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전기학회
Mobile QR Code QR CODE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 COPE
  • kcse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한국학술지인용색인
  • Scopus
  • crossref
  • orcid

  1. (Dep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Railwa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E-mail:m2403034@seoultech.ac.kr)



Eddy Current, Axle Counter, Magnetic Circuit Modeling

1. 서 론

일차원 궤도상에서 주행하는 차량 위치 검지는 철도차량의 안전 확보에 필수 불가결한 기능이다. 궤도상에 열차검지를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궤도회로이다. 궤도회로는 레일의 일정 구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궤도의 한쪽 끝은 궤도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 다른 한쪽은 궤도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단으로 하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궤도의 송신 단에서는 연속적으로 궤도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 단에서는 이 궤도 신호를 수신한다. 궤도가 차축에 의해서 단락되면 수신 단에서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어, 궤도에 차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차량을 검지한다[1][2]. 궤도회로가 차량의 존재를 정확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철도차량의 휠셑에 의해서 레일을 단락이 시켜야 한다. 정확한 궤도 단락은 차륜과 레일 접촉면의 저항 즉 단락 감도가 일정 값 이내야 한다. 차륜과 레일의 단락 감도가 낮으면 차량을 검지 못할 수도 있다[3]. Axle Counter는 정확한 위치를 규명하기 힘든 역 구내 지역에서 철도차량의 정확한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서 Axle Counter를 사용한다. 특히 철도차량의 진로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진로 내의 철도차량의 진로 점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Axle Count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Axle counter는 전기적 폐회로(Closed Electric Circuit)를 사용하지 않는다. Axle Counter는 1쌍의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쪽의 코일이 자장을 생성하여 다른 쪽 코일에 전류를 유도 시키는 방식이다. 차량의 차륜이 레일에 설치 코일 사이를 주행할 때, 코일에 의해서 생성된 자장이 변형되고, 수신 코일에 유도 된 전압은 변형된다. 이 변형된 결과가 차축이 통과한 것으로 기록된다. 2개의 Axle Counter가 신호 폐색에 설치되고, 2개의 Axle Counter의 차량 통과 횟수를 비교하여 철도차량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Axle Counter Sensor는 분리형 센서와 단측(Unilateral) 센서로 구분된다. 분리형 센서는 탈레스, 지멘스에서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고[4] 단측(Unilateral) 센서는 Frauscher, Tiefenbach 등에서 개발 적용되고 있다. 양측 센서와 fiber optic 센서의 연구는 많은 결과[7]를 보이고 있지만 일측(Unilateral) 센서의 연구는 최근에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5][6]. 이에 자기장의 변동 따른 철도차량 위치를 검지하는 방식으로 자장의 이동 경로를 모델링하고 자속의 특성을 규명해야 Axle Counter 특성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어 열차 검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측 Axle Counter 센서가 철도 차륜에 의해서 상호 작용하는 자장의 특성을 규명하여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Axle Counter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Axle Counter 특성

2.1 Axle Counter 형태

Axle Counter에 사용되는 센서는 자속의 경로 및 설치 방식에 따라 2가지 종류로 분류할 할 수 있다. 2개의 방식은 설치 방식은 다르나 송신 코일에서 시변형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 코일에서 자장을 수신하는 방식으로 원리적으로 동일하다. 2가지 방식의 차이는 Fig.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분리 설치되는 구조로 자장이 레일을 가로지르는 형태이며 Fig. 2와 같이 하나의 철심에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권선되어 레일의 한쪽에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자장은 레일과 평행한 형태로 흐른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첫 번째 종류는 레일을 중심으로 양쪽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Fig. 1에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이 레일을 중심으로 분리된 것을 나타낸다. 송신 코일이 발생한 자장은 레일을 건너 수신 코일에 도달하고, 수신 코일에는 전력이 유도된다. 레일에 휠이 존재할 경우 자장 통로의 자기회로 저항이 변동하여 송신 코일에 생성된 자장의 세기 변하여 수신 코일 도달하는 자장의 세기가 변동하게 된다[4].

