폴 부스트 PFC 컨버터
Fig. 1. Totem-Pole Boost PFC Converter
그림. 2. 토템폴 PFC의 전류 흐름도
Fig. 2. The current path of Totem-pole PFC
앞서 언급한 전류와 전압 간의 위상차, 그리고 전류에 포함되어 있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역률을 보상하고, 고조파 규율(EN61000-3-2)를
만족하는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PFC 컨버터(역률 보상 회로)가 사용된다.
2.2 Operation Principle of CrM Control Totem-Pole PFC
Fig.1은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역률 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PFC 컨버터 토폴로지 중 하나인 Totem-Pole PFC 컨버터이다. Fig.1에서 볼 수 있듯이, 고속으로 동작하는 2개의 메인 스위치와 계통 전압의 극성에 맞춰 저속으로 동작하는 다이오드 2개로 이루어져 있다.
Fig.2은 Totem-Pole PFC 컨버터의 전류 흐름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Fig.2(a)와 (b)는 계통 전압이 양의 구간일 때의 스위치 동작 모드와 모드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양의 구간일 때, Fig.2(a)는 Q1와 Q2가 도통됨으로써, 인덕터 전류가 증가하며, 인덕터에 에너지를 충전하는 구간이다. 이 때의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림. 3. CrM 제어의 파형들
Fig. 3. The waveforms of CrM control
Fig.2(b)는 Q1와 D2가 도통됨으로써, 인덕터에 충전되어 있던 에너지를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구간으로써, 인덕터 전류가 감소하는 구간이다. 이 때의 인덕터에
걸리는 전압은 식(4)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2(c), (d)는 (a), (b)와는 반대로 계통 전압이 음의 구간일 때를 나타낸 것이다. 양의 구간일 때와 다르게 D1으로 전류가 도통되며 정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양의 구간과는 반대로 Q2가 도통 될 때, 인덕터에 충전되어 있던 에너지가 커패시터로 전달되고, Q1이 도통될 때, 인덕터에 에너지를
충전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류 제어 방법 중 CrM 제어 방법을 사용하였다. CCM 제어에서는 낮은 스위칭 주파수에서 높은 효율을 제공하지만, 낮은 스위칭 주파수는
더 큰 인덕터 크기를 요구한다. 하지만 CrM제어 방법을 사용하면 Fig.3(a)와 같이 입력 전류에 비해 전류리플을 2배 증가시켜서 높은 스위칭 주파수를 달성하여, 인덕터의 크기와 높이를 줄일 수 있으므로, 높은 전력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식 (5)와 같이 정현파 모양의 전류지령 값과 영전류값 사이를 반복적으로 오가게 하는 방법이다.
인덕터 전류 파형의 모양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평균전류가 정현파 모양이 되어, 역률이 개선되는 원리이다. Fig.3(b)에 나타낸 전류를 증가시키는 ton은 식 (6)와 같이 나타낼 수 있고, 인덕터를 충전시키는 구간이다.
분모 분 자에 사인 성분이 있기 때문에, 약분이 되어서 고정값이 된다. 식 (7)과 같이 효율이 100%라고 가정하고, 식 (8)과 같이 수식을 세워보면 ton은 식 (9)와 같이 출력에 관한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off는 인덕터를 방전시키는 구간이며, 식 (4)의 관계를 이용하여 도출하면, 식 (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위상에 따라 값이 변하는 특징이 있다. 스위칭 주파수는 ton+toff가 한 주기이므로, 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전류 지령, 인덕터의 크기에 영향을 받으며, 위상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는 계속 변하며, Fig. 3(c)에서 볼 수 있듯이, 입력 전압이 낮은 구간에서는 fs가 증가하고, 입력 전압이 최대일 때 fs가 가장 낮다.
2.3 Realization Method of CrM Control
제어 과정은 주로 전압 제어기와 전류 제어기로 구성된다. Fig.4는 전압 제어기의 블록도를 보여준다. 전압 제어기는 PI (Proportional- Integral) 제어기를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출력단의 DC
전압은 출력 전압 지령과의 오차와 Feedfoward항을 계산할 때 사용하기위해 센싱한다. 이때 출력 DC전압은 입력 AC전압을 정류 과정에서 발생하는
120Hz의 리플 성분이 존재한다. 이 리플 성분은 제어기의 출력을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20Hz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Band stop filter를 적용하였으며, 필터의 전달함수 G(s)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k는 전달함수의 이득이며, fb는 Stopping Band frequency이고, fo는 Center frequency이다. 본 논문에서는
k=1, fb=20Hz, fo=120Hz로 선정하였다.
