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lectrical Engineering, Handong Global University, Korea)
  2. (School of Global Entrepreneurship and ICT, Handong Global University, Korea)



User Experience, AI Literacy, Topic Modeling, Technology Adoption Model, ChatGPT, Platform Innovation, Mobile Grocery Shopping

1. Introduction

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식료품 거래(Mobile Grocery Shopping)가 활성화되며, 소비자들은 불확실성을 낮추고 더 나은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1]. 상품구성 대비 가격비교 뿐만 아니라 각 종 인증마크, 원산지 확인, 나아가 믿을 만한 기관의 추천, 커뮤니티의 입소문 등도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보편화되었다[2]. 이 중 개인 차원에서 가장 빠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기존에 경험을 토대로 작성한 다른 고객들의 구매후기(Purchase Review)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품구매 후 특별한 인센티브나 동기가 주어지지 않는 이상 구매후기를 충분히 확보하기는 어려운 구조에 놓여있다.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구매자의 약 10% 정도가 구매후기를 작성하고 있다는 추정치[3]를 보더라도 수요자 측면에서 상품구매로 대부분 완결되는 목적형 고객여정 이후에 지속할 동기요인이 충분하지 않은 부분이 크다. 사실 그보다 어려운 구조는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플랫폼 자체의 기능과 방식 때문이기도 하다[4]. 대부분 가이드와 예시가 없는 상태에서 텅 빈 흰색 게시판 공간을 마주하는 고객들은 우선 막막함을 느끼고, 최소 글자수(보통 10자)기준 이상 경험을 입력해야 하는 부담감에 오히려 작성을 보류하거나 이탈하게 된다. 아울러 관련 사진을 함께 올려 달라는 요청 또한 제품구매 고객의 여건 상 택배상자 혹은 단순한 상품 겉면 박스/포장 사진으로 불만족스럽게 갈음되거나 아예 올리지 않게 되는 좌절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상품 공급자와 플랫폼 담당자는 고객들의 구매 후 반응, 긍부정의 경험, 만족도를 애타게 필요한 상황임에도 고객입장과의 간극이 있다. 많은 경우 매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거나 메인 표면에 드러나는 이벤트, 프로모션, 상품 소싱, 즉각적인 고객응대로 인해 구매후기 작성 과정 개선이나 가이드 운영정책 고도화 업무는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고객들의 풍부한 구매경험과 의견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식료품 거래 플랫폼이나 서비스에서 담아낼 수 있을지는 이커머스(e-Commerce) 업계의 지속적인 관심사이다[5]. 이러한 맥락에서 전자상거래 업계의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객들의 진짜 마음을 읽어내고 발 빠르게 개선해 나가는 일은 점차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학술적으로도 기존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소비자들의 직접적인 피드백이 상품 구매와 해당 플랫폼 브랜드 자체 신뢰도 향상에도 효과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은 다수의 선행연구로 지지되었다[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한 구매자들의 구매경험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주요 기술을 제안하고, 실제 고객들의 반응을 조사하고자 한다. 기존 구매고객들의 작성후기를 바탕으로 주요 단어의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시각화 제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반 주제별 상세후기 제시, 검색 기반의 후기 모아보기와 함께 고객 희망단어 선택 시 AI 지원 구매후기 초안작성 기능을 제안한다. 이를 중심으로 고객들이 어떤 편의를 느끼고,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얼마나 신뢰하고 추천하는지 등 주요 반응을 함께 정리할 것이다. 구매후기의 중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활용하고자 하는 고객과 업무 담당자들에게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주는 것은 물론, 소비자 반응에 관한 기존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학술적 기여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 Theoretical Background

2.1 Online Customer Review Research Trend

보편적으로 온라인 구매후기는 특정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들이 자신의 사용경험이나 평가를 댓글의 형태로 디지털 공간에 게재한 글이다[7]. 오늘날 90%의 소비자들이 구매결정 시에 후기를 읽는다는 조사결과가 있는 만큼 구매후기는 중요하고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8,9]. 다수의 선행연구는 기본적으로 디지털화된 입소문(eWoM) 및 후기 속성에 대해 평점과 총 개수로 구분하여 기업의 성과창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10]-[12]. 구매후기는 크게 서술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평점과 같이 점수로 표현하거나 이미지, 영상 등이 함께 제시되는 경우도 많다[13]. 이에 구매후기 속성(평점, 댓글의 양, 이미지 정보)은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인 소비자 참여 형태라 할 수 있다[14].