그림 1. 분리형 Axle Counter Sensor

Fig. 1. Separate Type Axle Counter Sensor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png

그림 2. 단측 Axle Counter Sensor

Fig. 2. Unilateral Axle Counter Sensor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2.png

2번째 방식은 Fig. 2와 같이 레일 한쪽에 설치하는 방식이다. 차륜 검지 센서의 구조는 U형 철심 한편에 송신 코일이 있고 다른 한편에 수신 코일이 있다. 송신 코일에서 자장을 생성하면 수신 코일이 자장을 수신하게 된다. 레일에 철도 차륜이 있을 경우에 자기 통로 저항이 변화하게 되어 송신 코일에서 생성된 자장이 수신 코일에서는 변하게 된다.

2.2 차륜 검지 센서 Magnetic Flux 해석

Shogo Yasukawa et al.은 Fig. 3과 같이 모델링을 하여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간의 자장을 FEM(Finite Element Method)와 IEEM(Infinite Edge Elements Methods 이용하여 Magnetic Flux Density를 구하였다[8]. 이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최적의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position $\theta$를 구하였다.

그림 3. 자기 센서 모델, FEM 및 IEEM 모델 [8]

Fig. 3. Magnetic Sensor Models, and FEM and IEEM Models [8]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3.png

LIU et al.은 송신 코일에 발생하는 자속을 Fig. 4와 같이 모델링을 하였다[5]. 이 모델에서는 자속을 5개와 7개의 자속 선으로 나타냈으며, 각 자속 선을 저항(Reluctance)으로 나타내었다. 이 저항을 계산하여 자속을 구하여 열차 점유 여부를 계산하고 있다[5].

그림 4. 자속 모델과 등가회로 [5]

Fig. 4. Magnetic Flux Model and Equivalent Circuit [5]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4.png

Ali Zamani et al.는 자속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해서, 단순한 자장 등가회로를 사용하였다. 휠이 없는 상태와 휠이 있는 것을 고려한 등가회로를 Fig. 5와 같이 나타내었다[5]. 이 단순화한 회로에서 $ℜ_{i}$로 나타내며, $ℜ_{i}= l/\mu A$이다[5]. Ali Zamani et al.는 휠이 레일 상에 없을 때 공기중을 통과하는 자기저항을 $ℜ_{1}$으로 나타내었다. 레일에 휠이 있을 때 자기 통로는 레일이 되어 $ℜ_{1}=0$이 되는 것으로 모델링을 하였다[5].

그림 5. 레일에 바퀴가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의 자속 경로 [4]

Fig. 5. Magnetic Flux Path without and with Wheel on Rail [4]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5.png

위 3개의 논문에서는 송신 코일의 자장을 시불변 정자장으로 해석하였다. 철도차량의 휠은 비투자율($\approx 5,\: 000$)이 높으므로, 송신 코일에서 생성된 대부분의 자속은 차륜을 통하여 전달되는 것을 가정하여 모델링을 하였다.

Axle Counter의 차륜검지 Magnetic Mensor의 송신 코일은 시변 자장을 발생시며 전도성 물체가 시변 자계에 노출되면 전도성 물체에 자속이 유기되어 Eddy Current를 발생시킨다. 이 Eddy Current는 전도성 물체에 열을 생성하며 자체의 폐 루프 자속을 발생하여 송신 코일에서 생성된 자속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Eddy Current를 모델링하여 자장을 해석한다.

3. Eddy Current를 고려한 차륜 검지 센서 해석

3.1 Eddy Current

Eddy Current는 Fig. 6(a)와 같이 송신 코일에서 발생 된 시변 자장(Time Varying Magnetic Flux)은 아래의 도체를 통과하게 된다. Eddy Current는 송신 코일에서 생성된 자장을 반대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도체에 인가되는 자장 커지면 반발 자장이 커지고, 인가 자장이 작아지면 당기는 자장으로 변한다. 자장의 흐름의 면적은 제한되어 있으며, 이렇게 도체에 생성되는 자장에 의해서 Eddy Current가 발생한다. Eddy Current는 자장의 변화가 크면 클수록, 도체의 전기 전도성이 좋을수록 더 큰 반대 방향의 자기장 발생한다. 이 자기장이 변화가 발생할 때 도체에는 자기장에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이 생성되며 이 자기장에 의해 폐 루프를 따라 Eddy Current가 생성된다. Eddy current는 이 폐 루프 통로를 따라 흐르고, 이 폐 루프의 저항에 의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

