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규
(Dong-Gue Kim)
1iD
조재걸
(Jaegeol Cho)
†iD
-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Korea.)
Copyright ©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Key words
Beat-by-Beat Blood Pressure Monitoring, Arterial Compliance, Artery Pressure-Volume Relationship, Wrist Sphygmomanometer
1. 서 론
혈압(Blood pressure)은 혈액이 몸속 혈관을 순환하면서 혈관 벽에 주는 압력으로 혈압 값에 따라 저혈압(Hypotension), 정상
혈압, 고혈압(Hypertension)으로 분류된다. 그중 고혈압은 혈액이 몸 전체로 순환하며 심장뿐만 아니라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영향을 주고,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1]. 때문에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서는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한 혈압 관리와 꾸준하고 규칙적인 혈압 측정을 강조하고
있다[2].
병원에서는 카테터를 동맥 혈관에 삽입하여 연속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표준으로 사용되고, 특히 심혈관 수술이나 중환자실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연속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지만, 측정을 위해 숙련된 임상의를 필요로 하고, 동맥 혈관 내에 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혈관의 상처가
회복되는 시간도 오래 걸리며 감염(Infection), 색전증(Embolism), 조직 손상(Tissue damage) 등의 위험 가능성도 존재한다[3].
이러한 단점들 때문에 비침습적 연속 혈압 측정 방법이 개발되었고, 대표적인 방식은 Penaz의 Volume-Clamping 방법이다[4~5].
이 방식은 적외선 LED와 PD(Photodiode)로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phy, PPG)를 측정하고 손가락 커프로 PPG
값이 0이 되도록 가압하여 그때 가해진 압력을 혈압으로 계측한다. 비침습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이지만 커프를 제어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PID 제어 알고리즘(Proportional
– Integral – Derivative control)이 필요로 하고, 고가의 방식이다. 또한 말초 혈관 질환 혹은 손가락이 휘어진 사람에게는
유효한 혈압 파형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6].
최근에는 오실로메트릭 파형을 혈관 모델링식(혈관-압력 부피 관계식)으로 해석하여 환자의 수축기, 이완기 혈압뿐만 아니라 혈관 탄성도(Arterial
compliance)까지 추정하는 Patient-Specific 오실로메트릭법이 제안되었다[7~11]. 하지만 이 방법은 간헐적(Intermittent)으로 측정하는 기존 상용화된 오실로메트릭 혈압계와 동일한 방식이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혈압을 계측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손목 커프 형식으로 간단하게 Beat-by-beat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손목에서 오실로메트릭
파형으로 요골 동맥(Radial artery)의 압력-부피 관계식을 추정한 후에, 에어 펌프로 커프에 일정 압력까지 공기를 주입한다. 해당 압력 값이
되면, 솔레노이드 밸브를 닫아 압력 값을 일정하게 맞추는 간단한 동작이며 이 과정을 통해 얻어진 파형으로 혈압을 계산한다. 이 방식은 Volume-Clamping
방식과 달리 복잡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아 쉽게 제작을 할 수 있으며,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을 통해 혈관 탄성도(Artery compliance)도
추정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병원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일반 사람들이 쉽게 측정할 수 있는 혈압계 형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 연구 방법
혈압의 변동이 커프의 압력으로 전달되는 과정은 그림 1과 같다.
그림 1. 커프 신호 생성 원리
Fig. 1. The concept of cuff signal generation
1. 혈압 변화로 인해 혈관의 부피가 변한다.
2. 혈관 부피 변화는 커프의 블래더 부피 변화량과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3. 커프 내부의 부피 변화로 인해 커프 오실레이션 발생되는데, 이것이 오실로메트릭 파형이다.
2.1 커프 압력-부피 관계식
연구에서 커프는 오므론 손목형 혈압계(HEM-6181, Omron, Japan) 커프를 사용하였다. 커프 압력-부피 관계식 (1)을 구하기 위해 커프에 5 mL씩 공기를 주입시키면서 40 mL까지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해당 과정은 3회 반복된다. 커프 블래더 부피 V에 대한
특성식 (1)은 다음과 같다[12].
여기서 각 변수의 의미는 표 1과 같다.
