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연
(Ji-Yeon Ha)
1iD
이재호
(Jae-Ho Lee)
†iD
서동욱
(Dong-Wook Seo)
†iD
-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KIEE)
Key words
Array Antenna, Comb-line Array Antenna, Sidelobe Level (SLL), Automotive Radar
1. 서 론
차량을 비롯한 이동체의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로써 레이다는 카메라와 같은 영상센서와 함께 필수적인 센서로 자리 잡고 있다. 차량용 레이다는 초기 UWB
(Ultra-Wide Band) 24 GHz 대역에서 근거리 타겟 탐지용 레이다 기술을 시작으로 76~77 GHz 대역의 장거리용 레이다, 77~81
GHz 대역의 고해상도 근거리 차량용 레이다로 발전하고 있다 (1)-(3).
밀리미터파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차량용 레이다 센서의 경우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함으로써 전체 시스템 크기를 줄일 수 있으나 밀리미터파 주파수에서의
높은 경로 손실로 한 고이득 안테나가 요구된다. 고이득 안테나로 렌즈 안테나와 다수의 방사소자를 직렬(series) 또는 공동(corporate)
급전방식의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가 주로 사용된다 (4)-(7).
한편, 차량용 레이다의 경우 타겟까지의 정확한 각도 정보를 얻고, 타겟 외의 클러터 (Clutter)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낮은 부엽레벨 (SLL;
Sidelobe Level)을 갖는 안테나가 요구된다 (7)-(9). 배열 안테나가 낮은 부엽레벨을 가지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배열의 중심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방사하고 양쪽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적은 전력을 방사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열 안테나의 각 방사소자로부터 방사 전력이나 진폭 테이퍼링 (amplitude tapering)설계는 안테나의 부엽레벨을
낮추지만 주빔을 넓게 하는 트레이드오프 관계가 있으므로 시스템 요구사항에 따라 부엽레벨과 주빔 빔폭을 조정해야 한다. 일반적인 레이다 센서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스트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최소 -20 dB 이하의 부엽레벨이 요구된다.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테이퍼링을 위해 방사소자의 폭을 변경하여 방사되는 전력을 조정하는데, 방사소자에 의한 방사전력을 구하기 위하여 주로 단위셀
형태의 방사소자에 의한 S-파라미터 특성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간접적으로 방사전력을 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기해석 툴에서 방사소자의 방사전력을 직접 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차량용 레이다에 적용이 가능한 79 GHz 대역에서 -25 dB의
부엽레벨을 가지는 콤라인 형태의 직렬급전 배열 안테나를 설계하고 이를 제작하고 측정하여 검증한다.
2. 안테나 설계
2.1 방사소자
앞선 연구를 통하여 차량용 레이다를 위한 직렬급전 배열 안테나의 방사소자로 기존의 스텁(stub) 형태의 방사소자에서 급전선과의 연결부가 일정한 형태의
변형된 스텁형태를 제안하였다 (8).
그림. 1. 방사소자 구조: (a) 스텁형, (b) 변형된 스텁형
Fig. 1. Configuration of radiating elements: (a) stub shape, (b) deformed stub shape
그림 1(a)과 같이 기존의 스텁형 방사소자는 방사소자의 폭 (Wc)이 좁을 때는 그림 2(a)와 같이 대부분 스텁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전류가 생성되지만, 방사소자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그림 2(b)와 같이 스텁의 길이와 수직방향인 횡방향 전류가 흐르며 이것은 교차 편파 성분을 발생시킨다. 반면에, 그림 1(b)의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의 표면 전류 분포는 그림 2(c)와 같다. 기본적으로 단위셀의 포트로 동일한 1 W의 전력이 들어가더라도 그림 2(c)에 나타난 것처럼,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는 동일한 폭의 스텁형 방사소자에 비해에 높은 표면 전류 밀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교차 편파 성분이 발생하는 횡방향 전류가 방사소자 전체 면적에서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방사소자 표면 전류분포: (a) 좁은 스텁형 (Wc = 0.1 mm), (b) 넓은 스텁형 (Wc = 0.5 mm), (c) 넓은변형된
스텁형 (Wp = 0.5 mm)
Fig. 2. Surface current distribution on radiating elements: (a) narrow stub shape
(Wc = 0.1 mm), (b) wide stub shape (Wc = 0.5 mm), and (c) wide deformed stub shape
(Wp = 0.5 mm)
방사소자에 대한 해석을 위해 안테나 제작용 밀리미터파 기판 ASTRA MT77 (상대유전율: 3.0, 손실탄젠트: 0.0017, 기판두께: 0.127
mm)을 고려하여 79 GHz의 주파수에서 50Ω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선폭 0.3 mm의 급전선으로 설계하였다. 방사소자의 폭에 따라 방사전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방사소자의 폭에 따라 단위셀의 반사계수가 최소가 되는 방사소자의 공진길이 (Lc, Lp)를 선택한다. 다음으로는 단위셀의 투과계수의
각도가 180°가 되도록, 즉 반파장이 되도록 단위셀의 급전선 길이 (Wunit)를 결정한다.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의 경우 설계변수를 줄여 설계를
간단히 하기 위하여 급전선과 연결되는 부분의 폭 (Wm)을 0.1 mm으로 방사소자 폭이 급전선 연결부위까지의 변화되는 부분의 높이 (g)를 0.3
mm으로 고정한 후 최적의 폭과 길이를 결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최종 결정된 방사소자 폭에 따른 방사소자의 길이와 급전선 길이를 정리하여
그림 3과 같이 나타내었다. 기존의 스텁형태 방사소자는 폭에 따른 방사소자의 길이와 급전선 길이 변화가 큰 반면,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는 변화 폭이 0.05
mm 이내로 거의 일정한 값을 가진다.