그림 6. 코일에 의해 유도된 자속으로 발생하는 와전류

Fig. 6. Eddy Current Arising with Magnetic Flux induced by Coil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6.png

자장에 의해서 Eddy Current 도전성 물체에 조사되면서 반발 자장에 의해서 경로가 Fig. 6(b)과 같이 된다. Fig. 6(a)와 (b)는 코일에 전류가 정·부 방향으로 흐를 때 생성되는 자장의 경로를 나타낸다. Fig. 6(c)는 Weak Current일 경우에 Weak Eddy Current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시변동 자기장 통로에 전도성 물체가 있으면 자장 경로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Eddy current의 침투깊이는 식 (1)에서 나타난 것과 같으며, 주파수, 전도도, 투자율이 높을수록 감소한다. 이 현상을 표피효과라고 한다.

(1)
$d_{p}(m)\approx\dfrac{661}{\sqrt{f\mu_{r}\sigma}}$

$d_{p}$ : 평균 침투깊이, $f$ : 코일이 인가하는 자장의 주파수, $\mu_{r}$ : 비 투자율, $\sigma$ : 도전율

일반적으로 표피효과 측면에서, Bessel Function을 이용하여 도체의 두께에 따라 전류 밀도 분포를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전자기학적으로 두꺼운 도체는 식 (2)를 이용해서 전류분포를 계산한다[9].

(2)
$I =I_{0}e^{-y/d_{p}}$

$I$ : 전류밀도($A/m^{2}$), $y$: 표면으로부터의 깊이($m$), $d_{p}$: 평균 침투깊이

(2)에 따라서 도체 내에 유도된 전류 밀도는 표면에서 최대가 되고, 깊이가 깊을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 Axle Counter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높을수록 도체의 침투깊이는 작으므로 차륜에 의한 차단 효과가 높다.

3.2 차륜검지센서원리

차륜 검지 센서는 Fig. 7(a)와 같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신 코일에서 생성된 자장이 수신 코일에 도달하여 전압 유기된다. 수신 코일에 전압이 유기되어 일정 전압 이상이면 차륜이 통과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며 Fig. 7(b)와 도전성 물체가 있으면, 도전성 물체에 Eddy Current가 발생하여 도전성 물체에서 자장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림 7. Axle Counter 자기 센서의 자속 경로

Fig. 7. Magnetic Flux Path in magnetic Sensor of Axle Counter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7.png

Fig. 7의 설명에 따른 차륜 진입 시 동작 원리를 Fig. 8에 나타낸다. 송신 코일(Source Coil)에 정현파 전류를 인가하면 검지

그림 8. 레일 위 휠에 의한 전압 감소 원리

Fig. 8. Principle of voltage reduction by wheels on rail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8.png

코일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검지 코일에 유도 기전력 Φ1이 발생하게 되며 자기장의 분포는 차륜 플랜지에 맴돌이 전류 즉 Eddy Current를 발생시켜 Eddy Current에 의한 자기력의 변화가 수신 코일에 임피던스에 영향을 주게 되면서 자기장 분포가 Φ1에서 Φ2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유도 기전력 변화율을 수식은 $\dfrac{\varnothing 2-\varnothing 1}{\varnothing 1}\times 100$%로 표현할 수 있고 이 값은 Axle Counter에서 설정한 임계점에 도달된 값을 처리 Axle Count 신호로 사용하게 된다[5][6][10].