나아가 구매후기의 유용성은 온라인 상품 후기가 다양한 상품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품질, 사용경험 등)를 제공하여 다른 소비자들이 구매결정을 내릴 때 도움을 주는 점도 확인되었다[7], [15]. 특히, 온라인 B2C 쇼핑 사이트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후기의 유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투표 도구도 제공한다. 즉, 후기를 읽은 후 독자는 '좋아요', 󰡐도움되었어요󰡑 등의 버튼을 클릭하여 후기 유용성에 투표할 수 있다. 이러한 후기 유용성은 상당수준 제품의 품질을 반영하며 "제품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됨", "제품에 익숙해지는데 도움이 됨" 또는 "제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으로 측정되었다[6]. 따라서 후기 유용성은 종종 온라인 상품 구매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능력의 주요 척도로 채택된다[15]-[17].

2.2 Online Customer Review Research with AI

한편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고객반응을 연구하는데 많은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1], [7]. 대표적으로 대화형 챗봇을 활용하여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증진한 연구는 기존 고객접점 기술 기반의 연구성과를 계승하는 결과를 잘 보여주고 있다[8], [9]. 아울러 기계학습(ML) 및 딥러닝(DL) 모델을 활용하여 음식배달서비스(FDS) 도메인의 온라인 리뷰를 기반으로 고객감정을 예측한 연구도 흥미롭다[10], [11]. 이러한 모델은 고객의 정서 예측에 있어 높은 정확도를 보였지만, 그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가능성이 부족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nirban과 그 동료 연구자들은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SHAP) 및 Local Interpretable Model-agnostic Explanations(LIME)과 같은 설명 가능한 AI(XAI) 기술을 사용하여 모델에 의해 수행된 예측을 설명했다[5]. 궁극적으로 고객 피드백을 바탕으로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11], [14]. 전반적으로 최근의 연구들은 식품산업에서 고객반응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데 관심을 가졌다[1]. 나아가 이를 고객경험 향상으로 연결시키는데 있어 AI와 디지털 기술의 잠재력을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다[6], [13].

또한 구매후기 작성을 위한 AI 지원에 대한 사전 연구에서는 몇 가지 주요 문제가 확인되었다. 온라인 리뷰 게시에 대한 소비자의 낮은 참여율은 항상 문제로 지적이 되어왔으며, 실제로 고객들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구조가 설계되어 있는지에 대해 주요 쟁점이 있어왔다[17], [18]. 이는 여러 고객층, 그 중에서도 중간영역에 있는 다수의 소비자들이 리뷰 생태계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탐구로 이어져왔다[17]. 특히, 서면 콘텐츠의 편견과 신뢰성을 평가할 때,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변화시키는데 있어 알고리즘 도구의 효과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사용자의 일반적인 작업 패턴에 부합하고 개인의 구매후기 글쓰기 과정을 지원하는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모바일 식품 구매(MGS) 등 고객경험 및 구매리뷰 작성을 위한 AI 지원의 복잡성과 이 분야에 대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8].

2.3 Challenge to Online Customer Review Future Research

바야흐로 급변하는 산업에 따라 세분화된 디지털 서비스가 출시 및 발전되며 구매후기 연구의 지평이 넓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구매후기의 규모와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분야별 구매후기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는 제한적이었다[6]. 해당 분야의 연구들이 이론적 제안이나 분석의 틀로 검토되어 아직 실제 서비스에 적용될 만큼 충분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객대상으로 실제 검증이 되지 않은 자가입력식 설문에 그치고 있어 실무적으로, 정책적으로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구매후기 개선제안의 시범설계(프로토타입)를 기반으로 직접 고객들이 체험한 근거를 수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에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분석틀을 활용, 고객과 생산자, 판매자와 플랫폼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에게 의미있는 분석결과를 제공하고자 한다.

3. Research Agenda

본 고에서는 구체적으로 󰡐구매후기 작성 AI 지원을 통한 고객경험 증진󰡑을 연구하고자 한다. 즉, AI 추천 후기 지원의 기능적 가치 인식에 대하여 사용자의 AI 서비스 사용기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탐구한다. 초기 사용자들이 장기 사용자보다 AI 추천 서비스에 대한 평가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여, 신기술 수용과정을 기반으로 AI 서비스 사용기간이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설명하고자 했다.

또한, 인구통계학 정보 중 연령대에 따라 AI가 추천한 후기 기능에 대한 유용성, 중요성, 신뢰성, 가치지불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했다. 응답자 그룹을 20대, 30대, 40대 이상 집단으로 구분하여 ANOVA 분석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있는지 검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AI 기술을 통합한 다양한 후기 관련 서비스 기능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특히, 필터링, 토픽모델링, AI 지원 후기 초안 작성, 워드 클라우드 시각화 등의 기능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율성과 직관성이 사용자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4. Research Design

4.1 Research Method of AI-powered Review Generation

구체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가지 단계로 조사를 설계하였다. 먼저 최근 1년 내 식품을 1회라도 온라인 및 모바일로 구매해본 이용자 30명을 대상으로 구매후기 작성경험을 개방형 질문으로 수집했다. 2023년 6월 17일부터 25일까지 수집된 주요 내용을,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매후기 작성 시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와줄 수 있는 기능에 대해 크게 4가지로 정리했다. 기존 구매고객들의 작성후기를 기반으로 주요 단어의 워드 클라우드 시각화 제시, 토픽모델링 기반 주제별 상세후기 제시, 검색 기반의 후기 모아보기와 함께 고객 희망단어 선택 시 AI 지원 구매후기 초안 제안 기능이 그것이다.