그림. 3. 스텁형과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의 폭에 따른 방사소자의 길이와 급전선 길이
Fig. 3. Length of the radiating element and the length of the feeder line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stub-shape and deformed stub-shape radiating elements
2.2 방사소자에 의한 방사전력
방사소자의 폭에 따른 방사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단위셀 양쪽의 포트로부터 계산된 S 파라마터를 다음 식에 대입하여 방사 전력에
비례하는 급전선의 특성 어드미턴스 (Y0)로 정규화된 방사 컨덕턴스를 구하는 것이다 (8)-(10).
위 수식은 그림 4와 같이 단위셀이 병렬 컨덕턴스 하나로 구성된 2포트 네트워크에서 컨덕턴스 외의 전력을 소모하는 것이 없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이러한 2포트 네트워크의
산란특성은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그림. 4. 병렬 컨덕턴스를 가지는 2포트 네트워크
Fig. 4. Two-port network consisting of a shunt conductance gr between ports 1 and
2
식 (1)을 이용하여 단위셀의 방사전력을 구하는 방식은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방사소자에서 방사되는 전력 외의 단위셀에서의 손실이 없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밀리미미터파 대역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선로에서의 도체 손실과 유전체 손실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에 단위셀에서의 손실이 방사전력으로
계산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간접적인 방사전력을 구하는 방식 대신 단위셀의 경계에서 단위셀에 의하여 방사되는 전력을 계산한 결과를
바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즉, 단위셀 해석 영역의 외곽에 사용되는 방사 경계 (radiation boundary)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포인팅
벡터를 경계면에서 면적분함으로써 다음과 같이 방사전력을 계산한다.
단위셀 해석에서 사용한 전자기해석 소프트웨어, Ansys HFSS에서는 이러한 방사전력을 원전계 해석 (far-field analysis)을 통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림. 5. 방사소자 폭에 따른 정규화된 방사전력비
Fig. 5. Normalized radiation power ratio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adiating element
그림 5는 스텁형과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의 폭에 따른 전력을 식 (1)과 (3)에 따라 계산된 결과를 정규화하여 나타내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식 (1)의 컨덕턴스 계산 방법의 경우 손실까지 모두 방사전력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방사소자의 폭이 커질수록 방사전력비가 식 (3)의 방사전력비에 비해 크게 증가하여야 하지만 반대의 결과를 보인다. 이는 컨덕턴스를 구하기 위해 식 (1)에 대입하는 단위셀의 S21이 1.0에 매우 가까운 값이기 때문에 매우 높은 정밀도를 가지는 S21 값이 요구되는 반면 실제 전자기 해석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밀도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방사경계에서 계산된 방사전력과의 비율이 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계산된 단위소자의 방사전력을 사용하여 테이퍼링 함으로써 낮은 부엽레벨을 가지는 배열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한다.
2.3 낮은 부엽레벨을 가지는 콤라인 배열 설계
낮은 부엽레벨을 가지는 배열 안테나 설계를 위해 이항법 (binomial method), Dolph-Tschebyscheff 방법, Taylor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9)-(11). Dolph-Tschebyscheff 배열 설계는 동일한 레벨의 부엽을 생성하는 반면 Taylor는 주빔 주변의 부엽들이 일정한 레벨로 유지되고
나머지 부엽들의 레벨이 단조적으로 감소하는 패턴을 생성한다. 레이다 및 저잡음 시스템과 같은 경우 주빔의 양쪽에서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부엽레벨이
감소하도록 하는 것이 일정한 부엽레벨을 가지는 것보다 중요한 특성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낮은 부엽레벨을 위해 Taylor 방법을 적용한다.