3.3 Mutual Inductance Model

송신 코일에서 생성되는 자장이 수신 측에 유도되는 것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Fig. 9Fig. 10으로 모델링할 수 있다. Fig. 9는 동심 축 모델로서 각각의 반경이 $r_{1}$ 및 $r_{2}$이며, 둘레는 $l_{1}$ 및 $l_{2}$, 두 코일 간의 간격은 $d$이다. 두 코일의 상호인덕턴스를 구하기 위해서 Neumann’s formula를 이용하였다[12].

그림 9. 2개의 병렬 디스크

Fig. 9. Two parallel disks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9.png

그림 10. 2개의 비스듬한 디스크 각도 $\alpha$

Fig. 10. Two disks with oblique angle $\alpha$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0.png
(3)
$M =\dfrac{N_{1}N_{2}}{4\pi}\oint_{l_{1}}\oint_{l_{2}}\dfrac{dl_{1}\times dl_{2}}{R_{PQ}}$

각 선상의 임의의 점 P, Q에서 선 성분 $dl_{1}$과 $dl_{2}$는 식 (4)과 같다.

(4)
$\begin{cases} dl_{1}=\left(-r_{1}\sin\theta i+r_{1}\cos\theta j\right)d\theta \\ \\ dl_{2}=\left(-r_{2}\sin\psi i+r_{2}\cos\psi j\right)d\psi \end{cases}$

두점 PQ 사이의 거리 $R_{PQ}$는 식 (5)와 같다.

(5)
$R_{PQ}=\sqrt{r_{1}^{2}+r_{2}^{2}-2r_{1}r_{2}\cos(\theta -\psi)+d^{2}}$

따라서 두 원반 코일의 상호인덕턴스는 식 (6)와 같다.

(6)
$M =\dfrac{\mu_{r}N_{1}N_{2}}{4\pi}\int_{0}^{2\pi}\int_{0}^{2\pi}\dfrac{r_{1}r_{2}\cos(\theta -\phi)}{\sqrt{r_{1}^{2}+r_{1}^{2}- 2r_{1}r_{2}\cos(\theta -\psi)+d^{2}}}d\theta d\phi$

Fig. 10과 같이 두 코일의 단면이 $\alpha$ 각도로 경사진 코일 단면은 Fig. 9에서 한 코일을 Rotation과 Translation에 의해서 변환시킬 수 있다. Rotation은 식 (7)과 같다.

(7)
$R_x(\alpha) = \begin{bmatrix} 1 & 0 & 0 \\ 0 & \cos(\alpha) & \sin(\alpha) \\ 0 & -\sin(\alpha) & \cos(\alpha) \end{bmatrix}$

코일 2의 중심 좌표는 $O'(0,\: c,\: d)$이다. $Q$는 코일 2의 원주상의 임의의 점이며, 식 (7)의 해에서 변환시킨 좌표는 $Q\left(r_{2}\cos\psi ,\: r_{2}\sin\phi\cos\alpha +c,\: -r_{2}\sin\phi\sin\alpha +d\right)$이다. 식 (6)으로부터 구한 상호 임피던스는 식 (8)과 같다.

(8)
$M =\dfrac{\mu_{r}N_{1}N_{2}}{4\pi}\int_{0}^{2\pi}\int_{0}^{2\pi}\dfrac{r_{1}r_{2}(\sin\theta\sin\phi +\cos\alpha\cos\theta\cos\phi)}{\sqrt{\left(r_{1}\cos\theta -r_{2}\cos\phi\right)^{2}+\left(r_{1}\sin\theta -r_{2}\sin\phi\cos\alpha -c\right)^{2}+\left(r_{2}\sin\phi\cos\alpha -d\right)^{2}}}d\theta d\phi$

코일이거나 혹은 도전성 물체 간에 유도되는 자속은 면적과 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전성 물체가 있을 경우는 도전성 물체의 크기와 면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3.4 상호인덕턴스 해석

차량의 차륜이 Magnetic Sensor에 진입을 시작하고, 완전히 진입, 진입 후 벗어나는 것을 Fig. 11에 나타내었다. 차륜이 Magnetic Sensor에 진입 시작에는 대부분의 자속은 수신 코일에 도달하며 완전히 진입하였을 경우 자속이 차단되며, 벗어날 경우 자속이 수신 코일에 도달하기 시작한다.