표 1 커프 특성에 관한 변수
Table 1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ff
Parameter
|
Description[Unit]
|
$P_{cuff}$
|
커프 압력[Pressure]
|
$V_{eo}$
|
외부 커프 전체 부피(Zero stretch)[mL]
|
$V_{io}$
|
팔의 부피[mL]
|
$P_{atm}$
|
대기압[mmHg]
|
$E$
|
커프 압력-부피 관계식의 최대 기울기[mmHg]
|
$n$
|
그래프의 비선형 지수[n.u.]
|
2.2 동맥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
동맥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은 혈관 벽이 받는 압력(혈관 내부 압력 - 혈관 외부에 가해지는 압력) 즉, 혈압과 커프 압력 차이인 Transmural
Pressure(TP)와 혈관 부피의 관계로 표현된다. 동일 압력 변화량 대비 혈관 부피 변화는 혈관 무부하 상태(Unloaded condition,
TP = 0)일 때 가장 크게 형성된다.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 (2)은 다음과 같다.
혈관 모델은 Exponential 분포식 [13], Drzewiecki 모델식 [14] 등 다양한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람의 동맥 혈관으로 In vitro 실험을 진행했던 Cauchy 분포식을 사용하였다[15~16].
각 변수의 의미는 다음 표 2에 표기하였다.
표 2 동맥 혈관 특성에 관한 변수
Table 2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caracteristics of artery
Parameter
|
Signification[Unit]
|
$V_{\max}$
|
혈관 최대 부피[mL]
|
$P_{tr}$
|
Transmural pressure[mmHg]
|
$P_{0}$
|
혈압 변화에 대한 부피 변화가 가장 클 때의 TP[mmHg]
|
$P_{1}$
|
부피 변화가 $P_{0}$의 절반일 때의 TP, 그래프의 경사도[mmHg]
|
2.3 혈압 측정 장치 구성
그림 2은 Beat-by-beat 혈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그림 2. 비트별 혈압 측정 시스템 블록도
Fig. 2. A block diagram of a beat-by-beat blood pressure measurement system
커프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신호 측정부는 아날로그 압력 센서(XGZP6847-040KPG), 압력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C(ADS1115)로
구성되어 있고, 신호처리 및 시스템 컨트롤을 위한 MCU(Nucleo-L432KC, ST Microelectronics), 그리고 커프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DC 3V 에어펌프, DC 3V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된다.
2.4 오실로메트릑 파형과 오실로그램 피팅
오실로메트릭 측정은 왼쪽 손목 커프에 155 mmHg까지 가압한 후, 솔레노이드 밸브로 50 mmHg까지 공기를 배출시켜 진행된다(그림 2).
측정된 데이터를 0.8~40Hz의 4차 버터워스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오실레이션 파형을 획득하고, 파형의 최고점(Peak)과 최저점(Valley)들의
차이를 계산한 값이 오실로그램(Oscillogram, ΔO)이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는 약 250Hz이다.
동맥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을 이용한 오실로그램 모델링 식 (3)은 다음과 같다[7~11].
$k$는 커프 압력-부피 관계식 (1)에서 계산된 값으로, 오실로메트리를 측정하는 구간(50~155 mmHg)은 거의 선형적(nearly linear)이라고 가정하였다. 커프의 부피 변화에
대한 압력 변화($\triangle P/\triangle V$, $k$) 값은 9.415 (mmHg/mL)이다. $P_{sys}$와 $P_{dia}$는
각각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을 의미하며 함수 $f$는 동맥 혈관 부피 관계식을 의미한다.
2.5 실험 구성
실험은 20명의 평균 나이 23±1.45세(20~25세)이고, BMI 22.7±2.7($kg/m^{2}$)의 건강한 피험자(14명 남성, 6명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실험 12시간 전부터 카페인 섭취, 음주, 흡연을 하지 않고, 실험 전 오므론 손목 혈압계 HEM -6181로 혈압
테스트를 하였다. 사전 측정 혈압은 수축기 혈압 109.6±10.1 [mmHg], 이완기 혈압 69.8±8.9 [mmHg]의 분포를 가진다.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NO. 1040875-202309-BM-111)승인을 거쳐 진행되었다.