그림. 6. 부엽레벨별 Taylor 윈도우의 18개 방사소자의 방사전력비
Fig. 6. Radiation power ratio of 18 radiating elements of Taylor window for each side
lobe level
그림 6은 테일러 윈도우를 이용하여 거의 균일한 레벨의 부엽이 3개이고 주빔 피크 대비 부엽레벨이 -20 dB, -25 dB, -30 dB인 18개 방사소자의
계산한 방사전력 분포를 균일 분포와 함께 나타내었다. -20 dB의 부엽레벨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운데 방사소자는 최외각 소자보다 방사전력비가 약 3.5배
큰 반면, -25 dB와 -30 dB 부엽레벨은 방사전력비가 약 7.6배, 14.3배 커야 한다. 그림 5의 결과와 같이 최대 0.8 mm의 스텁형 방사소자와 최대 0.9 mm의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는 식 (1)의 컨덕턴스를 이용한 방사전력비로는 최대 5배 정도로 구현이 가능한 반면, 식(3)의 계산 방사전력을 이용한 방사전력비로는 최대 13배가량 가능하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를 제안한 방사전력비로 설계하면 -25
dB의 부엽레벨을 달성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림 6의 -20 dB와 -25 dB 부엽레벨을 가지는 18개의 방사소자를 가지는 배열 안테나 설계를 위해 각 방사소자들의 방사전력비를 그림 5의 식 (1)과 식 (3)으로부터 얻은 방사전력비와 매칭하여 각 방사소자의 폭을 도출하여 표 1과 2에 정리하였다. -25 dB 부엽레벨을 위해서는 식 (1)의 컨덕턴스 계산법으로는 5배 이상의 방사전력비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표 2에 해당란을 공란으로 표기하였다.
표 1. -20 dB 부엽레벨을 가지는 배열 안테나를 위한 설계법에 따른 방사소자 폭
Table 1. Radiating element width according to design methods for array antenna with
-20 dB side lobe level
Element No.
|
Talyor
power
ratio
|
Width of radiating elements (mm)
|
Stub shape
|
Deformed
|
From (1)
|
From (3)
|
From (1)
|
From (3)
|
1, 18
|
1.0
|
0.1
|
0.1
|
0.1
|
0.1
|
2, 17
|
1.1
|
0.16
|
0.11
|
0.13
|
0.11
|
3, 16
|
1.3
|
0.27
|
0.15
|
0.20
|
0.14
|
4, 15
|
1.6
|
0.4
|
0.21
|
0.34
|
0.18
|
5, 14
|
2.0
|
0.53
|
0.28
|
0.55
|
0.26
|
6, 13
|
2.5
|
0.63
|
0.35
|
0.74
|
0.35
|
7, 12
|
3.0
|
0.71
|
0.41
|
0.84
|
0.44
|
8, 11
|
3.3
|
0.73
|
0.44
|
0.86
|
0.49
|
9, 10
|
3.5
|
0.75
|
0.46
|
0.87
|
0.53
|
표 2. -25 dB 부엽레벨을 가지는 배열 안테나를 위한 설계법에 따른 방사소자 폭
Table 2. Radiating element width according to design methods for array antenna with
-25 dB side lobe level
Element No.
|
Talyor
power
ratio
|
Width of radiating elements (mm)
|
Stub shape
|
Deformed
|
From (1)
|
From (3)
|
From (1)
|
From (3)
|
1, 18
|
1.0
|
0.1
|
0.1
|
0.1
|
0.1
|
2, 17
|
1.3
|
0.27
|
0.15
|
0.20
|
0.14
|
3, 16
|
1.8
|
0.47
|
0.24
|
0.45
|
0.22
|
4, 15
|
2.7
|
0.67
|
0.37
|
0.79
|
0.39
|
5, 14
|
3.8
|
0.77
|
0.49
|
0.88
|
0.57
|
6, 13
|
5.1
|
0.84
|
0.59
|
0.88
|
0.73
|
7, 12
|
6.2
|
|
0.64
|
|
0.80
|
8, 11
|
7.1
|
|
0.66
|
|
0.84
|
9, 10
|
7.6
|
|
0.68
|
|
0.85
|
3. 해석 및 측정결과
그림 7과 같이 식 (3)의 방사경계에서 계산된 방사전력으로부터 스텁형 방사소자를 이용하여 -20 dB, -25 dB의 부엽레벨을 가지는 직렬배열 안테나와 변형된 방사소자를
이용하여 -25 dB의 부엽레벨을 가지는 직렬 배열 안테나를 설계하였다. 각 방사소자의 폭은 표 1과 2에 나타난 것과 같다.