다음 단계로 해당 기능별로 고객들이 시범사용 후 설문을 응답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온라인 구매경험이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접근하여 살펴볼 수 있도록 웹(Web) 형태로 구현하고자 2023년 6월 기준 가장 경쟁력 있는 스트림릿(Streamlit) 개발도구로 작성했다. 이 해당 기능의 구현에 대해서는 다음 장에서 자세하게 더 설명하고자 한다. 나아가 시범사용 후 설문은 구글(Google) 설문도구를 활용하여 7개의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함께 구매후기 작성지원 기능별 유용함과 만족도 등을 묻는 2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기본적인 내용과 방식, 설문참여에 대한 윤리적인 안내와 함께 자발적인 방식으로 2023년 8월 1일부터 15일 간, 온라인 커뮤니티와 게시판을 통해 무선 수집했다. 그 결과 총 273부가 수집되었으나, 불성실 응답과 시스템 오류에 따른 중복 집계된 응답을 제외 후 255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했다. 이를 바탕으로 해당 기능을 사용해본 경험과 생각, 제안 등에 관한 내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의 인구통계학적 정보는 다음과 같다.

표 1 인구통계학 정보

Table 1 Demographic of Survey Respondents

Category

Response

Number of Respondents

Ratio

Gender

Female

132

51.76%

Male

123

48.24%

Age

20s

92

36.08%

30s

76

29.80%

40s

65

25.49%

Residence

Seoul

100

39.22%

Metropolitan Area (Gyeonggi, Incheon)

66

26.20%

Gyeongsang Region (Including Daegu, GB, Busan)

64

25.10%

Family Type

2-Generation Family (Couple + Unmarried Children)

118

46.27%

Single Household (Living Alone)

75

29.41%

4.2 Research Method of AI Review Generation Prototype

통상적으로 기존 웹 개발은 클라이언트와 서버(Client-Server)를 나누어 구현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나, 높은 자유도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 대비 실제 많은 자원이 소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연용 특성의 효과적 구현을 위해 빠른 웹 프로토타이핑에 적합한 스트림릿(Streamlit)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개발도구인 만큼 오픈소스 형태로 다양한 기능을 구성요소(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적은 자원으로 빠르게 결과물을 공유할 수 있다(<그림 1>). 보일라(Voila), 플라스크(Flask) 등의 유사서비스 대비 강력한 기능과 다수 사용자의 커뮤니티 지원 기능으로 문제해결 반영을 하기에 적합하며, 구현 후 배포까지 일괄 지원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9].

그림 1. 파이썬 기반 스트림릿(Streamlit) 개발도구 활용 시연페이지 개발

Fig. 1. Web demo prototyping with the Streamlit based on Python framework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1.png

해당 시연 페이지 개발은 1차 고객조사를 통해 정리한 주요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기획하고, 실제 기능적으로 구현하는 데까지 약 4주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구현된 1차안으로 진행한 시범 사용(Pilot Trial) 결과, 사용자들이 남긴 후기의 정렬방식과 표출형태의 개선과 함께 접속기기(디바이스)별 모바일 최적화를 보완하였다. 이는 프로토타입 개발과 테스트가 노트북PC 웹 기반으로 진행되나, 이에 반해 실제 사용자는 이동형 접속기기로 구매 및 설문하는 비율이 더 높은 사용자행동패턴을 반영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였다. 마지막으로 시연 페이지 안에서 사용자들의 이용형태와 접속기록을 수집하기 위해 데이터집계 기능(streamlit-analytics 라이브러리)도 추가하였다.

그림 2. 시연 페이지 스크린샷, a) 후기 워드클라우드 b) CombinedTM으로 생성된 주제들 c) 주제별 선별 후기들 d) 선택된 주제 기반으로 ChatGPT로 생성된 추천 후기

Fig. 2. Demo page screenshots. a) Word cloud of existing reviews. b) Topics generated by CombinedTM and pictures in relevance. c) Topic-based filtered reviews. d) ChatGPT-generated review example.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2.png