혈압 비교를 위해 레퍼런스로 Finometer Pro(Finapres Medical System, Netherlands) 장치를 사용했다. 피험자들은
왼손에 손목 커프를 착용하고, 오른손 중지 손가락에 Finometer Pro 손가락 커프를 착용한다(그림 2). 그리고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착용한 손목 커프와 레퍼런스 장치 모두 심장 높이에 맞춰 측정을 하였다. 오실로메트릭 측정 이후, 커프 가압 정도는
가압이 낮은 경우 신호의 SNR이 떨어지고, 높으면 피험자의 혈액 순환에 이상이 생길 수 있어 50~옴론 이완기 혈압 사이의 값(mmHg)으로 일정하게
가압하였다. 피험자 20명은 오실로메트릭 측정 시간을 포함하여 정상 상태(Rest)로 6분간 측정하였고, 해당 실험을 3번 반복 측정하였다. 피험자는
측정마다 5분의 휴식을 취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측정 혈압 데이터 중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움직임(Motion Artifact)
2. Reference 혈압의 급격한 변동 : 10초 이내 혈압이 30mmHg 이상 변화한 경우
3.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에서 계산된 최대 혈관 부피 변화량보다 계측된 부피 변화량이 큰 경우
2.6 Beat-by-beat 혈압 추정
혈압 압력-부피 관계식 (2)으로부터 Beat-by-beat 혈압을 추정하는 원리는 그림 3과 같다[17].
그림 3.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을 이용한 Beat-by -beat 혈압 추정
Fig. 3. Estimation of beat-by-beat blood pressure from artery
pressure-volume relationship
혈관 부피 변화량($\triangle V_{artery}$)은 다음 과정을 통해 구한다.
1. 일정 가압을 통해 측정된 압력 파형은 0.05~40 Hz 4차 버터워스 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압력 오실레이션 파형과 커프 Baseline
압력으로 분리한다.
2. 압력 오실레이션 파형 (Peak-Valley) 값을 계산하여 커프 압력 변화량($\triangle P_{cuff}$)을 계산한다.
3. 커프 $k$($\triangle P/\triangle V$) 값으로 커프 부피 변화량($\triangle V_{cuff}$)을 구하고, 이상적으로
커프의 부피 변화량과 혈관의 부피 변화($\triangle V_{artery}$)가 같다고 가정한다.
맥압($\triangle P_{artery}$, Pulse pressure,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은 비교 시작 시 측정된 레퍼런스 혈압으로 하였고,
5분 측정 시간동안은 맥압이 일정하다는 조건을 사용하였다. 혈압은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과 맥압으로 계산된 부피 변화량($\triangle V_{artery}$)의
차이가 가장 최소화되는 TP 지점을 계산한다. 이 TP 지점에서 커프 Baseline 압력을 더하여 이완기 혈압을 추정하였고, 추정 이완기 혈압에
맥압을 더해 수축기 혈압을 계산하였다.
3. 결 과
혈압은 수축기, 이완기 혈압 각각 21,150개 비트의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였다. 추정 비트별 혈압과 레퍼런스 혈압은 5개 비트의 이동 평균 필터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레퍼런스 수축기 혈압과 추정 수축기 혈압은 각각 111.9±11.7, 108.5±11.8 [mmHg] 분포를 가지며, 레퍼런스
이완기 혈압과 추정 이완기 혈압은 68.2±7.3, 64.5±7.9 [mmHg]의 분포를 가진다. 피험자별 혈압 변동 폭은 수축기 혈압 32.7±7
[mmHg], 최대 변동 폭은 54.5 mmHg, 최소 변동 폭은 20 mmHg이다. 이완기 혈압은 23.1±5 [mmHg] 최대 폭은 36 mmHg,
최소 폭은 14.5 mmHg이다.
혈압 추정 시스템의 성능 평가를 위해 실험 결과는 평균 오차(Mean error)와 표준 편차(Standard deviation)으로 계산하였다.
그림 4는 대표 피험자의 비트 당 혈압 비교 그래프이다.
혈압 추정 성능은 수축기, 이완기 혈압의 오차 평균과 표준 편차는 각각 -3.4±7.6 [mmHg], -3.7±5.3 [mmHg]로 AAMI 혈압계
정확성 평가 기준(오차 <±5 mmHg, 표준 편차 <8 mmHg)을 만족한다(그림 5).