그림. 7. 18개의 방사소자로 구성된 직렬급전 콤라인 배열 안테나: (a) -20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b) -25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c) -25 dB SLL 설계목표의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
Fig. 7. Series-fed comb line array antenna consisting of 18 radiating elements: (a)
stub shape for -20 dB SLL, (b) stub shape for -25 dB SLL, and (c) deformed stub shape
of -25 dB SLL
그림 8과 같이 설계한 배열 안테나는 ASTRA사의 MT77 기판 (상대유전율 3.0, 손실탄젠트: 0.0017, 기판두께: 0.127 mm)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안테나 성능 측정을 위해 안테나 급전부에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전이부 (transition part)를 설계하여 WR-10 도파관과
체결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9)- (11).
그림. 8. 18개 방사소자로 구성된 직렬급전 콤라인 배열 안테나 프로토타입: (a) -20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b) -25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c) -25 dB SLL 설계목표의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
Fig. 8. Series-fed comb line array antenna prototypes consisting of 18 radiating elements:
(a) stub shape for -20 dB SLL, (b) stub shape for -25 dB SLL, and (c) deformed stub
shape of -25 dB SLL
그림 9에 제작한 안테나의 정규화된 방사패턴의 측정 결과를 HFSS의 해석 결과와 함께 나타내었다. 측정된 방사패턴은 해석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그림 9(a)의 -20 dB SLL을 목표로 스텁형 방사소자로 설계된 배열 안테나의 경우 첫 번째 부엽의 SLL이 해석과 측정 결과로 각각 -18.26 dB,
-18.16 dB로 설계 목표치에 약 2 dB 가량 높다. 이것은 (6)과 (8)의 연구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스텁형 방사소자의 폭이 넓어질수록 교차 편파 성분이 급격히 증가하기 때문이다. 그림 9(b)의 -25 dB SLL을 목표로 스텁형 방사소자로 설계된 배열 안테나의 경우 해석 및 측정 SLL이 -16.82 dB와 -16.42 dB로 설계 목표치에
비해 9 dB 가량 큰 값으로 새로운 설계법으로도 전혀 목표 SLL에 근접하지 못하고 오히려 -20 dB SLL도 달성되지 않는다. 넓은 폭의 방사소자가
배열의 중심부에 추가되더라도 SLL은 오히려 악화되는 결과로 넓은 폭의 스텁형 방사소자의 동일편파 성분의 방사필드가 거의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2번째 부엽레벨은 주빔에 비해 -25 dB 이상 낮은 결과를 보인다. 그림 9(c)는 교차 편파의 방사필드가 상대적으로 적은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로 -25 dB SLL을 목표로 설계된 것으로 기존의 스텁형 방사소자로 설계된 것과는
달리 해석 시 -23.6 dB SLL과 측정 시 -22.22 dB SLL을 달성하였다. 설계목표치를 충분히 만족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로 -20 dB보다 더 낮은 부엽레벨을 가질 수 있음을 보인다.
그림. 9. 직렬 급전 콤라인 배열 안테나의 79 GHz에서의 정규화된 방사패턴 해석 및 측정 결과: (a) -20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b) -25 dB SLL 설계목표의 스텁형 방사소자, (c) -25 dB SLL 설계목표의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
Fig. 9. Simulated and measured normalized pattern of series-fed comb line array antenna
at 79 GHz: (a) stub shape for -20 dB SLL, (b) stub shape for -25 dB SLL, and (c) deformed
stub shape of -25 dB SLL
그림 10은 -25 dB의 SLL 목표로 설계된 변형된 방사소자로 구성된 배열 안테나의 78, 79, 80 GHz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2 GHz
대역에서 -25 dB의 부엽레벨을 만족하지는 못하지만 -20 dB 이하의 부엽레벨은 충분히 만족함을 보여준다.
그림. 10.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로 구성된 -25 dB SLL 설계목표의 직렬 급전 콤라인 배열 안테나의 78, 79, 80 GHz에서의 정규화된
방사패턴 해석 및 측정 결과
Fig. 10. Simulated and measured normalized pattern of series-fed comb line array antenna
consisting of 18 deformed stub shape radiating elements for -25 dB SLL at 78, 79,
and 80 GHz
5. Conclusion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사 컨덕턴스 기반의 방사전력비가 아닌 전자기해석 툴의 방사경계에서 계산된 방사전력을 이용하여 방사전력비를 활용하여 배열 안테나의
테어퍼링을 적용하여 설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방사 컨덕턴스 기반의 설계법은 간접적으로 방사전력을 계산하는 대신 제안한 방법은 직접 방사전력을
계산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설계 목표 부엽레벨에 가깝게 배열 안테나 설계가 가능함을 보였다.