그림 11. 송신 코일 자속과 휠 사이의 상호 작용

Fig. 11. Interaction between Transmission Coil Magnetic Flux and Wheel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1.png

(7)에서는 $r_{2}$와 각도 $\alpha$가 변하게 된다. $r_{2}$는 0에서부터 $r_{1}$보다 크게되며 이후 다시 “0”이 된다. “$\alpha$”는 송신 코일의 각도를 조정하여 휠이 중심에 있을 때 수직이 되도록 조정을 한다. 따라서 “$\alpha$”는 중심에서 “0”이 되고, 중심에서부터 증가하게 된다. $\beta$ 값은 쉽게 구할 수 있다.

(8)의 $\dfrac{\mu_{r}N_{1}N_{2}}{4\pi}$ 부분은 확정적인 부분으로 상수로 둘 수 있어 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9)
$k =\dfrac{\mu_{r}N_{1}N_{2}}{4\pi}$

(10)과 같이 적분 부분만을 계산하면 상호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알 수 있다.

(10)
$M = k\int_{0}^{2\pi}\int_{0}^{2\pi}\dfrac{r_{1}r_{2}(\sin\theta\sin\phi +\cos\alpha\cos\theta\cos\phi)}{\sqrt{\left(r_{1}\cos\theta -r_{2}\cos\phi\right)^{2}+\left(r_{1}\sin\theta -r_{2}\sin\phi\cos\alpha -c\right)^{2}+\left(r_{2}\sin\phi\cos\alpha -d\right)^{2}}}d\theta d\phi$

그림 12. 상호 임피던스 평가를 위한 모델

Fig. 12. A Model for Evaluating Mutual Impedanc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2.png

Fig. 12에서 초기 값은 $x$는 차륜의 반지름 457mm가 되며, “$\alpha$”의 초기 값은 oc의 거리와 om의 거리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x$의 값을 왼쪽에서 10mm 이동을 하면 c와 d 값을 구할 수 있다. $r_{1}$은 송신기 코일의 반경이며, $r_{2}$는 자속이 Wheel에 투사된 면적에서 생성되는 Eddy Current의 반경이다. Fig. 12에서 휠이 센서의 코일과 코일 중앙으로 위치했을 때 Fig. 13의 그래프와 같이 자기장의 변화가 최대를 보이고 Fig. 14와 같이 휠이 코일과 코일의 중앙에 위치할 때 와전류로 자기장의 변화로 코일 양단의 전압이 최저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수(8)을 사용 매트랩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휠이 중심부에 있을 때 와전류의 영향으로 Fig. 13의 그래프와 같이 와전류의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 14Fig. 13에서 와전류에 의한 변화가 최대일 때 수신 코일의 전압변화를 보여주며 Fig. 8의 레일 위 휠에 의한 전압 감소와 동일한 형태로 자속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림 13. 식 (8)의 적분 의사 값

Fig. 13. Pseudo value of Integral of Eq.(8)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3.png

그림 14. 수신 코일 전압 의사 값

Fig. 14. Pseudo Value of Receiving Coil Voltag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4.png

4. 실험검증

4.1 실험 장치

Mutual Inductance Model 통해 상호인덕턴스의 변화량을 알 수 있었다. 이 변화량이 차륜 위치 변화에 따른 와전류의 변화와 상호유도의 변화를 일으켜 Axle Counter에 사용되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작용 임피던스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utual Inductance Model에서 얻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도구로는 다음 Table 1Table 2와 같다.

표 1 실험 센서 사양

Table 1 Experimental sensor specifications

항목

규격

Ferrite Core

U-100

Coil

리츠 와이어, 0.1*10 Core

Transmission coil turn

150 Turn

Receiver coil turn

200 Turn

Test frequency

167KHz

Test Voltage

AC 12p-p

임피던스 측정 주파수

167KHz

임피던스 측정 전압

AC 1p-p

표 2 실험에 사용된 계측기

Table 2 Instruments used in experiments

계측기

제작사

모델명

측정 내용

LCR Meter

Hioki

3511-50

Z, L, R 측정

Function Gen.