그림 4. 대표 피험자의 비트 별 혈압 비교 그래프
Fig. 4. Estimated beat-by-beat BP with proposed method(Red) and the reference
of Finapres BP(Blue) of one representative subject
그림 5. 수축기, 이완기 혈압 Bland-Altman plot
Fig. 5. Bland-Altman plot to SBP, DBP
4. 고 찰
추정 혈압을 레퍼런스 혈압과 비교했을 때, 과소평가되는 경향을 보인 피험자들이 있다. 이는 지속적으로 손목에 압력을 가하면서 시간에 따라 혈관 부피
변화량이 증가하는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는데, 그림 6의 피험자 9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피험자 9의 결과, 3분 이후에 초기 혈관 부피 변화량 값(0.13 mL)보다 2배 이상 증가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수축기, 이완기 혈압의 오차와 표준 편차가 –10.6±9.2 [mmHg], –15.5±5.9 [mmHg]로 형성되었다(그림 7). 이는 지속적인 가압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혈관 부피가 변형이 된 것으로 예상되며, 혈압 추정 오차를 유발하는 주요 요소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혈관 부피 변화량이 초기 보정 시 보다 크게 변화하는 경우, 혈관 상태(혈관 압력-부피 관계식)를 재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즉,
보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혈관 부피 변화량 계측 방법으로 PPG 신호 측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PPG 신호는 혈액이 흐를 때, 혈액이 빛을 흡수하면서 생기는 파형으로 주로
맥박 및 산소포화도 측정용으로 사용되며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 장치에 활용되면서 각광을 받고 있다. PPG는 소형화된 사이즈로 커프에 비해 측정을
쉽게 할 수 있지만, LED의 광도에 따라 PD에 들어오는 광자의 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PPG 파형이 절대적 부피 변화량이라고 말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프 압력-부피 관계를 이용하여 혈관의 부피 변화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통해 비트별 혈압을 추정하였다. 하지만 움직임이나 지속적인 가압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하며, 혈관 부피 변화량을 좀 더 편리하게 계측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이러한 단점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6. 혈관 부피 변화량 증가 예시
Fig. 6. Example of an increase arterial volume variation
그림 7. 혈압 오차가 큰 피험자 예시
Fig. 7. Example of subject with large blood pressure error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손목 혈압계 형태에서 간단하게 Beat-by-beat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오실로메트릭 측정을 통해 혈압과 동맥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 형태를 추정하고, 동시에 혈관 탄성도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혈관 압력-부피 관계식으로 추정된 Beat-by -beat 혈압
계측 실험도 AAMI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이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손가락 커프 제어하는 PID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는 Volume-Clamping 방식과 달리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한 메커니즘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재현이 가능하고, 손목 혈압계 형태에 활용되어 일상생활 중 편리하게 측정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분 동안 맥압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하였지만 실제 맥압은 일정하지 않고 약간의 변동(Fluctuation)이 있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손목에 커프로 압력을 가할 경우 혈관 부피 변화량이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향후 Moens-Korteweg 방정식에 기반한
맥압 계산[18], 혈관 상태 보정 등의 추가 도입으로 혈압 추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실험은 젊고 건강한 피험자들로만 진행한 연구이므로, 다른
혈관 특성을 가지는 노인, 아동, 고혈압, 혈관질환자들에게도 추가적인 검증이 요구되며, 혈압 변동이 발생되는 운동, 심호흡, Valsalva maneuver
등의 활동에서도 혈압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할 수 있는지 추가 실험을 진행해 보고자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paper was supported by 2023 Sabbatical Year of Soonchunhyang University and
also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RS-2023-00279475).
References
G. A. Mensah, J. B. Croft, and W. H. Giles, “The heart, kidney, and brain as target
organs in hypertension,” Cardiology clinics 20, no. 2, pp.225-247, 2002.
"Hyperten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hypertension>,
(Access Date 2024.03.12.)