<그림 2>와 <표 2>와 같이 해당 시연 페이지의 주요 컴포넌트는 크게 4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상단부터 순서대로 주요 단어의 워드 클라우드 형태의 시각화 제시, 토픽모델링 기반 주제별 상세후기 제시, 검색 기반의 후기 모아보기와 함께 고객 희망단어 선택 시 AI 지원 구매후기 초안 제안 기능이다. 먼저 1번 영역인 '워드 클라우드'는 기존 고객작성 후기에서 많이 언급된 단어에 대한 시각화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며, 두 글자(2-gram) 이상을 기준으로 상품평가 정보를 유의미하게 전달했다. 해당 데이터는 2022.12.31 기준 국내 대표 식품전문몰(마켓컬리)의 베스트상품 90개에 대한 상품별 36개월 치 구매후기 를 기준으로 했다. 즉, 파이썬(Python) 웹 크롤링 라이브러리 셀레니움(Selenium)을 활용하여 약 196만 건을 수집하였고, 이를 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제하였다. 나아가 2번 영역인 '토픽모델링 기반 주제별 상세후기' 제시도 CombinedT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집된 식품후기에서 큰 유형으로 분류되는 상품상세, 배송상태, 활용방식 등 3가지 주제별 고빈출 단어를 3개씩 제시하였다[20]. 이때 키워드 순서는 페이지 접근 및 실행 시마다 무작위로 제시하여 측정의 타당성을 도모했다.

표 2 시연페이지 구성 상세

Table 2 Demonstration Page Configuration Details

Component

Ratio

Description

Product Description

10%

Product images, names, prices, detailed information, etc.

Word Cloud Visualization of Key Words

20%

Visualization of frequently used words in a word cloud to foster intuitive understanding

Topic Modeling-Based Detailed Reviews

17%

Grouping keywords frequently occurring words with high similarity related to product condition, delivery status, and usage

Review Collection (Filtering)

16%

Displaying reviews that include keywords shown in the topic modeling results for easy collection

AI-Supported Draft Review Suggestion

15%

Displaying an example review using selected words in the review writing section to facilitate easier review writing and submission

Other Areas

22%

Demonstrations of review writing and result checking, etc.

또한 3번 영역인 '후기 모아보기' 기능은 토픽모델링 결과의 어휘를 포함하는 후기를 최신순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5개씩 정렬,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4번 영역에는 추천목록 내 고객이 원하는 희망단어 선택 및 검색 시, 'AI 지원 구매후기 제안' 기능을 구현했다. 이는 ChatGPT API를 사용하여 적절한 후기 초안을 제시하도록 했다. 이는 고객이 아무런 기초정보(Que) 없이 후기작성에 드는 노력을 감소시키며, 초안에 불만족한 경우 새로고침 기능으로 다른 후기 초안을 참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기능적으로 빠르고 쉬운 시작(Warm Start)을 통해 어려운 출발(Cold Start) 장벽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도록 제안했다[21]. 이에 시연 페이지를 기반으로 참여자들은 AI가 작성한 후기와 실제 후기를 평가하는데 참여했고, 나아가 만족도 평가를 수행했다. 우리 이 결과를 통해 AI 작성 후기의 정확성과 만족도 측면에서의 효과를 분석할 것이다.

5. Data Analysis and Implication

5.1 Process satisfaction of checking and writing reviews

온라인 상품 후기의 중요도에 비하여 사용자들의 후기 확인과 작성 과정 만족도는 차이를 보인다. 온라인 상품 후기의 중요성과 후기도움 정도, 그에 따른 후기 확인 및 작성 과정에 대한 만족도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그림 3>과 같다. 대다수의 사용자(72%)는 후기를 자주 읽는다고 답했다. 사용자는 후기를 통해 객관적인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에 따른 실제 상품의 품질과 결함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후기정보를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하여 실제로 좋은 상품인지 평가하여 더 좋은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 후기를 탐색한다[22]. 이에 따라, 후기의 도움 정도 역시 높은 수치(80%)를 보였다. 그에 비하여 후기 확인 및 작성 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에 대한 중요성은 높은데 반해,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후기 확인 및 작성 과정에서의 고객경험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 구매후기 확인 및 후기사용과정 만족 정도 비교

Fig. 3. Comparison of frequency of purchase review confirmation and satisfaction with post-use process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3.png

5.2 Relationship between AI usage period and attitude

먼저 본 연구에서는 AI가 추천한 후기 기능에 대한 주요 인구통계학적 그룹 간의 측정항목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해보고자 했다. 이 중 <표 3>과 같이 AI 서비스 사용기간에 따라 유용함, 중요도, 신뢰도, 가치지불의향의 차이가 있는지 만-휘트니 (Mann-Whitney) U검정을 통해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AI 서비스 사용기간이 3개월 이하인 사용자들이 3개월 초과 그룹 대비 AI가 제안한 후기 서비스에 대해 더 큰 가치를 지불할 의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계적으로 그 차이가 유의미했으며(*p<.05), 이는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에 근거하여 새로운 기술 사용기간에 따른 사용자들의 반응주기로 추론할 수 있었다[23]. 즉, 신기술 도입 초반부에 사람들이 느끼는 신기함과 호기심에 가치를 지불할 의향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이다가, 일정기간이 지나 익숙해지며 대체재나 보완재의 등장에 따라 산업 내 상대가치가 낮아지는 현상과 유사했다.