인덕터 전류 지령은 Feedforward 항을 계산해준 출력의 결과에 입력 전압을 센싱 받아 PLL 제어 과정을 거쳐 입력전압과 동상인 위상성분의
사인 값을 곱해주고, 2배를 해주므로 인덕터 전류 지령을 얻을 수 있다.
그림. 4. 전압 제어기의 블록도
Fig. 4. Voltage controller block diagram
그림. 5. CrM 전류 제어의 블록도
Fig. 5. CrM current controller block diagram
전압 제어기에서 전류 지령을 받아 CrM 전류 제어기로 전달된다. 전류 제어기는 Fig. 5에서 볼 수 있듯이, 비교기, SR 래치 등 논리 게이트가 주가 되어 구성된다. 인덕터 전류의 크기가 0이 되면 ZCD(Zero Current Detection)
신호가 발생하여 RS 래치의 S단에 입력으로 들어간다. 그리고 비교기에서 전류 지령보다 인덕터 전류 지령을 비교해서 인덕터 전류가 전류지령에 닿을
때 비교기가 신호를 발생하여 RS 래치의 출력 신호를 Low로 만들어서 스위치를 OFF 시킨다.
3. Proposed Control Algorithm
3.1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Algorithm
Fig. 6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의 블록도이다. Fig.6(a)에서 Ref_n%는 각 차수의 고조파 제한 값 기준 몇 %를 지령으로 입력할 건지에 대한 변수이다. 0.0034, 0.0019, 0.001은 Table
1에 명시되어 있듯이, EN61000-3-2 기준 3, 5, 7차 고조파의 제한 값이다. 단위가 mA/Watt 이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Vrms, Irms를
센싱하여 곱해주면 각 차수의 고조파 지령 크기인 In_ref가 계산되어 출력된다. 실시간으로 전력을 센싱하기 때문에 동작 중 부하의 크기가 변해도
부하의 크기에 맞도록 고조파 크기가 계산되어 대응이 가능하다. 출력된 In_ref와 실시간으로 센싱된 현재 고조파의 크기와 비교하여 센싱값이 지령값에
도달하도록 제어되고, 제어된 고조파 크기인 I3, I5, I7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Fig.6(b)에서 볼 수 있듯이, 제
표 1. EN61000-3-2 Class D 고조파 규율
Table 1. EN61000-3-2 Class D regulation
Harmonic order 'n'
|
Max current Class D
|
2
|
not specified
|
3
|
3.4mA/Watt
|
4
|
not specified
|
5
|
1.9mA/watt
|
6
|
not specified
|
7
|
1.0mA/Watt
|
그림. 6.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의 블록도
Fig. 6. The block diagram of Harmonic injection control algorithm
어된 고조파의 크기인 I3, I5, I7를 각 주파수에 해당하는 정현파 성분과 곱한 후, 주입하여 고조파가 주입된 전류 지령 하에서 기존 CrM 전류
제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한다.
3.2 Harmonic of Each Order Sensing Method
Fig.6(a)의 Harmonic sensing 방법으로는 푸리에 급수의 원리를 적용하였으며 n차 고조파 성분의 진폭 값(an) 식 (13)과 같다.
n은 각 차수를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3차, 5차, 7차 고조파를 제어하므로, n=3, 5, 7이 된다. iL(t)는 인덕터 전류이고, T는 인덕터
전류의 기본파의 주기이며, ω는 인덕터 전류의 기본파의 각주파수이다. 푸리에 급수 식을 통해 계산된 an은 각 차수의 전류의 진폭을 구한 값이 되기
때문에 1/√2배 하여 rms 값이 각 차수의 고조파의 크기가 되고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그림. 7. 각 차수의 고조파 제어를 위한 P&O 제어 방법
Fig. 7. P&O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harmonics
an,rms와 In_ref를 비교하여 an,rms값이 In_ref 값에 도달하도록 제어한다. 하지만 푸리에 급수 원리를 사용하여 고조파의 크기를 센싱할
때 오직 한 주기만을 적분하여 센싱하면 불안정한 값을 얻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인덕터 전류의 열 주기를 식 (13)에 대입하여 총 열주기를 적분하여 고조파의 크기를 센싱한다. 그리고 고조파의 크기를 계산 하려면 적분을 해야하기 때문에 적분 값을 0으로 초기화 시켜줘야
하는 구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열 주기는 적분을 하여 고조파의 크기를 센싱하고, 다음 주기는 그 값을 출력하여 다음 주기에 P&O 제어를 함과
동시에 적분 값을 0으로 초기화 시킨다. 즉, 12주기에 한 번씩 고조파의 크기를 센싱하여 제어를 수행한다.
