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Electrical Engineering, Gangneung-wongju National University, Korea. E-mail: jgkim@gwnu.ac.kr)



Double-cage induction motor, Equivalent circuit diagram, Nameplate, Starting current, Starting torque

1. 서 론

유도전동기는 다른 전동기에 비해 간단한 구조와 견고성 그리고, 유지보수의 편의성이 우수하고 신뢰성이 높아 많은 회전 부하 구동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1,2,3,4,5,6,7]. 유도전동기의 가장 큰 단점은 기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높은 전류에 의한 전압강하가 다른 기기의 정상적인 동작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다. 유도전동기는 회전자 형상에 따라 전류와 토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1,2,3,8]. 그래서 출력이 높은 유도전동기는 보통 농형(single-cage)회전자를 대신해서 심구형(deep-bar) 회전자 또는 이중 농형(double-cage) 회전자를 사용하고 있다[1,2,3,8]. 이중 농형 회전자의 경우 낮은 기동전류에 높은 기동 토크를 요구하는 곳에 주로 적용하고 있다[8].

엔지니어는 부하 구동을 위해 유도전동기를 선정할 때 명판과 특성을 표시한 제작사의 시험 성적서를 참고한다. 이 시험 성적서와 명판에 기재된 데이터는 정격출력용량에 가깝게 운전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이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정격출력보다 낮게 기동하거나 운전하는 경우가 많다[5,7]. 그래서 출력의 변화에 따른 유도전동기의 구동 특성을 알기 위해서는 명판에 표시된 값으로부터 유도전동기의 특성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등가 회로도의 각 파라미터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도전동기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부분의 연구[6,7,9,10,11,12]는 회전자 형상이 회전자가 보통형인 경우를 대상으로 제어 또는 출력의 변화를 알고자 한 것이지만, 실제로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는 회전자에 두 개의 도체를 포함하고 있어 기동할 때와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 저항과 리액턴스의 변화가 달라지므로 전력, 토크 등이 보통 농형회전자와 다르게 나타난다. 그래서 낮은 기동전류와 높은 기동 토크 특성이 필요한 곳에 적용하는 이중 농형 회전자에 대한 동작 특성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도전동기의 명판에 표시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이중 농형 회전자를 갖는 유도전동기의 기동과 운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등가 회로도에 포함된 고정자와 회전자의 각 파라미터를 구한 다음, 기동에서부터 정상운전까지의 시간적인 변화에 따른 유도전동기의 전기적 특성 파라미터들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 등가회로도 파라미터

2.1 유도전동기 명판 제시 데이터

회전력을 요구하는 부하의 크기가 결정되면 이를 운전하는데 필요한 전동기의 용량을 선정하여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전동기의 용량은 효율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우선이다. 다음으로는 전동기의 기동 특성을 고려하여 극수, 역률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일반 엔지니어는 극수와 효율 그리고 역률 등을 제외한 나머지 전동기의 특성을 쉽게 구하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많은 엔지니어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전동기 명판 기재 내용을 기초로 해서 부하 운전에 적합한 전동기를 선정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전동기 명판에 표시된 제한적인 내용만으로는 기동에서 정상상태까지 운전하는 유도전동기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그래서 전동기의 회전자 형상에 따라 달라지는 전동기의 기동 및 정격속도 운전에서의 동작 변화를 미리 파악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낮은 기동전류에 높은 기동 토크를 얻기 위한 이중 농형 회전자에 대해 명판에 기재된 내용을 가지고서 등가 회로도의 파라미터를 구한 다음 기동에서부터 정상 속도로 운전할 때까지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였다.

표 1은 본 연구에 사용한 3상, 380V, 4극, 20, 50, 100마력의 유도전동기의 명판에 표시된 내용이다. 표 1에 제시한 유도전동기의 경우 회전자가 보통 농형(single-bar)인지, 심구형(deep-bar type) 인지 또는 이중 농형(double-cage type) 회전자를 가진 것인지를 파악하기 어렵다.