FeelElec

FY830

교류 전압, 주파수

Oscilloscope

Keysight

DSOX2024A

전압, 주파수 측정

Conductor

Fe

45*85*25

휠 대용

4.2 수신 코일 특성 실험

4.1의 실험 장치를 사용하여 센서 수신 코일(Receive Coil),)과 검출 대상인 도체(Conductor)와 센서 사이의 거리별 인덕턴스(Inductance), 임피던스(Impedance), 저항(Resistance)을 Table 3Fig. 15, Fig. 16, Fig. 17의 실험 측정 결과 그래프는 Mutual Inductance Model 통해 상호인덕턴스의 변화량은 와전류에 의한 상호유도 결합을 적게 하고 이로 인한 임피던스(Impedance) 변화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래 Table 3Fig. 15, Fig. 16,

그림 15. 거리별 리액턴스 변화 그래프

Fig. 15. Reactance change graph by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5.png

그림 16. 거리별 임피던스 변화 그래프

Fig. 16. Impedance change graph by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6.png

4.2.1 수신 코일 특성 실험 결과

Fig. 17에 나타낸 것 같이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의 변화는 임피던스(Impedance) 변화를 주고 이 결과는 Eddy Current 영향으로 발생한다. 즉 센서와 검출 차륜(Detection Wheel)과 거리 변화는 Eddy Current의 크기에 영향을 주어 크기에 따른 임피던스(Impedance)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3 거리별 리액턴스, 임피던스, 저항 측정 결과

Table 3 Reactance, Impedance, Resistance measurement results by distance

거리(mm)

L(mH)

Z(Ω)

RΩ)

90

10.417

66.294

10.550

80

10.420

66.317

10.568

70

10.425

66.356

10.594

60

10.437

66.434

10642

50

10.459

66.590

10.736

40

10.511

66.944

10.943

30

10.626

67.728

11.375

20

11.002

70.305

12.800

10

11.943

76.85

16.578

0

15.870

107.88

41.130

그림 17. 거리별 저항 변화 그래프

Fig. 17. Resistance change graph by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7.png

4.3 실험 결과 검증

4.2.1의 수신 코일 특성 실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송신 코일(Transmission Coil)에 Function Generator로 정현파 167Khz, 12$ACV_{p-p}$V를 인가하고 Conductor(45*85*25)를 송신 코일(Transmission Coil)과 수신코일(Receive Coil)사이에 수직 방향의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켜 전압변화를 측정한 결과 Table 4, Fig. 18과 같이 수신 코일 전압진폭 변화를 볼 수 있었으며 Fig. 19, Fig. 20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3.4의 Mutual Inductance Model에서의 해석과 4.2의 수신 코일 특성 실험 결과에서 도출된 결과와 동일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표 4 거리별 전압 측정 결과

Table 4 Voltage measurement results by distance

거리(mm)

$ACV_{p-p}$(V)

90

231

80

220

70

207

60

173

50

133

40

90

30

43

20

22

10

14

그림 18. 거리별 전압측정 결과 그래프

Fig. 18. Voltage measurement result graph by distanc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8.png

그림 19. 실험 도구

Fig. 19. Experimental tools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19.png

그림 20. 실험 결과 화면

Fig. 20. Experiment result screen

../../Resources/kiee/KIEE.2024.73.6.1023/fig20.png

5. 결 론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Transmission Coil에서 생성된 자장이 정자장이라는 가정하여 해석하였나 본 논문은 Axle Counter Magnetic Sensor는 Transmission Coil에서 시변 자장을 생성하여 Receive Coil에 전달하는 시변 자장으로 모델링하여 해석하였다. 이 해석은 Mutual Inductance Modeling 및 매트랩 시뮬레이션 결과와 수신 코일 특성 실험 결과, 실험검증을 통해 동일 결과가 도출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Axle Counter Sensor가 정확한 차륜(Wheel) 검지를 위해서는 와전류의 세기가 커야 하고 그 영향으로 저항(Resistance), 인덕턴스(Inductance)의 변화가 크게 일으켜 큰 임피던스(Impedance)를 변화로 Receive Coil 전압진폭 변화 응답이 크고 빠르게 되어야 고속도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한 Axle Count에 역할을 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철도 신호 장치인 Axle Counter에 적용이 가능한 차륜 검지 센서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의 최적화 및 레일에 설치할 위치 최적화 방법과 Axle Counter와 연동 방법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철도 시스템에서도 거리 검출 및 근접 검출 센서 개발을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cknowledgements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Research Program funded by the SeoulTech(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References