B. V. Scheer, A. Perel, and U. J. Pfeiffer, “Clinical review: complications and risk
factors of peripheral arterial catheters used for haemodynamic monitoring in anaesthesia
and intensive care medicine,” Critical care, vol. 6, no. 3, pp. 1-7, 2002.
J. Penaz, “Photoelectric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volume and flow in the finger,”
In Digest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Dresden,
vol. 104, 1973.
R. D. Boehmer, “Continuous, real-time, noninvasive monitor of blood pressure: Peňaz
methodology applied to the finger,” Journal of clinical monitoring, vol. 3, pp. 282-287,
1987.
S. Rastegar, H. GholamHosseini, and A. Lowe, “ Non-invasive continuous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s: current and proposed technology issues and challenges,” Physical
and Engineering Sciences in Medicine, vol. 43, pp. 11-28, 2020.
J. Liu, H. Cheng, C. H. Chen, S. H. Sung, J. O. Hahn, and R. Mukkamala, “Model-based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Preliminary validation in humans,” In 2014
36th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IEEE Engineering in Medicine and Biology
Society, pp. 1961-1964, 2014.
J. Liu, H. M. Cheng, C. H. Chen, S. H. Sung, M. Moslehpour, J. O. Hahn, and R. Mukkamala,
“Patient-specific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63, no. 6, pp. 1220-1228, 2015.
J. Liu, H. M. Cheng, C. H. Chen, S. H. Sung, J. O. Hahn, and R. Mukkamala, “Patient-specific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validation for accuracy and repeatability,”
IEEE journal of translational engineering in health and medicine, vol. 5, pp. 1-10,
2016.
A. Chandrasekhar, M. Yavarimanesh, J. O. Hahn, S. H. Sung, and R. Mukkamala, “Formulas
to explain popular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estimation algorithms,” Frontiers
in physiology, vol. 10, p. 1415, 2019.
V. Dhamotharan, A. Chandrasekhar, H. M. Cheng, C. H. Chen, S. H. Sung, C. Landry,
J. O. Hahn, A. Mahajan, S. G. Shroff, and R. Mukkamala, “Mathematical modeling of
oscillometric blood pressure measurement: A complete, reduced oscillogram model,”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70, no. 2, pp. 715-722, 2022.
G. Drzewiecki, V. Bansal, E. Karam, R. Hood, and H. Apple, “Mechanics of the occlusive
arm cuff and its application as a volume sensor,”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40, no. 7, pp. 704-708, 1993.
P. D. Baker, D. R. Westenskow, and K. Kück, “Theoretical analysis of non-invasive
oscillometric maximum amplitude algorithm for estimating mean blood pressure,”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and computing, vol. 35, pp. 271-278, 1997.
G. Drzewiecki, R. Hood, and H. Apple, “Theory of the oscillometric maximum and the
systolic and diastolic detection ratios,” Annals of biomedical engineering, vol. 22,
pp. 88-96, 1994.
G. J. Langewouters, K. H. Wesseling, and W. J. A. Goedhard, “The static elastic properties
of 45 human thoracic and 20 abdominal aortas in vitro and the parameters of a new
model,” Journal of biomechanics, vol. 17, no. 6, pp. 425-435, 1984.
M. P. McLaughlin, “A compendium of common probability distributions,” Michael P. McLaughlin,
pp. 11-12, 2016.
M. Freithaler, A. Chandrasekhar, V. Dhamotharan, C. Landry, S. G. Shroff, and R. Mukkamala.
“Smartphone-Based Blood Pressure Monitoring via the Oscillometric Finger Pressing
Method: Analysis of Oscillation Width Variations Can Improve Diastolic Pressure Computation.”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70, no. 11, pp. 3052-3063, 2023.
X. R. Ding, Y. T. Zhang, J. Liu, W. X. Dai, and H. K. Tsang, “Continuous cuffless
blood pressure estimation using pulse transit time and photoplethysmogram intensity
ratio,”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63, no. 5, pp. 964-972,
2015.
저자소개
received the B.S. degree in 2023 and has been a M.S. degree course in biomedical
engineering at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 His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blood pressure and blood flow monitoring.
received the B.S., M.S., and Ph.D. degrees in mechanical engineeri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2, 1994, and 1999, respectively. He is currently a professor
with th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Soonchunhyang University, Asan, Korea.