표 1 유도전동기 명판 기재 내용

Table 1 Contents of the induction motor nameplate

Parameters

Values

20 [hp]

50 [hp]

100 [hp]

Frequency [Hz]

60

60

60

Rotation speed [rpm]

1,775

1,775

1,775

Rated voltage [V]

380

380

380

Rated current [A]

31.8

78.1

157.4

Efficiency [%]

93

94

93.5

Power factor

0.77

0.77

0.77

표 1에서 제시한 유도전동기의 전기적인 상수는 정격출력용량으로 운전할 때 나타낼 수 있는 것들이다.

유도전동기는 정격출력보다 낮은 출력으로 운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명판에 제시된 데이터로[7] 부하의 변동에 따른 특성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등가 회로도에서 파라미터를 구해야 한다. 유도전동기의 등가 회로도에 표시하는 여러 가지 파라미터들은 저항 측정, 구속 및 개방 시험으로 구할 수도 있지만, 명판에 표시된 값들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구할 수 있는[7] 여러 가지 방법 등이 제안되어 있다[7,13,14,15,16].

2.2 이중 농형 회전자의 자속 분포

그림 1은 이중 농형 회전자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자에 두 개의 권선이 있다. 외부 케이지(outer cage)는 단면적이 작아 높은 저항 성분을 가지지만, 내부 케이지(inner cage)는 외부 것보다는 단면적이 커서 낮은 저항값을 가진다. 내부와 외부 사이에는 틈(slit)을 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틈은 내부 케이지 회전자 바(bar) 주변의 누설 자속에 대한 퍼미언스(permeance)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내부 케이지의 권선을 연결하는 누설 자속은 외부 케이지의 권선보다 훨씬 크므로 내부 케이지 권선은 더 큰 자기 인덕턴스를 가진다.

기동할 때 회전자에 유도된 전압은 전원주파수($f_{2}=f_{1}$)와 같으므로 내부 케이지 권선의 누설 리액턴스가 외부 케이지 권선에 비해 훨씬 높다. 외부 케이지 권선은 전류 흐름에 낮은 임피던스를 제공하므로 대부분의 기동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높은 저항값을 가지는 외부 케이지 권선은 높은 기동 토크를 얻을 수 있다.

회전자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자 기전력의 주파수($f_{2}=sf_{1}$)는 감소한다. 정격속도에서 두 권선의 누설 리액턴스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회전자 전류는 두 케이지 사이에서 나뉘며 저항값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외부 케이지의 저항은 내부 케이지의 약 5배 정도이다[13]. 따라서 전동기의 토크는 주로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내부 케이지에서 발생하게 된다.

그림 1. 이중 농형 회전자의 구조 및 자속 분포

Fig. 1. Structure and magnetic flux distribution of double squirrel cage rotor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1.png

그림 2. 이중 농형 유도 전동기 등가회로도

Fig. 2.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double squirrel cage induction motor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2.png

2.3 유도전동기의 등가회로도 및 파라미터 산출

그림 1은 유도전동기의 동작 특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이중 농형회전자의 단상 등가 회로도이다[9,11,14,15,16].

그림 2에서 첨자 1은 회전자의 내부(inner)를 의미하고, 첨자 2는 회전자의 외부(outer)를 의미한다.

농형 유도전동기에서 회전자 저항은 단자전압, 슬립 및 기계적인 출력으로부터 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
$R_{r}=\dfrac{3\times s\times V_{s}^{2}}{P_{o}}$

회전자의 저항은 이중 농형에서 내부 저항의 값 $R_{1}$에 해당한다[10].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경우 기동할 때 전류를 낮추기 위해 고정자 저항($R_{s}$)과 회전자 저항($R_{r}$)의 관계는 다음과 같도록 설계한다[10,16].

(2)
$R_{s}=k_{1}\times R_{r}$

여기서 $k_{1}$은 고정자와 회전자의 저항 비율을 표시한 것이다[10]. 이중 농형회전자에서 외부 저항과 내부 저항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0,13,16].