표 3 Mann-Whitney U 검정 결과 (AI 사용 3개월 기준 그룹 차이)

Table 3 Mann-Whitney U test results (AI usage period group gap by 3 months)

Question Item

U-statistic

p-value

Q.1유용함 Usefulness of the feature

7614.1

0.809

Q.2중요도 Importance of AI-recommended review service

7820.0

0.901

Q.3 신뢰도 Trustworthiness of AI-recommended review

8218.4

0.404

Q.4 가치지불 Willingness to pay for AI-recommendation (*p<.05)

8958.5

0.031*

표 4 AI 사용기간에 따른 유용성, 중요성, 신뢰성, 가치지불 의향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usefulness, importance, reliability, and willingness to pay value according to AI usage period

AI Usage

Usefulness

Importance

Reliability

Willingness to Pay

3 months or less

4.25

3.92

3.88

3.47

More than 3 months

4.25

3.96

3.71

2.67

또한, <표 4>와 같이 모든 사용자들이 유용성과 중요성에 대해 높은 평가를 준 것에 비해 신뢰성과 가치지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준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24]. 기술수용(TAM)의 관점에서 노력기대 부분을 고려할 때, AI 사용기간에 따라 인지된 사용용이성(PEoU) 및 유용성(PU)을 유지, 증가하는 방안을 기대해볼 수 있다[25]. 나아가 실제 목적지향적인 재화나 서비스를 구매 및 사용하는 것보다, 부가적인 구매후기를 작성하는 행동에 AI 지원기능이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실증적으로 탐구한 의의가 있다. 이와 관련된 실무적인 시사점과 후속연구 제안은 다음 장에서 이어가고자 한다.

5.3 ANOVA test results by age group

또한 <그림 4>와 같이 연령대에 따라 AI가 추천한 후기 기능에 대한 인지적 차원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유용함, 만족도에 비해 가치지불지향 및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이 중 신뢰도에 있어서만 각 연령대별 그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67, p<0.5).

나아가 ANOVA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기 때문에, 세 그룹 간의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후검증(Post-hoc Test)을 진행했다. 다양한 사후검증 방법 중, 본 연구에서는 Tukey's HSD 방법을 사용하여 20대, 30대, 그리고 40대 이상 그룹 간의 평균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표 5>와 같이 다른 집단별 차이 대비 30대 그룹(b)과 40대 이상(c) 그룹에서 약 0.536 평균차가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관련 선행연구 중 30대가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만큼 기술 중립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26].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주관한 대국민 조사 인공지능 이용 인식조사 정부 보고서에 의하면 전체 국민 중 59.8%가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특히 고령층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크다는 분석결과가 도출되었다[27]. 특히 2022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디지털격차(Digital Divide)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령화 정보화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의 정보화 수준 향상은 기술적용 서비스에 관한 연령대의 한계가 낮아짐을 기대할 수 있다. AI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대중화된 AI기술 사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서비스에 따라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림 4. AI 지원 고객후기 기능 관련 인식에 대한 연령대별 비교

Fig. 4. Comparison of usefulness, importance, reliability, and willingness to pay value according to age group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4.png

표 5 연령대별 평균 차이 Tukey's HSD 분석결과 비교

Table 5 Comparison of mean differences between age groups Tukey's HSD analysis results

Group 1

Group 2

Mean Difference

Lower Bound

Upper Bound

p-value

(*p<.05)

20s

30s

-0.464

-0.960

0.032

0.073

20s

40s +

0.072

-0.406

0.551

0.900

30s

40s +

0.536

0.033

1.039

0.033*

5.4 Usefulness and importance of the 4 main features

주요 기능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경험을 제공한 서비스가 높은 평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후기 관련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응답분석 결과는 <그림 5> <그림 6>과 같다. 설문을 통해 개별기능에 대한 유용성과 중요성에 관한 질문에 대하여, 7점 척도를 기준으로 중립(4)을 제외 후 유용함(5-7점)과 덜 유용함(1-3점), 중요함(5-7점)과 덜 중요함(1-3점)을 구분하였다. 전체적으로 후기 모아보기(필터링), 토픽모델링 기반 주제별 상세후기 제시, AI 지원 구매후기 초안 제안, 주요 단어의 워드 클라우드 시각화 제시 순으로 유용성과 중요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중요성 부분에서는 AI 지원 후기 제안 기능에 대한 신뢰성과 기술 준비도 부분에 영향으로 워드클라우드 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고 보인다.