1 
G. D’Addio, P. Ferrari, A. Mariscotti, P. Pozzobon, “Integrated Modeling of Audiofrequency Track Circuit,”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hibition on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York 99.(Conf. Publ.), no. 464, 1999.DOI
2 
Y. Gruere, B. Moroz, “TVM 430 – A Modular and Flexibel ATC System,” Compagne de Signaux des D’Equipment Electronique, IEEE Xplore.URL
3 
ESCORT, “IST 1999-20006, D2011 report STATE OF ART,” Information Society Technologies (IST, 5th Framework Programme for RTD&D, 1998-2002.URL
4 
Ali Zamani, Ahmad Mirabadi, “Optimization of Sensor Orientation in Railway Wheel Detector, Using Kriging Method,” Journal of Electromagnetic Analysis and Applications, vol. 3, no. 12, pp. 529-536, 2011.DOI
5 
Yanlong Liu, Weiming Tong, Xianji Jin, and Zhongwei Li, “Magnetic Circuit Modeling and Analysis of Unilateral Axle-Counting Sensor,” IEEE Access, vol. 6, pp. 51834- 51842, 2018.DOI
6 
Jin Yang, Gui-yun Tian, Yun-lai Gao, “High Reliable Unilateral Inductive Axle Counting Sensor System and Applications,” IEEE Far East NDT New Technology & Application Forum (FENDT), 2016.DOI
7 
Chu-liang Wei, Chun-cheung Lai, et al., “A Fiber Bragg Grating Sensor System for Train Axle Counting,” IEEE Sensors Journal, vol. 10, no. 12, pp. 1905-1912, 2010.DOI
8 
Shogo Yasukawa, Naoko Takagi, Tamio Okutanii, et al., “Design Optimization of Magnetic Sensor for Train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51, no. 3, 2015.DOI
9 
Valery I. Rudnev, “A common misassumption in induction hardening,” Heat Treating Progress, 2004.URL
10 
Tong, W., Liu, Y., Jin, X., Li, Z., and Guan, J., “Design optimization of key components’ spatial position of unilateral axle counting sensor,” Sensor Review, vol. 38, no. 3, pp. 261- 268, 2018.DOI
11 
Slobodan Babic, Frédéric Sirois, et al., “Mutual Inductance Calculation Between Circular Filaments Arbitrarily Positioned in Space:Alternative to Grover’s Formula,” IEEE Transactions on Magnetics, vol. 46, no. 9, pp. 3591-3600, 2010.DOI
12 
Xian Zhang, Hao Meng, Bin Wei, Songcen Wang, Qingxin Yang, “Mutual inductance calculation for coils with misalignment in wireless power transfer,” The 14th IE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 and DC Power Transmission, 2018.DOI

저자소개

박현수(Hyunsoo Park)
../../Resources/kiee/KIEE.2024.73.6.1023/au1.png

He received the M.S degree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6. He is currently working on his Ph.D. Since 2016, he is a student at the Departmen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 has been working at NSTEK Co., Ltd. since 2015.

이종우(Jongwoo Lee)
../../Resources/kiee/KIEE.2024.73.6.1023/au2.png

He received the B.S degree from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in 1983. and M.S degree from The Ecole Centrale de Nantes, France, in 1986. and the Ph.D. degree from the University de Paris IV, Paris, France, in 1993. Since 2005, he has been working as a professor at Department of Railway Electrical Signaling Engineering of the Gradцate School of Railwa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