(3)
$R_{2}=k_{2}R_{1}$

자화 리액턴스는 단자전압 $V_{s}$와 무효전력($Q$)으로 다음 식(4)와 같이 구할 수 있다[7].

(4)
$X_{m}=\dfrac{3\times V_{s}^{2}}{Q}$

보통 농형 유도전동기의 경우 고정자의 누설 리액턴스와 회전자 누설 리액턴스의 비율은 회전자 형상에 따라 그 비율을 다르게 나타내고 있다[8].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경우 고정자의 누설 리액턴스($X_{sd}$)와 자화 리액턴스($X_{m}$)는 다음 식 (5)와 같은 관계가 있다 [8,10,12,13,16]

(5)
$X_{sd}=k_{3}\times X_{m}$

여기서 $k_{3}$ 는 고정자의 누설 리액턴스와 자화 리액턴스의 비율로서 약 1/20 정도의 값을 선택하고 있다[10,13,16]

일반적으로 이중 농형 회전자의 경우 기동할 때와 속도의 증가에 따라 자속이 달라지므로 회전자의 내부와 외부 누설 리액턴스는 다음 식 (6)과 같이 그 값을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10,13,16].

(6-a)
$X_{1d}=k_{4}X_{sd}$
(6-b)
$X_{2d}=k_{5}X_{sd}$

여기서 $k_{4}$ 과 $k_{5}$ 는 각각 고정자에 대한 회전자의 누설 리액턴스의 비율로서 침투 깊이에 따라 그 값을 다르게 설정하고 있다[3,4,10,13].

이중 농형 회전자의 내부 및 외부의 저항과 리액턴스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14,15].

(7-a)
$R_{2}> R_{1}$
(7-b)
$X_{1d}> X_{2d}$

(2), (3), (5), (6)에서 사용한 비율 계수를 표 1에 제시한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특성 해석을 위해 적용한 값은 표 2와 같다[13].

표 2 변환 계수

Table 2 Transformation coefficient

Transformation coefficient

Values

$k_{1}$

2.5

$k_{2}$

4.78

$k_{3}$

0.05

$k_{4}$

1.2

$k_{5}$

1.0

표 1에 제시된 값을 앞서 전개한 수식을 이용하여 3대의 유도전동기 파라미터를 구하면 표 3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표 3 이중 농형 유도 전동기 파라미터

Table 3 Parameters of double-cage induction motor

Parameters

Values

20 [hp]

50 [hp]

100 [hp]

Stator resistance, $R_{s}$ [Ω]

0.3342

0.1355

0.0668

Inner rotor resistance, $R_{1}$ [Ω]

0.1337

0.0542

0.0267

Outer rotor resistance, $R_{2}$ [Ω]

0.63509

0.25747

0.12702

Stator leakage reactance, $X_{sd}$ [Ω]

0.5402

0.22018

0.10921

Inner rotor leakage reactance, $X_{1d}$ [Ω]

0.64826

0.26422

0.13105

Outer rotor leakage reactance, $X_{2d}$ [Ω]

0.54022

0.22018

0.10921

Magnetizing reactance, $X_{m}$ [Ω]

10.8043

4.4037

2.18411

그림 1의 등가회로도 표시된 각각의 파라미터와 고정자와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7] 등을 알면 유도전동기의 동작 특성을 알 수 있다.

그림 1에서 이중 농형 회전자의 유도전동기 병렬 임피던스 $Z_{p}(s)$는 다음 식 (8)과 같다.

(8)
$Z_{p}(s)=\dfrac{1}{\dfrac{1}{j X_{m}}+\dfrac{1}{\dfrac{R_{1}}{s}+j X_{1d}}+\dfrac{1}{\dfrac{R_{2}}{s}+j X_{2d}}}$

(8)에서 구한 병렬 임피던스와 고정자의 임피던스로부터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는 다음 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I_{s}(s)=\dfrac{V_{s}}{R_{s}+j X_{sd}+Z_{p}(s)}$

이중 농형 회전자에 흐르는 전류는 회전자의 권선 위치에 따라 기동에서부터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 값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이중 농형 회전자의 내부 및 외부에 전류는 각각 다음 식 (10)과 같다.