그림 5. AI 지원 서비스 기능별 유용성 비교

Fig. 5. Comparison of Usefulness by Feature of AI-powered Service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5.png

그림 6. AI 지원 서비스 기능별 중요성 비교

Fig. 6. Comparison of Importance by Feature of AI-powered Service

../../Resources/kiee/KIEE.2024.73.2.334/fig6.png

<표 6>과 같이 필터링(Filtering) 기능에서 유용한 이유에 대한 응답결과로 기존 후기 확인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효율적이며 직관적이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능의 유용성 이유로는 토픽을 제시하여 주제별 상세후기를 확인하는 과정이 직관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AI 지원 후기 기능에 대해서는 AI가 제안한 후기로 리뷰 입력의 효율성이 증진되고 편의성이 증대하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기능의 시각화 제시의 유용성 이유에 대해서는 정보의 직관성을 보여주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이에 대한 해석으로, 전체적인 사용자가 각 새로운 기술을 적용한 서비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효율성 증대󰡓, 󰡒직관적인 정보 제공󰡓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26]. 각 기능별로 제공하는 정보와 사용방법, 세부적인 사용자 경험은 다르지만, 후기를 확인하고 작성하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대상에게 얼마나 시간과 노력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찾고 제공할 수 있는 지는 중요하다고 나타났다[29]. 개별 기능의 차별점은 강화하고 부족한 점에 대하여 사용자의 특성에 맞도록 보완한다면, 온라인과 모바일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후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고객경험이 더욱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26], [29].

표 6 주요 기능별 유용성 유무 선택 이유

Table 6 Reasons for Being Useful and Not Useful for Major Features

Category

Useful Reasons (Top1)

Unuseful Reasons (Top1)

AI Review

Increased efficiency in review writing (n=77)

후기입력 효율성 증진

25.2%

AI reviews are unuseful

(n=41)

AI 지원 후기 제공 불필요

25.3%

Filtering

Efficient exploration of related topics (n=101)

관련된 주제에 대한 효율적인 탐색

33.1%

Reviews unrelated to user's intent (n=53)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후기 검색

22.4%

Topic Modeling

Ease of capturing topics (n=93)

주제 파악의 용이성

30.4%

Suggesting irrelevant topics (n=42)

사용자의 의도와 다른 토픽 제안

30.1%

Word Cloud

Visual clarity (n=70)

시각적 직관성

22.9%

Lack of context (n=65)

문맥의 부재

37.4%

6. Conclusion

본 연구는 '구매후기 작성 AI 지원을 통한 고객경험 증진'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AI가 작성한 후기가 고객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혀냈다. 이를 통해 기업은 AI를 활용하여 고객의 구매후기 작성을 지원함으로써 고객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고객후기를 기반으로 한 자발적인 거래생태계 커뮤니티를 개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다양한 관점을 제공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학술적, 실무적, 정책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학술적 시사점으로는 AI와 고객경험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특히, 인공지능 서비스 신뢰성에 따른 향상에 있어 외연을 확장했다는 측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고객의 구매후기 작성을 지원함으로써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AI와 고객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기술의 적용 범위와 효과를 평가하는 데 기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산업 및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고객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러한 상관관계가 일관되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AI가 생성한 후기의 신뢰성이 고객의 구매의사결정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AI가 제공하는 정보의 진실성과 투명성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AI 기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실무적 시사점으로서도 고객 서비스 개선과 의사결정 지원 측면에서 또 다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을 확인했다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즉, 기업들은 인공지능(AI) 추천 후기와 토픽 모델링과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고객 서비스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고객 만족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 기반의 접근법과 AI 활용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적인 소셜커머스, 라이브커머스, 버츄어휴먼 스토어, 가상 쇼핑 플랫폼에 AI를 이용한 구매후기 지원 시스템의 도입은 디지털 고객경험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30].