특히, 교차 편파의 방사필드가 상대적으로 적은 변형된 스텁형 방사소자로 -25 dB SLL을 목표로 설계된 직렬급전 콤라인 배열 안테나는 해석 시
-23.6 dB SLL과 측정 시 -22.22 dB SLL을 달성하였다.
향후 제안한 방사전력 계산 방법에 교차 편파와 동일편파 성분을 분리하여 스텁형 방사소자만으로 -25 dB 이하의 부엽레벨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법에
대한 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21R1I1A3044405),
by the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Research Fund in 2023, and by research funds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References
J. Massen, M. Frei, W. Menzel, U. Möller, 2012, A 79 GHz SiGe Short-Range Radar Senso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I. Lee, J.-H. Lee, H. Kim, D.-W. Seo, 2021, Automotive Radar Technology Trend -
Focusing on Antenna Technology, the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Vol. 32, No. 6, pp. 46-56
M. Kishida, K. Ohguchi, and M. Shono, 2015, 79 GHz-Band High-Resolution Millimeter-Wave
Radar, Fujitsu Sci. Tech., Vol. 51, No. 4, pp. 55-59
L. Mall, R. B. Waterhouse, 2001, Millimeter-Wave Proximity- Coupled Microstrip Antenna
on an Extended Hemispherical Dielectric Lens,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49,
No. 12, pp. 1769-1772
J.-Y. Ha, D.-W. Seo, Apr 2023, Calculation of Optimum Feed-Line Impedance of Series-fed
Microstrip Antenna using Image Parameter Method and Bloch Theory,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 47, No. 2, pp. 78-83
S.-H. Lee, J.-H. Lee, D.-W. Seo, 2020, mmWave Band Microstrip Comb-Line Array Antenna
for a Low Sidelobe Level, J. Korean Inst. Electromagn. Eng. Sci., Vol. 31, No. 10,
pp. 855-862
H. Cho, J.-H. Lee, J.-W. Yu, B. Ahn, Apr 2023, Series-Fed Coupled Split-Ring Resonator
Array Antenna With Wide Fan-Beam and Low Sidelobe Level for Millimeter-Wave Automotive
Radar, IEEE Trans. Veh. Technol., Vol. 72, No. 4
J.-I. Lee, J.-H. Lee, S.-H. Lee, D.-W. Seo, Oct 2022, Low Sidelobe Design of Microstrip
Comb-Line Array Antenna Using Deformed Radiating Elements in the Millimeter- Wave
Band, IEEE Trans. Antennas Propag., Vol. 70, No. 10, pp. 9930-9935
J.-H. Lee, J.M. Lee, K.C. Hwang, D.-W. Seo, D. Shin, C. Lee, Aug 2022, Capacitively
Coupled Microstrip Comb-Line Array Antennas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IEEE
Antennas Wireless Propag. Lett., Vol. 19, No. 8, pp. 1336-1339
J.-H. Lee, S.-H. Lee, H. J. Lee, J.-H. Oh, J.-Y. Kim, I.-K. Cho, D.-W. Seo, 2022,
Design of Comb-Line Array Antenna for Low Sidelobe Level in Millimeter-Wave Band,
IEEE Access, Vol. 10, pp. 47195-47202
Y. Hayashi, K. Sakakibara, M. Nanjo, S. Sugawa, N. Kikuma, H. Hirayama, Feb 2011,
Millimeter-Wave Microstrip Comb-Line Antenna Using Reflection-Canceling Slit Structure,
IEEE Tran. Antennas Propag., Vol. 59, No. 2
Constantine A. Balanis, 2005, Antenna Theory: Analysis and Design, 3rd ed, Hoboken,
Vol. nj: john wiley
저자소개
She received her B.S. degree in radio engineering from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in 2023.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onic and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in 2002, and the M.S.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aejeon, Korea, in 2004.
He was also awarded his Ph.D. degree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from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TIT), Tokyo, Japan, in 2010.
He is currently an Assistant Professor with the Dept. of Electronics Engineering at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South Korea.
He received the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NU), Daegu, South Korea, in 2003, and the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Daejeon, South
Korea, in 2005 and 2011,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n Associate Professor with the Division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Information Engineering at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KMOU), Busa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