(10-a)
$I_{1}(s)=\dfrac{Z_{p}(s)\times I_{s}(s)}{\dfrac{R_{1}}{s}+j X_{1d}}$
(10-b)
$I_{2}(s)=\dfrac{Z_{p}(s)\times I_{s}(s)}{\dfrac{R_{2}}{s}+j X_{2d}}$

자속을 만들기 위한 자화전류는 고정자에서 회전자로 흐르는 성분을 뺀[17] 것으로 고정자 전류와 역률의 관계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1)
$I_{m}=I_{s}\sin\theta =I_{s}\times\sqrt{1-pf^{2}}$

이중 농형회전자의 경우 식 (12)와 같이 고정자에 흐르는 전류와 회전자의 내부 및 외부에 흐르는 전류로 부터 고정자 전류를 구할 수 있다.

(12)
$I_{s}=\left(I_{r1}+I_{r2}\right)+j I_{m}$

고정자에 유입되어야 할 유효전력, 자속을 만들 때 필요한 무효전력 및 역률은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하면 된다.

(13)
$P=Re\left(\sqrt{3}\times V\times I_{s}\right)$
(14)
$Q=Im\left(\sqrt{3}\times V\times I_{s}\right)$
(15)
$pf=\dfrac{P}{\sqrt{P^{2}+Q^{2}}}$

슬립에 따른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보통 농형과 달리 회전자 내부 저항과 외부 저항 그리고 내외부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다음 식 (1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16)
$T_{D}(s)=\dfrac{3p}{w_{s}}\left(I_{1}(s)^{2}\times\dfrac{R_{1}}{s}+I_{2}(s)^{2}\times\dfrac{R_{2}}{s}\right)$

여기서 $p$는 전동기 극의 수이고, $w_{s}$는 각속도이다.

3. 기동 및 운전 특성 분석

유도전동기 명판으로 구한 값들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파라미터로 기동에서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까지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림 3.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및 역률

Fig. 3. Active power, reactive power, apparent power and power factor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3.png

전동기 명판에 표시된 값들을 이용하여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등가 회로도에 표시할 파라미터 들을 식 (1) ~ (7)에 제시된 공식을 이용하여 구한 다음 기동에서 정격속도에 운전하는 동안 달라지는 각각의 특성을 전자계 과도해석 프로그램[18]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다음 그림 3표 1에서 제시한 3대의 유도전동기에 대해 기동에서부터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의 전력 및 역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보통 농형의 특성과 달리 기동하여 정격속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무효전력이 유효전력보다 조금 더 크게 나타나며, 정격속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역전되어 유효전력이 무효전력보다 높아 역률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정격속도에 도달한 이후에는 유효전력과 역률은 표 1에서 제시한 것과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 4. 고정자 전류, 회전자 전류, 자화전류

Fig. 4. Stator current, rotor current, magnetization current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4.png

그림 4는 기동하는 과정에서 고정자 전류, 내부 및 외부의 회전자 전류 그리고 자화전류의 변화를 모의한 결과이다. 기동하는 동안에 고정자 전류가 회전자 전류보다 높아 보이지만, 실제 내부 및 외부 회전자의 전류의 합이 고정자의 전류보다 약간 더 높다. 회전자 전류에서 외부 회전자의 전류는 처음에는 조금 높게 나타나지만, 속도의 증가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대신에 내부 회전자에 의한 전류는 외부보다 약간 높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는 보통 농형과 다른 이중 농형 회전자의 특징으로 기동시 토크가 매우 높으므로 높은 토크를 요구하는 곳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화전류는 기동하는 동안에 아주 낮지만,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는 약간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전동기는 회전자에 두 개의 도체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토크 변화의 분석이 필요하다. 그림 5표 1에 제시한 용량에 대한 내부 및 외부 도체 회전자에 대해 슬립에 따른 토크 변화를 모의한 결과이다. 내부 도체의 회전자는 기동 초기에는 외부 도체의 회전자보다 토크가 낮지만,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어느 정도 이상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역전되어 외부 도체의 회전자보다 높아진다.