본 연구에서 개발 및 테스트한 AI 기반의 추천 후기 서비스는 고객이 개인의 선호와 관심사에 따라 맞춤형 구매후기를 생성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고객경험의 품질을 높이는데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고객들은 AI가 생성한 후기 초안을 기반으로 쉽고 효율적으로 후기를 작성할 수 있었으며, 이는 후기 작성 과정에 새로운 차원의 고객경험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고객 후기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토픽 모델링, 워드 클라우드, 필터링 제시 기술을 융합한 구매후기 확인 작성 과정 관련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고객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서비스는 고객에게 제품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에 기반한 구매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본 고에서는 목적지향적인 구매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AI 지원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실무적으로 이는 AI 지원 시스템이 고객의 구매후기 작성에 어떠한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탐구는 기업이 고객 중심의 서비스를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단계이며, 고객경험을 향상시키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를 통해 AI 지원이 고객의 구매후기 작성에 있어 어떠한 추가적인 가치를 제공하는지 실증적으로 탐구할 필요가 있다. 기업은 AI 기술을 도입하고 활용하는데 있어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AI 기술이 가져올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것이다. AI 기술의 적용은 기업과 소비자 모두에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잠재력이 크며, 이는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통해 더욱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시사점에서는 AI 서비스 확장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AI 기반 서비스가 사용자경험과 만족도를 어떻게 향상시키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AI 서비스 확장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마련한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와 정책 입안자들에게 귀중한 자원이 될 수 있으며, 그들이 AI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과 지원을 장려하는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31]. 정책 입안자들은 이 연구를 활용하여 AI 기술의 도입이 특정 산업이나 시장에 어떠한 혁신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관련 기술의 연구 및 개발을 촉진하며, AI 기술교육 및 인재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의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32]. 이를 통해 AI가 경제적, 사회적 혜택을 최대화하면서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 산업과 문화적 배경에 제한되어 일반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맥락에서의 AI 기반 후기 서비스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무형의 경험이나, 디지털 및 IT서비스 등과 같은 이용후기의 중요성이 큰 서비스에서도 AI 기반 후기 서비스가 실질적으로 효과가 있는지 적용하는 연구도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문화적 차이와 같은 세밀한 후기 작성으로 사용자의 효율성과 서비스 자체의 신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생성형 AI 지원 후기의 신뢰성과 고객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신뢰성 높은 구매후기 작성에 대한 체계적인 조건들이 제시된다면, 후기의 내용과 정보전달 측면에서 더욱 좋은 품질에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동시에 AI 기술의 윤리적, 법적 측면을 포함한 다각도의 분석이 필요하다. 제안된 후기의 원천이 AI가 학습한 데이터에 원천을 두고 있기에 이를 응용한 서비스 제공 시 관련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다른 사용자의 정보와 의견 게시가 콘텐츠의 투명성과 개인정보보호 등 가이드를 어느 수준까지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데이터와 방법론의 한계를 인식하고, 보다 정교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AI 기술의 효과적인 적용 및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References