그림. 8. 토템폴 PFC 실험 환경
Fig. 8. Totem-Pole PFC experiment setup
3.3 Harmonic Control Method
Fig.6(a)에서 제시된 Harmonic contorl 방법으로는 P&O 제어 방법을 사용하였다. 4.2절에서 설명한 센싱된 각 차수의 고조파 크기 값은 실시간이긴
하지만, 연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PI제어 방법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Fig. 7와 같이 P&O 제어 방법을 적용시켜 각 차수의 고조파 크기를 센싱하여 지령 값과 비교해서 센싱 값이 지령 값으로 제어되도록 하였다. 센싱값이 지령값에
도달하기 위한 제어 증감 변수 kpn는 각 차수에 알맞은 값을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값이 클수록 제어 속도가 빠르지만 정상상태
오차가 크고, 작은 값으로 설정하면 그 반대이다. 이 값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4. Verification
본 장에서는 제안하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을 350W급 Totem-Pole PFC에 적용하여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성능 검증 조건은 Table
2과 같다.
표 2. 실험 조건 파라미터
Table 2. Experiment setup parameters
Parameter
|
Value
|
입력 전압 $v_{in}$
|
220VAC
|
출력 전압 $V_{o}$
|
400VDC
|
부스트 인덕터 $L$
|
135μH
|
출력 커패시터 $C_{o}$
|
300μF
|
표 3. 실험 결과: 각기 다른 크기의 고조파 주입량의 측정과 계산된 오차
Table 3. Experiment result: Measurement of different harmonic injection and calculated
error
|
Frequency
|
In,ref
|
Measurement
|
Error
|
40% injection
|
180Hz(3rd)
|
476mA
|
492.5mA
|
16.5mA(3.4%)
|
300Hz(5th)
|
266mA
|
273.7mA
|
7.7mA(2.8%)
|
420Hz(7th)
|
140mA
|
144.3mA
|
4.3mA(3.0%)
|
100% injection
|
180Hz(3rd)
|
1190mA
|
1208.9mA
|
18.9mA(1.5%)
|
300Hz(5th)
|
665mA
|
677.6mA
|
12.6mA(1.8%)
|
420Hz(7th)
|
350mA
|
365.4mA
|
15.4mA(4.4%)
|
표 4. 실험 결과: 부하 변동시 주입된 고조파의 측정과 계산된 오차
Table 4. Experiment result: Measurement of injected harmonics with load fluctuation
and calculated error
|
Frequency
|
In,ref
|
Measurement
|
Error
|
377W injection
|
180Hz(3rd)
|
512mA
|
510.9mA
|
1.1mA(0.2%)
|
300Hz(5th)
|
286mA
|
301.7mA
|
15.7mA(5.4%)
|
420Hz(7th)
|
150mA
|
143.0mA
|
7.0mA(4.6%)
|
263W injection
|
180Hz(3rd)
|
357mA
|
377.0mA
|
20.0mA(5.6%)
|
300Hz(5th)
|
199mA
|
206.0mA
|
7.0mA(3.5%)
|
420Hz(7th)
|
105mA
|
110.7mA
|
5.7mA(5.4%)
|
그림. 9. 각기 다른 크기의 고조파 주입에 따른 실험 파형
Fig. 9. Experimental waveforms according to injection of different harmonics
그림. 10. 부하 변동 시 전류 및 전압 파형
Fig. 10. Experimental waveforms during load fluctuation
4.1 Experimental Verification
파워분석기(PPA5530)를 이용해 고조파 측정함으로써 제안한 제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 하였다. 고조파 제어를 위한 증감 변수는 낮은 정상상태
오차를 위해 kp3=$1\times 10^{-4}$, kp5=$5\times 10^{-5}$, kp7=$5\times 10^{-6}$로 설정하였다.
Fig. 9에 고조파 주입량에 따른 전류 파형을 도시하였다. Fig. 9(a)는 고조파를 주입하지 않은 일반 CrM제어이기 때문에 정현파의 전류 지령 안에서 CrM 제어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조파를 40%, 100%
주입함으로써, 변하는 iL의 전류 파형의 모양을 Fig.9(b), (c)에서 볼 수 있다.
Table 3에서 각 %로 입력된 지령 값에 따라 주입된 고조파의 크기, 푸리에 급수를 이용하여 센싱된 고조파의 크기, 파워 분석기를 통해 측정된
고조파의 크기를 볼 수 있다. In_ref는 350W 기준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 지령 값에 따른 n차 고조파 주입량이다. Measurement는
파워 분석기를 통해 측정한 고조파의 크기이다. 측정 후, 주입되는 n차 고조파의 크기 In_ref와 Measurement 값에 대한 오차를 계산했다.