그림 5. 회전자 토크 특성 곡선

Fig. 5. Rotor torque characteristics curve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5.png

이중 농형 회전자를 가진 유도전동기가 기동해서 정격속도로 운전할 때까지 입력에 대한 출력 및 효율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가 그림 6이다. 기동하여 정격속도에 도달하는 동안에도 입력전력은 거의 일정하게 높게 나타나지만, 출력은 서서히 증가하므로 효율은 낮게 나타난다.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의 크기가 서로 반전하는 시점에서 역률은 가장 높지만, 출력이 상대적으로 높아 효율은 낮아진다. 실제 정격속도에 도달한 이후 효율이 가장 높아진다.

그림 6. 입력, 출력 및 효율

Fig. 6. Input, output and efficiency

../../Resources/kiee/KIEE.2024.73.3.538/fig6.png

표 4표 1에 제시한 3대의 유도전동기에 대해 명판에 표시된 값과 모의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해석 결과 고정자에 유입되는 입력에 해당하는 유효전력은 명판과 같으나, 고정자 전류가 해석 결과가 약간 높아 토크가 약간 높게 나타났다. 역률은 명판에 표시된 것보다는 약간 낮게 나타나는 것이 무효전력이 명판에 표시한 것보다는 약간 높기 때문이다. 효율은 일반적으로 전동기 용량이 커짐에 따라 약간 높게 나타나지만, 등가회로도 계산에서 같은 비율로 계산한 결과 전동기의 용량과 관계없이 같은 크기로 계산되었다. 토크는 명판에 제시한 것과 모의한 것이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표 4 명판 데이터와 계산 데이터의 비교

Table 4 Comparison of nameplate data and calculated data

Items

Nameplate data

Calculated data

20 [hp]

50 [hp]

100 [hp]

20 [hp]

50 [hp]

100 [hp]

Active

power [kW]

16.1

39.6

79.7

16.1

39.6

80.2

Reactive

power [kvar]

13.3

32.8

66.1

13.6

33.5

67.7

Apparent

power [kVA]

20.9

51.4

103

21.0

51.9

105

Power factor

0.77

0.77

0.77

0.76

0.76

0.76

Efficiency [%]

93

94

93.5

92.3

93.6

93.6

Stator

current [A]

31.8

78.1

157.4

32.0

78.9

159

Torque [Nm]

80.7

199.0

403.5

79.9

199.3

404.0

4. 결 론

유도전동기 명판에 표시된 값은 정격출력으로 운전할 때 나타낸 것으로서 출력이 변동하는 경우 전력이나, 효율, 역률 등이 달라진다. 이중 농형 회전자의 경우 회전자의 내부와 외부에 도체를 가지고 있어 기동과 정상 운전에 따라 특성 변화가 보통 농형과 조금 다르므로 회전자의 형상에 따른 파라미터를 구한 다음 특성의 다름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이중 농형회전자 구조를 이용하여 등가 회로도에 들어갈 파라미터를 구한 다음 회전속도에 따라 입력, 출력, 토크, 효율 및 역률의 변화를 계산하였다. 계산한 결과 제시한 등가 회로도의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해석한 것이 명판에 표시된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이중 농형 유도전동기의 기동 및 운전 특성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References