1 
Kenneth, Cukier. Commentary: How AI Shapes Consumer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85, no. 1, pp. 152-155. December 2020.DOI
2 
Jrme, De, la, Croix, de, Castri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hance personalization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the contact center space: Afiniti's technology case stud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Sloan School of Management, 2018.URL
3 
Nicolescu, Tudorache. “Human-Computer Interaction in Customer Service: The Experience with AI Chatbots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lectronics, vol. 11, no. 10, 1579, May 2022.DOI
4 
Anirban, Adak., Biswajeet, Pradhan., Nagesh, Shukla. Sentiment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of Food Delivery Services Using Deep Learning and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atic Review. Foods, vol. 11, no. 10, 1500, May 2022.DOI
5 
Anirban, Adak., Biswajeet, Pradhan., Nagesh, Shukla., Abdullah, Al-Amri. “Unboxing Deep Learning Model of Food Delivery Service Reviews Using Explainable Artificial Intelligence (XAI) Technique,” Foods, vol. 11, no. 14, 2019, July 2022.DOI
6 
Rietsche, Frei, Stoeckli, Sllner, “Not All Reviews Are Equal - A Literature Review on Online Review Helpfulness,” Proceedings of the 27th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ECIS), 2019.DOI
7 
H.G. Lee, and H. Gwak,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onsumer Reviews and Informatization Policy,” Korea Intelligence Society Agency, vol. 20, no. 3, pp. 3-17, 2013.URL
8 
K.Saleh, The Importance Of Online Customer Reviews, Retrieved from: ‘www.invespcro.com/blog’ [Online Resources]URL
9 
K. Zhao., A. C. Stylianou, and Y. Zheng, “Sources and impacts of social influence from online anonymous user reviews,” Information & Management, vol. 55, no. 11, pp. 16-30, 2018.DOI
10 
Y. Liu, “Word of mouth for movies: Its dynamics and impact on box office revenue,” Journal of marketing, vol. 7, no. 3, pp. 74-89, July 2006.DOI
11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product sales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ovie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vol. 84, no. 2, pp. 233-242, 2008.DOI
12 
F. Zhu, andX. Zhang, “Impact of online consumer reviews on sales: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and consum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rketing, vol. 74, no. 2, pp. 133-148, March 2010.DOI
13 
W. Chu, and M. Roh, “Exploring the Role of Preference Heterogeneity and Causal Attribution in Online Rating Dynamics,” Asia Marketing Journal, vol. 15, no. 4, pp. 61-101, 2014.DOI
14 
J. Kim, and S. J. Lennon, “Effects of reputation and website quality on online consumers' emotion, perceived risk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Research in Interactive Marketing, vol. 7, no. 1, pp. 33-56, 2013.DOI
15 
S. M. Mudambi, and D. Schuff, “What makes a helpful online review? A study of customer reviews on Amazon. com,” MIS Quarterly, vol. 34, no. 1, pp. 185-200, March 2010.URL
16 
Z. Jiang, and I. Benbasat, “Virtual product experience: Effects of visual and functional control of products on perceived diagnosticity and flow in electronic shopping,”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21, no. 3, pp. 111147, December 2004.DOI
17 
P. A. Pavlou, H. Liang, and Y. Xue, “Understanding and mitigating uncertainty in online exchange relationships: A principal-agent perspective,” MIS Quarterly, vol. 31, no. 1, pp. 105-136, March 2007.DOI
18 
P. Indrawati, C.P. Yones, S., and Muthaiyah, “eWOM via the TikTok application and its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omething products,” Asia Pacific Management Review, vol. 28, no. 2, pp. 174-184, June 2023.DOI
19 
K. Snehan, Streamlit Terms of Use: 2023 Documentation, Retrieved from: ‘docs.streamlit.io’ [Online Resources]URL
20 
B. Federo, T. Silvia, and H. Dirk, “Pre-Training is a Hot Topic: Contextualized Document Embeddings Improve Topic Coherence,” Proceedings of the 59th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the 11th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vol. 2, pp. 759-966, August 2021.DOI
21 
X.N. Lam, T. Vu, T.D. Le, and A.D. Duong, “Addressing Cold-Start Problem in Recommendation System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pp. 208-211, January 2008.DOI
22 
P. Qin, & S. Kwon, “A Cross-Country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Review Search on Purchase Satisfaction of Existing Buyer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 27 no. 6, pp. 53-73, December 2020.DOI
23 
M. Almaiah, Amin, R. Alfaisal, Said A. Salloum, F. Hajjej, R. Shishakly, A. Lutfi, M. Alrawad, A. Mulhem, T. Alkhdour, and R.Maroof, “Measuring Institutions' Ado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Integrating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with Technology Adoption Rate,” Electronics, vol. 11, no. 20, 3291, October 2022.DOI
24 
H. Kim, M. Do, S. Choi, and J. Choi,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AI Recommendation System-based Fashion Subscription Service and Intention to Use,”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 24, no. 1, pp. 26-54, 2023.URL
25 
H. Lee and J. Kim, “Effects of UTAUT on the Digital Literacy and Acceptance Intention of ChatGPT Users,”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vol. 11, no. 2, pp. 33-43, 2023.DOI
26 
C. Baek, “A Study on Satisfa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Users Using Quality Evaluation Method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 Journal of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vol. 21, no. 5, pp. 157-174, 2020.URL
27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mission. Public Survey Results: 2021 AI Utilization Awareness Survey. 2021.URL
28 
S. Song and S. Kang, “A Study on the Service Usability of IoT Smart De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vol. 25, no. 2, pp. 327-336, March 2022.URL
29 
H.J. Lee, S.Y. Kwon, and D.H. Min,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User Satisfaction of Mobile Grocery Shopping Customer Journey,”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vol. 28, no. 4, pp. 59-78, 2021.URL
30 
Y.G. Park, H.J. Lee, and D.H. Min, “The Effect of Live Broadcast of Fresh Food on Customer's Purchasing Intention,” The Journal of Industrial Distribution & Business, vol. 14, no. 9, pp. 31-39, November, 2023.DOI
31 
S. Song, D. Min, and H. Lee, “Analysis of Regulatory Sandbox Usage by IT Companie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vol. 22, no. 5, pp. 109-124, Oct. 2023.DOI
32 
H.E. Lee, J.W. Yoon, Y.H. Park, and H.J. Lee, “Expanding the Universal Lifelong Learning through Digital Education Engagements,” The Society of Convergence Knowledge Transactions, vol. 11, no. 4, pp. 105-111, 2023.DOI

저자소개

박수현 (Su-Hyun Park)
../../Resources/kiee/KIEE.2024.73.2.334/au1.png

She has received the B.S degree in 2021 and M.S degree in 2023 from the Handong Global University, Pohang, South Korea. She is currently working on pipelining NLP models, based on high-level of AI application experience in the GitHub, Kaggle, Python, Streamlit Global Community.

Tel: 054-260-3616

Email: suhyeonie@gmail.com

이예은 (Ye-Eun Lee)
../../Resources/kiee/KIEE.2024.73.2.334/au2.png

She has received the B.S. degree from Handong Global University in Pohang, South Korea, in 2024. As a developer, she specializes in creating realistic VR content, with expertise in utilizing engines such as Unreal and Unity. She has lots of experience and amazing insight in the AI and Arts.

Tel: 054-260-3616

Email: im.yeunn@gmail.com

이한진 (Han-Jin Lee)
../../Resources/kiee/KIEE.2024.73.2.334/au3.png

Dr. LEE, Hanjin (Cus) is a Professor of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School at Handong Global University in Pohang, South Korea. He received a Ph.D. at the Department of Digital Management (DDM), Korea University. His areas of interest belong in AI Literacy, Open Innovation, Digital Platform and User Experience(UX).

Tel: 054-260-3616

Email: cus@handong.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