최대 오차 4.4% 이내로 주입 값과 측정 값이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은 부하 변동 시, 부하에 맞춰서 고조파가 잘 주입되는지 검증하였다. Fig. 10(a)에서 볼 수 있듯이, Vo=400V기준 377W에서 263W로 부하 변동을 발생시켰고, 고조파 주입 지령은 40%로 입력하였다. Fig. 10(b)는 377W일 때의 40%의 3,5,7차 고조파가 주입된 전류 파형이고, Fig. 10(c)는 263W일 때의 3,5,7차 고조파가 주입된 전류 파형이다. 그리고 파워 분석기로 해당하는 부하의 크기에 맞춰서 알맞은 크기의 고조파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잘 주입되는지 파워분석기로 측정하여 Table 4에 나타내었다. Table 4의 In,ref는 각 전력의 고조파 제한 기준 40% 크기로
계산되어 주입되어지는 각 차수의 고조파 크기이고, Measurement는 파워 분석기로 측정한 고조파의 크기이다. Table 4에서 볼 수 있듯이,
263W 에서 3차 고조파의 경우가 최대 오차 5.6%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
하 변동 시에도 최대오차 5.6% 이내로 제어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제안하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5.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CrM Totem-Pole PFC 회로에서 동작 중에 입력단에 외란이 발생하거나 부하의 크기 변동에도 총 고조파 규율(EN61000-3-2)을
만족 시킬 수 있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푸리에 급수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 차수의 고조파의 크기를 실시간으로 센싱하였으며, 고조파
제어 방법으로는 P&O 제어 방식을 적용하였다. 제어 증감 변수 kpn는 제어 속도와 정상 상태 오차의 Trade-off 관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제안한 제어 알고리즘을 350W급 Totem- Pole PFC에 적용하여 실험 검증을 진행하였다. 350W 기준으로 EN61000-3-2
규율 제한의 0% ~ 100% 크기의 고조파를 주입하여 각각 전류 파형을 보았고, 파워분석기 측정 결과 고조파 지령값과 실측 값의 오차 범위가 5%
이내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부하 변동 시에도 자동으로 각 부하의 고조파 제한 기준에 맞춰서 계산되어 고조파 주입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377W에서 263W로
부하를 변동시켰다. 최대 오차 5.6% 이내로 제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제안하는 고조파 주입 제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References
J. A. Chamorro Martinez, M. H. Arciniegas Mejia, J. R. Fuelagán, 2015, Implementation
of an HB-LED driver with PFC and output power control, 2015 IEEE Workshop on Power
Electronics and Power Quality Applications (PEPQA), Vol. bogota
Y. -C. Li, F. C. Lee, Q. Li, X. Huang, Z. Liu, 2016, A novel AC-to-DC adaptor with
ultra-high power density and efficiency, 2016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Long Beach CA USA, pp. 1853-1860
L. Gu, X. Ruan, M. Xu, K. Yao, May 2009, Means of Eliminating Electrolytic Capacitor
in AC/DC Power Supplies for LED Lightings,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24, No. 5, pp. 1399-1408
Y. Wang, K. Yao, 2016, Reducing the variation range of the switching frequency for
CRM boost PFC converter by injecting 3rd harmonic into the input current, 2016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Long Beach CA USA, pp.
1815-1822
Z. Guo, X. Ren, Y. Wu, L. Bai, Z. Zhang, Q. Chen, 2018, Optimum harmonics injection
to minimize bus capacitance of CRM boost PFC conveters meeting EN61000-3-2 Class D
limits, 2018 IEEE Applied Power Electronics Conference and Exposition (APEC) San Antonio
TX USA, pp. 2009-2014
K. Yao, Y. Wang, J. Guo, K. Chen, Aug 2018, Critical Conduction Mode Boost PFC Converter
With Fixed Switching Frequency Control, in IEEE Transactions on Power Electronics,
Vol. 33, No. 8, pp. 6845-6857
저자소개
He received a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orm Konkuk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in 2022.
He is currently work toward the a M.S. degree with the Energy Power Electronics Control
System Laboratory.
He received a B.S. and M.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hungju-si, South Korea, in 2009 and 2017,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working toward a Ph.D. degree with the Energy Power Electronics Control
System Laboratory.
His research interests include resonant converter and the design of high- density,
high-efficiency power converters.
E-mail : wlalsdn2005@hanayang.ac.kr
Rae-Young Kim received the B.S. and M.S. degrees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97 and 1999, respectively, and the Ph.D. degree from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VA, USA, in 2009, all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1999 to 2004, he was a Senior Researcher at the Hyosung Heavy Industry R&D Center,
Seoul, Korea. In 2009, he was an Engineering Researcher at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anta Clara, CA, USA. In 2016, he was a Visiting Scholar with the Center
for Power Electronics Systems (CPES),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Since 2010, he has been with Hanyang University, where he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E-mail : hcpark1@hanaya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