1 
Minho Park, Induction Machines, Dongmyungsa, 1990URL
2 
Theodore Wildi, Electrical Machines, Drives and Power Systems, Prentice Hall, 2002.URL
3 
IEEE Standard Test Procedure for Poly-phase Induction Motors and Generators, IEEE Std. 112, 2004.URL
4 
S. Chapman, Electric Machinery Fundamentals, 4th ed. New York, NY: McGraw-Hill Education, 2005.URL
5 
Jong-Gyeum Kim, “Characteristics for Current and Power of Induction Motor by Load Variation,” Trans. on the KIIEE. vol. 25, no. 8, pp. 82-87, Aug. 2011.URL
6 
Keun Lee et al. “Estimation of Induction Motor Equivalent Circuit Parameters from Nameplate Data,” in North American Power Symposium(NAPS), Sept. 9-11, 2012.DOI
7 
Jong-Gyeum Kim, “Calculation of Parameters of Equivalent Circuit Diagram Using Induction Motor Nameplate Values,” Trans. on the KIEE, vol. 70P, no. 3, pp. 127-132, Sept. 2021.URL
8 
Motors and Generators, MEMA MG 1-1993, USA.URL
9 
D. Lindenmeyer, H.W. Dommel, A. Moshref, P. Kundur, “An induction motor parameter estimation method,” in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ical Power & Energy Systems, vol. 23, no. 4, pp. 251-262, May 2001.DOI
10 
Felipe Córcoles et al, “Analysis of the Induction Machine Parameter Identification,” IEEE Trans. on EC, vol. 17, no. 2, Jun. 2002.DOI
11 
G. J. Rogers and D. Shirmohammadi, “Induction Machine Modeling for Electromagnetic Transient Program,” IEEE Trans. Energy Conversion, vol. EC-2, pp. 622–628, Dec. 1987.DOI
12 
D. W. Novotny and T. A. Lipo, Vector Control and Dynamics of AC Drives, New York: Oxford Univ. Press, pp. 186–187, 1996.URL
13 
L. Guasch-Pesquer, L. Youb, A.A. Jaramillo-Matta, F. González-Molina, J.A. Barrado-Rodrigo, “Parameters Calculation of Single- and Double-case Models for Induction Motors from Manufacturer Data,” in 2015 Intl. Aegean Conference on Electrical Machines & Power Electronics, Sept. 2015.DOI
14 
M. Calasan, M. Micev, Z. M. Ali, A. F. Zobaa, and S. H. E. Abdel Aleem, “Parameter Estimation of Induction Machine Single-cage and Double-cage Models using a Hybrid Simulated Annealing-evaporation Rate Water Cycle Algorithm,” Mathematics, vol. 8, no. 6, p. 1024, 2020.DOI
15 
M. H. Haque, “Determination of NEMA Design Induction Motor Parameters from Manufacture Data,” IEEE Trans. on EC, vol. 23, no. 4, pp. 997-1004, Dec. 2008.DOI
16 
J. Pedra and F. Córcoles, “Estimation of Induction Motor Double-cage Model Parameters from Manufacturer Data,” IEEE Trans. Energy Conversion, vol. 19, no. 2, pp. 310–317, 2004.DOI
17 
M. Gomez-Gonzalez, F. Jurado, and I. Perez, “Shuffled Frog-leaping Algorithm for Parameter Estimation of a Double-cage Asynchronous Machine,” IET Electric Power Applications, vol. 6, iss. 8, pp. 484–490, Sept. 2012.DOI
18 
H.W. Dommel,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Reference Manual: (EMTP) Theory Book, BPA, 1986.URL

저자소개

김종겸(Jong-Gyeum Kim)
../../Resources/kiee/KIEE.2024.73.3.538/au1.png

Jong‑Gyeum Kim received his B.S degree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in 1984, and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1991 and 1996 respectively. In 1987, he worked for KT, and from 1988 to 1996, he worked for K-water. He was a Visiting Professor at Wisconsin State University from 2013 to 2014 and the University of Idaho from 2022 to 2023. He has been working at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since 1996. His research interest i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ergy Conversion System and Power Quality. He is fellow member of the KIEE.

이동주(Dong-Ju Lee)
../../Resources/kiee/KIEE.2024.73.3.538/au2.png

He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electrical engineering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in 1996, 1998 and 2021, respectively. From 1999 to 2010, he worked at R&D department of Ehwa Technologies Information as a chief research engineer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military 400Hz power converter system. From 2010 to 2017, he worked at R&D department of Kukje Electric Co., Ltd. as a chief design engineer for the development of transformer-le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 and he is a chief technology officer for the developments of energy storage system since 2017.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the areas of analysis and design of induction machine and development of power convers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